|
【알기쉬운 EM용어 】
EM과 미생물을 배우면서 등장하는 관련용어를 살펴본다. EM의 관심이 근래들어 젊은 층에게도 확산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주요 활동 층인 중장년층의 눈높이에 맞춰 개념정리에 도움이 되도록 쉬운 용어부터 하나하나 최대한 쉽게 풀어 설명했다.
Ver. 150516
용 어 | 해 설 |
가성가리(KOH) | 수산화칼륨.수용액은 강한 알칼리성인데 극약임. 칼륨비누나 염료의 합성에 쓰임. 특히 물비누를 만들때 필수 재료이며 가성소다와 성질이 비슷하다. |
가성소다 (NaOH) | 수산화 나트륨. 탄산소다를 용해하여 석회유를 넣어 끓이거나, 또는 식염의 수용액을 전기분해 할 때 생기는 무색투명의 결정체. 고체비누를 만드는 필수재료로 공업용과 시약용이 있으나 공업용은 가루날림 현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가정에서는 시약용으로 구입한다. 순도가 높을 수록 비누화가 잘된다. |
간균 | 막대모양의 세균이다, 원통형 세균도 간균에 속하는데 간균은 그 크기와 길이는 다양하고 양 끝의 모양도 일정하지 않으며 편모나 포자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
고초균( Bacillus subtilis = Bacullus subtilis ) | 보통 청국장이나 된장을만들 때 콩에 있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균으로 중성 상태인pH 7에서 왕성하게 활동한다. → 바실러스균 |
곰팡이 | 균사(실 같이 가는 사상체)로 이루어진 생물의 한 부류로 두꺼운 세포벽을 가지고 있는 미생물. 곰팡이는 우리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기도 하지만, 반면에 염증, 질환 등 해로운 작용을 하기도 한다. 발효식품, 유기산, 항생제 등이 대표적 으로 곰팡이를 유용하게 사용하는 예이다. 한편 곰팡이는 피부, 호흡 등을 통해 침입하여 다양한 피부염증,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는데 특히 습기가 많고 더운 여름철 실내 환경에서의 곰팡이 관리는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 하다. |
구균 | 둥근 모양의 세균을 통틀어 말한다. |
균사체[mycelium, 菌糸體] | 진균(眞菌)의 기본적 형태의 한가지. 포자가 관의 모양으로 뻗어서 갈라져 나간 것을 균사(hypha)라고 하며, 균사가 서로 얽혀서 집합된 것을 균사체 라고 한다. 기질(基質)에 침입하여 영양. 발육을 조절하는 영양균사체(營養菌死體)가 있다. |
광합성세균 | 광합성세균군(光合成細菌群). 광합성세균은 토양이 받는 빛과 열을 에너지원으로 식물의 뿌리로부터의 분비물, 유기물, 또는 유해가스(유해수소 등) 등을 먹이로 하여 질소화합물, 아미노산, 생리활성물질, 당류 등 식물의 생육올 촉진시키는 다수의 물질을 합성하는 독립영양 미생물이다.이들의 대사물은 식물에도 직접 흡수되지만 다른 미생물이 번식하는 먹이로도 되며, 토양에서 광합성세균이 증가하면 다른 유효한 토양미생물도 증가한다.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흡수해 산소를 만들어낸다. |
근권미생물[根圈微生物] | 식물 뿌리주위(근권)에서 생식하는 미생물군(群). 뿌리의 분비물 등을 먹이로 번식하며 작물의 양분흡수에 도움을 준다. 질소고정균, 방선균, 사상균 등이 있다. |
길항작용 [拮抗作用] | 상반되는 두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여 그 효과를 서로 상쇄시켜 없애거나 감소시키는 작용. 생물학과 의학분야에서 이용되며, 약물 · 세균 · 근육 · 신경 등에서 볼 수 있다. 한쪽 미생물의 존재가 다른 쪽 미생물의 증식, 생존을 위협하는 것. |
낫또균 | = 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섭틸리스) = 고초균 = 청국균의 일본식 표시 |
당밀(molasse , 糖蜜) | 설탕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 제당과정에서 설탕을 뽑아 내고 남는 검은 빛을 띠는 수분 20∼30%의 시럽상의 액체로 주성분은 당분임. EM의 직접적인 먹이가 되어 EM을 활성화시킬때 많이 사용한다. |
