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청의 종류 및 특징
귀는 바깥부터 크게 외이, 중이 그리고 내이로 나눈다. 외이는 귓바퀴와 외이도로 구분되며 중이는 고막, 중이강, 유양돌기 및 이관으로 구분된다. 내이는 청각에 관여하는 와우(달팽이관), 평형에 관여되는 반고리관 및 두 구조물을 연결하면서 평형에 관여하는 전정 등 세 가지의 구조물로 나눌 수 있다.

•전음성 난청
난청은 소리를 받아들이는 귓바퀴부터 복합적으로 분석하는 뇌까지의 청성 회로의 일부가 역할을 다 하지 못하여 정상적으로 들어야 하는 소리를 듣지 못하거나 들리는 소리를 구분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외이나 중이가 나빠서 음 전달에 문제가 발생하여 청력이 떨어지는 경우를 ‘전음성 난청’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소아에서‘귀에 물이 찼다’라고 알려진 삼출성 중이염과 성인에서 ‘고름이 계속 나온다’는 만성 중이염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 대부분 약물이나 수술적 방법으로 치유가 가능하나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게 됐을 경우 치료 후에도 청력이 돌아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런 경우에는 보청기를 통하여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해 주어야 한다.
•감각신경성 난청
한편 달팽이관 자체가 나빠서 음의 분석 능력이 떨어지거나 달팽이관에서 분석된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청신경이 손상된 경우를 ‘감각신경성 난청’이라 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과도한 소음에 의한 소음성 난청,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노인성 난청, 귀에 해로운 약에 의한 이독성 난청, 원인 없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돌발성 난청 등이 있다. 감각신경성 난청은 소리를 못 듣는 것은 전음성 난청과 같지만 분석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위가 시끄럽거나 교회 등과 같이 소리가 울리는 곳에서는 무슨 말인지 쉽게 알아들을 수 없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소리의 전달 경로에 문제가 있는 전음성 난청과 다르게 신경 쪽에 문제가 생긴 것이라서 이과적인 치료나 수술 등으로 회복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보청기 착용을 통해서 청력손실을 보완하고 후에 신경을 적절하게 자극해 운동을 시켜줌으로써 추가적인 청력손실을 예방해 줄 수 있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 청력 손실 정도가 다르며 분석 능력도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보청기를 선택하여야 한다.
•전문가와 충분한 상담 후 보청기 결정
난청은 정도에 따라 크게 정상, 경도난청, 중도난청, 중고도난청, 고도난청, 고심도난청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중도난청의 청력부터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보청기 착용이 권장사항이 된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 청력 손실 정도가 다르며 같은 정도의 난청에서도 주파수 대역별 청력손실의 정도가 다르고, 어음인지도 등 분석 능력도 다르기 때문에 일단 사용하실 분의 청력을 검사하고 전문가와 충분한 상담을 한 후에야 비로소 최선의 보청기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반드시 주위에 있는 전문가에게 적합한 검사와 적절한 상담을 받고 보청기를 맞추어야 보청기 착용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자료제공 : 해운대독일보청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