당화균 | 당화균은 당을 분해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주로 소장 상부에서 탄수화물과 당류를 분해하는 역할을 하며 대표적 균주는 바실러스균이다. 병원성균을 억제하고 유산균의 효과를 증가시키며 단백질을 분해 아미노산을 생성하고 아포(홀씨 .일종의 자체보호막)을 형성 열에도 강하다. Bacillus subtilis, Bacillus polyfermentics, Bacillus mesentericus 등이 있으며 의약품 등에 사용된다. |
락토바실러스 |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해 다량의 유산을 생성하는 세균류로 체내에 들어가 주로 소장에서 역할을 하는 균으로 주로 면역 및 항균 물질 형성, 장내 세균 구성 정상화와 유해균 생성 억제 등의 효능이 있다.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 내산성이 강해 장 내 정착력이 높은 균 중 하나로 유해균의 침입을 억제해 면역 조절 효과가 뛰어난 균이다. 장 내 독성 물질을 감소시키고 면역 체계에 도움을 줘 아토피 및 알레르기와 같은 면역 질환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임상 논문이 보고 되고 있다. |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 소장 안에서 천연 항생제를 만들어내 20종류 이상의 유해균 성장을 억제시켜 면역력 증강에 효능이 좋다. 지방, 단백질, 유제품 소화를 돕는 효소를 생성해 소화를 촉진시키며 장 내에서 비타민B군과 비타민K를 생성하기도 한다.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 흔히 먹는 우리나라 김치의 발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균이다. 항균 물질을 생성하여 포진 바이러스를 억제하고,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균이다. 특히 장 내 독소 제거 능력이 뛰어나다. 다른 균들에 비해 산과 담즙에 의해 덜 파괴된다. |
마이크로미터( µm) | 미생물의 크기를 나타낼때 쓰는 단위로 1 마이크로미터는 1/10,000cm 로 미터의 백만분의 일에 해당 나노크기란 1/1000 마이크로미터 이다. |
모균 | 종균과 같은 것으로 접종하기 위하여 모균을 다량으로 증식 배양하는 것을 종균배양이라 함 |
목초액 | 나무로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연기가 외부공기와 접촉시 액화되는 것을 채취한 뒤, 6개월 이상 숙성시켜 독성과 유해물질을 제거한 것을 말한다.농업 분야에서 농약 대신 이용하며, 축산업에서 분뇨 냄새나 악취를 제거할 때 또는 가축의 사료로 이용한다 |
미생물 | 육안의 가시한계를 넘어선 0.1mm 이하의 크기인 미세한 생물. 주로 단일세포 또는 균사로 몸을 이루며, 생물로서 최소 생활단위를 영위한다. 세균, 진균(효모, 곰팡이 등), 바이러스,원충(protozoa) 등의 총칭이다.식품, 의약품 등 생산공업이나 생물자원, 수질환경 및 토양의 지력보존 등에 이용된다. |
바실러스균 |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의 그람양성 간균. 보통 수중, 공중, 토양에 널리 분포하며 대표종은 고초균, 탄저병, 세레우스균 등이 있음. 특정 세균은 아니고 비슷한 성질의 세균들의 집단이름을 말한다. |
바이러스 | 동물 · 식물 · 세균 · 방사균 등 살아 있는 세포에 기생하며 세포 내에서만 증식할 수 있는 수백 μ 이하의 감염성 입자로 단백질로 되어 있고 안에는 유전물질인 DNA나 RNA가 들어 있다. 이들 단백질이나 유전물질은 천 개 이상의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 먹이섭취 나 성장 등 대사활동을 하지않아 혼자서 살아갈 수 없지만 다른 생물의 세포안에 기생해서는 자신과 같은 것을 복제하는 생물의 특성을 가진다. 원핵생물,진핵생물에 속하지 않으며 숙주세포 밖에서 입자로 존재할 때는 무생물의 특성을 가진다. 크기는 0.1 ㎛ |
배지(培地) = 배양기 | 배지, 또는 배양기란, 미생물이나 세포, 혹은 이끼 같은 작은 식물 등을 증식시키기 위해 고안된 액체나 젤 상태의 영양원이다. 배양할 세포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배지를 사용한다. 증식배지는 크게 세포를 배양하기 위한 세포배지와 세균이나 효모 같은 미생물들을 증식시키는 데 사용되는 미생물배지의 두 종류로 나뉜다. 미생물배지의 기본 성분은 영양분 혼합물과 한천이다. 사용 전에는 잡균의 발생 방지를 위해 멸균을 시키고, 용도에 따라 pH나 온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
박테리아[bacteria] | = 세균. 1마이크로미터(㎛) 정도 크기로 최고 배율의 광학현미경으로 겨우 보일 정도 크기. 바이러스는 최고 배율의 광학현미경으로도 볼 수 없는 작은 크기에 반해 세포는 현미경의 작은 배율로도 볼 수 있다. 동물세포 10 ㎛ 세균(박테리아) 1㎛ 바이러스 0.1 ㎛ |
박테리오신 [bacteriocin] | 미생물이 생산하는 천연의 무독성 방부제로 단백질 또는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복합체로 구성 되어 있는 항균성단백질이다. 가까운 관계의 세균을 죽이는데 어느 대장균은 다른 대장균을 죽이는 콜리신을 생성하고 녹농균은 피오신을, 이질균은 시게로신을, 또한 살모넬라는 살모넬로신을 생성한다. 이들을 박테리오신이라고 한다. 유해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항암 및 항산화작용을 한다. |
박테리오테라피 | = 세균요법. 세균 등 미생물을 이용하여 병을 치료하는 것을 말한다. |
박테리오파지 | 박테리오는 '세균', 파지는 '먹는다'는 뜻이다. 즉, 박테리오파지는 세균을 잡아먹는 바이러스다. 이 바이러스는 세균여과기를 통과하며 광학현미경으로는 직접 볼 수 없는 미소한 입자다. 살아 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이 가능하고, 대사 활성을 나타내는 일도 없다. |
발효 | 유기물이 미생물(효모)작용에 의해 분해및 변화하는 현상. 발효과정을 통해 효소의 종류와 수가 증가함. 발효의 형식은 미생물의 종류와 환경에 따라 다양한데, 전형적인 것으로 효모의 알코올 발효, 글리세롤발효, 유산균의 유산발효, 메탄세균의 메탄발효, 대장균 등에서 보이는 혼합 유기산 발효가 있다. |
방선균 | 방선균은 세균과 곰팡이의 중간 형태의 균으로 광합성세균이 만들어내는 아미노산을 받아서 항생물질을 만들어내고 그것으로 병원균을 억제하거나 유해한 곰팡이나 세균류가 증식하는데 필요한 물질(키틴질)을 선점하여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다른 미생물을 위하여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낸다. 방선균은 광합성세균과 공존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보다는 광합성세균과 혼재하는 상황에서 정균작용을 배가시킨다. |
부영양화 | 호수, 연안 해역, 하천 등의 정체된 수역에 오염된 유기물질(질소나 인)이 과도하게 유입되어 발생하는 수질의 악화현상을 의미한다. 폐쇄적 수역에 영양물질이 다량 유입되면 녹조류의 번식이 과다하게 일어나게 되고 이 녹조류가 수역을 부패시켜 썩게 만든다. 부영양화가 극도로 진행되면 수중의 용존산소는 모두 고갈되어 산소를 이용하는 모든 수중의 생물은 죽게 되며, 용존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모든 유기물의 잔재는 혐기성 세균에 의하여 부패되어 물은 썩고 악취가 나게 된다. 부영양화현상이 바다(정체수역)에서 일어나면 플랑크톤에 의하여 적색을 띄는데 이를 적조현상이라고 한다. |
비이온화 | 물이 이온화되면 강력한 산화 효과를 지닌 과산화물을 생성되는데 과산화물은 세포의 단백질이나 효소, DNA 등에 작용해 이들을 산화시키거나 활성을 잃게 만든다. EM은 항산화력은 이러한 이온화를 막느다. |
비피더스균 | = 비피도박테리움. 주로 대장에서 역할을 하는 균으로 대장균 증식 억제, 장운동과 배변활동 강화 등에 효능이 있다. |
비피도박테리움 | = 비피더스균.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비피도스박테리움 비피덤 등 여러 종류가 있다. |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 장내 유해균 억제효과가 큰 균으로 설사,장염,과민성대장군 개선에 도움이 되는 균이다. 장운동과 배변활동 강화 등에 효능이 있으며 대장에 이 균이 많은 아이는 알레르기 발병이 적다는 연구도 있다. |
비피도스박테리움 비피덤 | 모유로 자란 아기의 대장에 주로 서식하는 유산균으로 항생물질을 생성해 유해균 사멸 능력이 우수하다. |
사상균(류) | 진균류의 한 무리. 실 모양의 균사를 가졌으며 흔히 곰팡이라고 하며 사상의 균사를 영양체로 하는 균류의 속칭. 광합성을 하지 않는 하등식물에 위치하고 있다. |
산화 . 환원 | 산소와 결합하는 반응을 산화라고하며, 반대로 어떤 원소나 화합물에서 산소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산화의 반대 현상인 환원 이라고 한다. 철판에 녹이 쓰는 현상도 산화현상이다. 철(Fe)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철로 변하는 데 이를 두고 우리는 철이 산화되었다고 한다. |
생리활성물질 | 미량으로 생체의 기능(생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물질. 생물 활성 물질이라고도 한다. 비타민, 호르몬,효소, 신경 전달 물질 등을 지칭한다. 이 밖에 프로스타글란딘 같은 특정한 내분비선과 신경에서 분비되지 않는 활성 물질도 포함한다. 항산화 작용, 해독 작용, 면역기능증강 작용, 호르몬 조절 작용,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작용을 통해 노화를 지연시키거나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물질들은 과일, 채소, 콩류, 견과류 등에 많이 존재하며 식물성 유용 성분과 비타민, 무기질 등이 풍부하다. 미생물에 의한 발효과정에서도 많은 생리활성물질이 분비된다. |
세균 = 박테리아 | 현미경으로만 관찰할 수 있는 무핵(無核)의 단세포성 생물의 한 무리.세포의 크기는 지름이 작은 것은 0.1㎛, 큰 것은 5㎛이고, 길이가 작은 것은 0.2㎛, 큰 것은 80㎛나 된다. 세포의 모양에는 공모양을 한 구균(球菌), 막대모양을 한 간균(桿菌), 나선모양을 한 나선균(螺旋菌)과 긴 관(管) 또는 도깨비 방망이 모양의 돌출 부속기관을 가지고 있는 균이 있다. |
선옥균〔善玉菌〕 | = 유익균. 프로바이오틱스와 비슷한 의미의 용어로 주로 한방에서 유산균처럼 사람의 건강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균이나 식용EM 등 복합균을 말할 때 많이 사용한다. |
어박[魚粕] | 대구,정어리,새우 등 쓰고 남은 어류 찌꺼기를 자숙(煮熟) ·압착 ·건조 ·분쇄하여 만든 동물성 유기질 비료. |
액비(液肥) | 액체상태의 비료를 간단히 액비라고 하며, 원제는 액상이거나 분말상으로 되어 있고 분말은 물에 녹여서 액상은 적당히 희석하여 사용한다. 용도에 따라 토양용, 수경재배용 및 엽면살포용으로 나뉜다. |
엽면시비 (葉面施肥) | 토양에 시비하지않고 풀이나 나무 잎에다 직접 비료(영양제)를 물에 녹여 뿌려주는것. 엽면 : 잎사귀/시비 : 비료를 주는것 |
오니 | 수 중의 오탁물질(오염물질)이 침전해서 생긴 진흙 상태의 물질을 말한다. 슬러지라고도 한다 |
유박 [油粕]비료 | ⇒ 깻묵. 참깨,들깨,피자마 등의 기름작물에서 기름을 짜고 난 찌꺼기(유박,깻묵)으로 만든 비료. |
유산균 | 유산균군(乳酸菌群). 유산균군은 광합성세균, 효모균 등에서 받은 당류 등을 가지고 유산을 만들어낸다. 유산은 강한 살균력이 있으며 특히 유해한 미생물의 활동과 유기물의 급격한 부패분해를 억제한다.유산균은 리그닌이나 셀룰로오스 등의 난분해성 유기물의 분해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미분해 유기물이 일으키는 갖가지 폐해를 방지하고 유기물을 발효 분해시키는 중요한 활동을 한다. |
유용미생물 | = EM. 인간이나 동물, 작물이나 자연환경에 무해하고 유익한 활동을 하는 미생물. 미생물이 만들어 내는 항산화물질이 인간이나 동식물의 세포를 활성화해 유해한 물질을 유해한 물질로 바꾼다고 한다. 또한 지나친 산화나 에너지의 소모를 막고 다른 유용미생물과 공존해 함께 활동하는 힘을 갖고 잇다. |
유익균 | 사람이나 환경에 도움(이익)이 되는 좋은균을 말한다. |
유인균 | 유익한 인체의 균. 유인균은 특히 몸속에서 중간자 균들을 유익한 방향으로 유인해 주고 좋은균들의 증식을 도우며 유해한 균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으로 BK418 청국장균 등이 있다. |
이온(화) | 이온이란 원자가 전자를 잃거나 얻으면 가지고 있는 (+)전하의 합과 전자가 가지고 있는(-)전하의 합이 달라지기때문에 전하를 띠게 되는데 이러한 입자를 이온이라하고 그 과정을 이온화라고 한다. ->비이온화 |
자기공명파동 | 모든물질은 고유의 자기파동을 발생시킨다. 공명은 어떤 파동현상에 그와 같은 진동수가 겹쳐질 경우에 일어나는 진폭(떠는 정도)의 증폭효과다. 항산화파동은 물질이나 인체에 매우 유익한 파동으로 항산화파동이연동하는 공간에서 자기공명파동이 일어나며 물질이나 생태의 외부에서 에너지를 얻어 활력이 유지되며 모든 것을 소생의 방향으로 이끈다. 하지만 산화수준이 높으면 자기공명파동은 저하하여 공진력을 잃고 에너지를 방출해 붕괴하는 성질을 갖는다. 이엠의 신비한 힘은 이엠이 갖는 항산화력과 자기공명파동 없이는 설명하기 어렵다. 파동수치가 낮은 이엠이라도 야채나 물에 작용시켜 측정하면 파동이 모두 최고치를 나타내는 현상이 있는것은 중립균을 선옥균으로 변신시커 효과를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이엠을 계속 사용하면 이엠이 갖는 면역을 높이는 파동이나 항산화력을 촉진하는 작용이 누적적으로 강화된다. |
자낭균류 [子囊菌類] | 균사체를 이루며 균사에 격막이 있고 실 처럼 엉켜서 자란다.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모두 취하며 자낭과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쌀, 땅콩 등에서 잘 번식하며 아플라톡신이라는 발암성 독성물질을 생성하는 누룩곰팡이(아스페르길루스)와 과일,채소,목재 등에 성장하는 푸른곰팡이(페니실륨)이 자낭균류에 속한다 |
절대혐기성미생물 | 산소를 싫어하여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만 생육할 수 있는 세균이나 기타의 미생물. 광합성균 등. |
절대적호기성균 |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만 생육할 수 있는 세균이나 기타의 미생물. 방성균 등. |
정균작용 | 정균은 멸균·살균·소독과는 달리 세균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특정균주의 성장이나 활동을 저해시키는 것을 말한다. |
정장작용[整腸作用] | 대장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하는 것. 체내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퇴치하는 등 장 내 청결을 유지함 과 동시에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시켜 변비나 설사 등을 예방하는 것. 정장작용을 돕는 음식에는 유산균이 든 요쿠르트나 식품으로 허가 된 EM, 식이섬유가 풍부한 야채, 채소 등이 있다. |
조균류(藻菌類) | 균사(균류의 몸을 이루는 섬세한 실 모양의 세포)로 되어있고 대체로 많은 핵을 가지며 세포와 세포 사이의 구분이 없다. 물 속에서 죽은 곤충의 몸이나 살아 있는 물고기 등에 기생하고 물곰팡이와 과일 등 식물이나 말똥 위에 돋아나는 털곰팡이 등이 여기에 속한다. 모두 엽록체는 없고, 포자를 만들어 번식하는데 조류와 진균류의 중간에 있는 식물군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
종균 | 유가공업, 항생 물질 산업, 주정 산업 등 각종 발효 산업에서 이용되는 미생물. 원하는 발효를 위해 기질 또는 식품에 접종하는 절대 다수의 미생물. |
진균류 [眞菌類] | 진핵성 미생물 중에 공통적으로 키틴과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 성분의 세포벽을 가진 미생물을 말한다. 진핵생물이기 때문에 핵 안에 염색체가 있고 선형DNA(linear DNA)를 염색체로 한다. 단세포인 효모균(yeast), 실처럼 가늘게 뭉쳐 자라는 다세포인 곰팡이(mold, filamentous fungi),실처럼 가늘게 뭉쳐 자라면서 특유의 갓 모양 생식기관을 만드는 버섯(mushroom)으로 나뉜다. |
질산염 | 질산염은 금속 또는 그 산화물이나 수산화물 또는 탄산염을 질산에 녹여 만든 화합물을 말한다. 모두 물에 녹으며 산화제,화학비료로 쓰인다. 질산염이 유수나 지하수에 유입되면 부영양화의 원인이 될수 있고 시금치나 상추 등 질산염이 많은 채소를 통해 다량 흡수하면 발암물질 생성의 원인이 될 수 가 있다. 화학비료를 쓰지않는 유기농산물이라고 해도 유기질비료(퇴비)에는 질소가 다량 들어있어 안심할 수 없다. |
초산 | 아세트산이라고도 부르는 아세트산의 화학식은 CH3COOH로, 포화지방산의 하나이다. 에탄올이 초산균(아세트산균)의 작용으로 산화될 때 생성된다. 식초 속에 3~5퍼센트 정도 들어 있으며, 식초의 신맛이 주성분이다. 강한 자극성의 냄새가 나며, 무색이다. 아울러 에탄올과는 달리 아세트산은 불이 붙기 어렵다. 순수한 것은 겨울철에 고체로 존재하므로 빙초산이라고도 부른다. 물에 쉽게 녹으며, 물에 녹아 약간 이온화한다. 따라서 수용액은 약한 산성이다. |
초산균 | 식초를 만드러내는 균을 초산균(Acetobacter)이라 하는데 절대호기성(산소를 필요로함) 간균으로 에탄올(ethanol)을 산화하여 초산(acetic acid)를 생성하는 세균의 전체를 호칭한다. |
칸디다(균) | 효모와 유사하게 생긴 불완전균류의 하나. 단세포의 구형 또는 난원형이며 무색인데, 인체나 동물의 입안 ·피부 등에 존재하며, 정상상태에서는 인체에 무해하나 항생물질을 장기 사용하거나, 인체가 면역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졌을 때나 유해균이 우세할 경우에 체내에서 이상번식을 하여 칸디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 질환인 칸디다증을 일으킨다. 밀가루,설탕,항생제 등에 활성화됨. 여성 질염의 원인균으로 많이 알려짐. |
콜로니 포밍 유닛 c.f.u(Colony Forming Unit ) | 미생물을 세는 단위. 미생물 제품에 일반적으로 써 있는 것이 Bacillus subtilis 2 X 10 6 cfu/g 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것은 바실러스 섭틸리스라는 미생물이 1g당 2,000,000마리 들어있다는 뜻이다. 예> 3x 10 5 은 300,000마리, 4x 10 8 은 4억마리다. |
키틴질 | 갑각류나 곤충류의 외골격 또는 단단한 피부를 형성하는 물질의 일반적 호칭 |
통성혐기성미생물 | 혐기성이지만 산소의 존재 하에서도 살 수 있는 혐기성 미생물. 유산균, 효모균 등 |
포자[胞子, spore] | 고사리 같은 양치류 식물, 이끼류 식물, 조류(藻類) 또는 버섯이나 곰팡이 같은 균류가 만들어 내는 생식세포를 말한다. 또한 이러한 포자를 이용하여 생식하는 경우는 무성생식으로 간주하며 포자법으로 생식한다고 간주하기도 한다. 과학적으로 포자는 배우자(配偶子: gamete)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대응되는 짝을 만나 접합자(接合子: zygote)를 형성하지 않고 홀로 성체로 성장할 수 있는 생식세포를 말한다. |
프로바이오틱스 | 우리 몸에 유익한 균을 일컫는 말로 비피더스균과 유산간균 등이 주요 프로바이오틱스다. => 선옥균 |
항산화물질 | 산화를 방지하는 물질의 총칭. 활성산소가 과도하게 발생함으로써 조직세포가 늙어가게 되고, 암이 생기며, 각종 퇴행성 질환이 생긴다는 주장이 설득력 있게 받아 들여지면서 이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항산화 물질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멜라토닌과 비타민 A(베타카로틴), C, E가 대표적인 항산화제로 알려지고 있다. 비타민 A, C, E를 합쳐 ACE 비타민이라고도 한다. |
항산화 작용 | 음식물의 부폐, 철의 녹, 콘크리트의 부식 등, 물질이 노령화 해 가는 원인은 최종적으로는 유해미생물에 의한 산화작용이 원인이다. 또 생명이 있는 것이 병이 드는 것은 몸 속의 활성산소가 과잉상태가 되어 DNA가 산화해 기능을 제대로 못하기 때문이라는 것이 최근의 학설이다. 모든 생명체에는 자신의 산화를 막는 항산화작용을 하는 시스템이 갖춰져있다. 그러나 대기오염, 식품오염, 수질오염 등으로 인간뿐 아니라 동식물은 모두 강한 산화상태에서 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EM은 발효미생물이 주체이므로 다양한 항산화물질을 만들어내고 환경을 항산화상태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 산화(酸化) |
항산화파동 | 항산화물질의 생성(방출)이 어떤 요인에 의해 연속적으로 일어나다 보면 항산화물질이 파동을 일으켜서 항산화파동으로 발전한다. =>자기공명파동 |
혐기성 균(anaerobe) | = 협기성미생물. 공기가 없는 곳에서만 자라는 미생물 |
호기성균(aerobe) | = 호기성미생물. 공기가 있는 곳에서만 자라는 미생물. 대표적인 호기성균으로 사상균이있다. |
효모균 | 곰팡이나 버섯 무리이지만 균사가 없고, 광합성능이나 운동성도 가지지 않는 단세포 생물의 총칭으로 대부분 토양 속에 살지 않으며 꽃의 꿀샘이나 과일의 표면과 같은 당농도가 높은 곳에 많이 생육하고 있다. 당을 발효시켜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 능력을 가진 것이 많다. 빵·맥주·포도주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미생물이다. .효모균은 효모균이 가지고 있는 발효력을 이용하여 작물의 뿌리에서 배출되는 분비물, 광합성세균이 배출하는 아미노산, 당류나 토양 속의 유기물 등을 작물에 유용한 물질로 변하게 한다. 효모균에 의해 생기는 생리활성물질은 뿌리와 세포의 분열을 활성화 시키며 다른 유용미생물(유산균, 방선균)을 증식시키는 역할도 한다. |
효소 | 단백질로 이루어진 효소는 생명체 내부의 화학반응(대사작용)의 촉매역할을 하는물질. 소화. 신진대사. 면역력증가에 기여함. 따라서 외부에서 받아들인 음식물을 씹는 단계에서부터 소화, 흡수, 수송, 대사, 배설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 관여하며 몸의 항상성 유지와 에너지 생성에 복무한다. 온도와 pH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온도가 높아지면 반응속도도 높아지지만 너무 높으면 효소의 주성분인 단백질이 변성되어 반응속도가 급격히 떨어진다. 효소의 이름은 작용하는 기질+아제(ase)라고 많이 부른다. ex)아밀라아제 ⇒ 소화효소 |
활성산소 | 사람은 끊임없는 호흡을 통해 산소를 체내로 보내고 있는데 그 산소로 양분을 태워 에너지로 변하는 것이다. 그때 사용되는 산소의 약 2%가 특히 강한 산화력을 갖는 활성산소가 된다고 한다. 폭음이나 폭식으로 편향된 식생활이 활성산소를 보다 많이 발생시키고 또 활성산소는 체내에 세균이 침입했을때에도 발생 그 강한 산화력으로 몸을 지키려고 하지만 과잉 발생하면 유전자에 상해를 입혀 암을 유발하거나 노화물질을 만든다고 알려져 있다. |
후사리움 속 [― 屬, Fusarium] | 토양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토양 전염성 병원균(사상균)으로 참외 수박 메론 등 오이과식물의 줄기쪼갬병이나 청고병, 각종 연작장애의 원인이 된다. 후사리움균의 세포벽은 키틴질과 단백질 등으로로 구성되어 있어 키토산이나 게 껍질을 이용한 방선균을 증식시키면 키치나제 효소가 분비되어 후사리움균의 세포벽을 분해하여 죽일수 있다. 토양 중에는 식물에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는 부생성의 후사리움도 많으며 때로는 토양이나 식물근권의 우점종의 균군을 이루기도 한다. |
BT 제 (Bacillus Thuringienis) | 미생물살충제.미생물농약. 대표적인 곤충병원성 세균으로 Bt는 간상형의 그람양성 토양세균이다. 일반적인 배지와 온도에서 잘 배양되고 중량의 20~30%인 결정성 단백질이 내독소를 생성하여 다양한 종류의 나방,애벌레를 방제하는데 비눗물을 첨가하여 살포하면 벌레에 더 잘 묻는다. 벌레의 장속에서 장애를 일으켜 죽게하며 1~2주 간격으로 여러차례 뿌리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C/N비(탄소율) | 유기물 등에 포함되어 있는 탄소(C)의 양과 질소(N)의 양의 비율. 40을 경계로 이하이면 박테리아(세균류)가 이상이면 사상균(균류)이 주로 활동한다。 |
EM(em) | EM은 'Effective Microorganisms'의 약자로서 '유용 미생물'을 일컫는 말이다. 유용 미생물군(Effective Microorganisms)의 약자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 중에서 사람에게 유익한 미생물 수십 종을 조합, 배양한 것이다. 효모, 유산균 및 광합성 세균이 EM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균종이며, 이들 균들간의 복잡한 공존공영 관계가 만들어 내는 발효 생성물의 항산화력이 EM의 효과라고 말할 수 있다. EM은 1982년에 류큐대학 농학부 히가 테루오 교수에 의하여 개발된 액상의 배양액으로 처음에는 농업자재로서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그 효능과 능력이 해명됨에 따라 환경 정화나 공중위생, 공업 이용 등 그 용도의 폭이 확대되고 있다. = 유용미생물 |
EM발효액 | EM원액에 적당한 먹이(쌀뜨물, 쌀겨, 당밀, 과일즙 등)를 주어서 미생물 활동을 왕성하게 하도록 만들기 위하여 발효 시킨 것을 통틀어서 말한다. => EM활성액 |
EM발효자재 | = EM발효제 |
EM발효제 | 여러 고형의 유기물(쌀겨,왕겨,깻묵 등)을 EM 원액으로 발효시킨 것이다. 비료나 퇴비 대용으로 사용 = EM발효자재 |
EM비누 | = EM폐유비누. 기름의 상태나 첨가물에 따라 EM미용비누와 EM다목적(세탁)비누로 나누기도 한다. |
EM원액 | 액상형태의 EM으로 미생물들의 모균 즉 종균으로 EM발효액(활성액)을 만들때 사용. 미생물이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는 상태로 활동 역시 일시 정지되어 있는 상태다. EM고유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활성화시켜야 한다. (원액은 알이고 활성액 또는 발효액은 알에서 깨어나 활동하는 병아리라고 보면된다) |
EM원액분말 | EM원액 즉 액상원액을 보관 및 사용상 편의를 위하여 특수코팅 및 분말처리한 것으로 액상원액 보다 유통기간이 길다. 발효액을 만들때도 액상원액의 10/1만 사용해도 된다. 생수에 타서 먹거나 발효액을 만들때 사용한다. 식용으로 정식 허가난 제품을 먹어야 한다. |
EM침출액 | EM발효자재를 고운망주머니에 넣고 하룻밤 물에 담가 두어 EM발효자재 속에 들어있던 EM성분을 유출해 낸것 |
EM효소(발효)분말 | EM원액 즉 액상원액을 보관 및 사용상 편의를 위하여 특수코팅 및 분말처리한 것으로 액상원액 보다 유통기간이 길다. 발효액을 만들때는 사용하지 않고 김치, 청국장, 엑기스,음료 등의 미생물 활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한다. 물에 타는 순간 EM활성액이 된다. |
EM 발효화장품 | 화장품을 만들때 쓰이는 증류수나 정제수 대신 EM활성액 같은 미생물 관련 활성액을 넣는 화장품. |
EM음식물쓰레기발효액 | EM음식물쓰레기 발효비료를 만들때에 음식물쓰레기 통 밑에 고인 액체. 액비(液肥)라고도 한다. |
EM음식물쓰레기발효비료 | 음식물쓰레기에 EM발효자재를 첨가해 밀폐 발효 시킨 것 |
EM음식물쓰레기흙 | EM음식물쓰레기 발효비료와 흙을 섞어 밀폐 발효시켜 만든 흙 |
EM폐유비누 | = EM비누. EM활성액이나 EM쌀뜨물발효액에 녹인 가성소다(NaOH)에 폐유를 첨가해 만든 비누 |
EM활성액 | EM원액에 물과 설탕(당밀),천일염 등을 넣고 발효 활성화시킨 것. 휴면 상태의 미생물들이 왕성하게 활동할 수 있게끔 발효시킨 액으로 EM 발효액과 거의 같은 의미다. 쌀뜨물을 이용해서 발효시킨 액을 따로 'EM 쌀뜨물발효액'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EM흙공 | 흙에 EM발효자재를 섞어 합친 후 그 속에 EM을 충분히 증식시켜 만든 공모양의 흙 덩어리. 액체의 EM 만으로는 EM의 정착이 어려운 강이나 하천 등에 투입하여 EM을 정착시키면서 유기물의 분해를 도모하기 위해 쓰인다. |
EM희석액 | EM원액,발효액, 활성액을 물을 섞어서 농도를 낮춘 액. 물은 염소가 없는 지하수 물 등이 좋고 수돗물은 하루밤 보관후 사용하며 희석액은 제조 후 가능한 빨리 사용한다. |
LB agar (배지) | 미생물 배양에 가장 많이 쓰는 혼합배지. LB 배지의 성분은 YEAST EXTRACT(효모 추출물 분말), 펩톤(아미노산이 결합된 펩티드가 주성분), NaCl(염화나트륨)이다. 이 배지를 보통 1L에 25g 녹여서 미생물을 배양한다.agar라는 것은 한천으로 LB배지에 1~2%정도 넣고 멸균을 하게 되면 한천이 녹는데 이것을 굳기전에 플레이트(접시)에 부어두면 식으면서 굳게 되고 이것이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는 고체배지가 된다. |
첫댓글 그래도 많이 도움이 되네요. 알기 쉽게 잘 설명 해놓으셨네요.
오~~정리를!
한번쯤 용어정리를 하고싶다고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감사합니다.
너무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고맙읍니다
자세한설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