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변가’ 노무현 전 대통령 등 사주에 불(火)이 많은 사람 살면서 불을 빼내는 일이 관건
비전 없던 시간강사인 필자에게 보살 왈 “화치승룡이 되었네” ‘불이 많으면 용을 타라’는 뜻용은 현실에선 논두렁 그 이후 이사때면 늘 논 먼저 찾아 10년 넘게 하루 두시간 거닐며 군더더기 없이 핵심만 남는 원고 전부 다, 논두렁 덕분
사주팔자에 불(火)이 많은 사람들이 있다. 불이 많은 팔자의 공통점은 말을 잘한다는 점이다. 말을 잘한다는 것은 그 상황에 들어맞는 말을 하고, 유머가 있고, 말을 짧게 할 줄 안다는 것이다. 말을 길게 하는 스타일들은 불이 없는 경우가 많다. ‘젖은 장작 팔자’가 말을 길게 한다. 불이 많으면 성질 급해서 결론부터 말하는 직선적인 화법을 구사한다.
돌아가신 강원룡(1917~2006) 목사가 불이 많은 팔자였다. 이 양반이 생전에 써놓은 자서전 <빈들에서>를 보니까 생년월시가 나와 있어서 <만세력>을 펴놓고 팔자를 조합해보니 불이 많은 화(火)체질이었다. 웅변가이기도 했다. 타고난 구변(口辯)에다가 신학적(神學的) 내공이 뒷받침되니까 상대방을 설복시키는 힘이 있었다. 만약 강 목사가 이북에서 태어나지 않고 이남에서 태어났더라면 대권에도 도전해 성공했을지 모른다.
노무현 전 대통령도 불이 많은 팔자였다. 달변가였다. 참모들이 미리 써준 원고를 무시하고 자기 나름대로 이야기해버리는 습관이 있을 정도였다. 최근 탄핵정국에서 ‘정치 워딩’의 묘미를 보여준 박지원 대표도 팔자를 보니 불이 많은 화체질이었다. 여름에 태어난 데다가 천간(天干)에 불을 상징하는 병(丙)과 정(丁)이 모두 갖춰져 있었다. 이재명 성남시장의 팔자는 아직 만나보지를 못해서 입수하지 못했지만 짐작건대 이 시장의 화법을 보면 화체질일 가능성이 높다. ‘사이다’라는 별명이 불꽃 튀는 ‘스파크 체질’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필자도 불이 치성(熾盛)한 팔자다. 여름에 태어난 데다가 병(丙)과 정(丁)이 팔자의 천간(天干)에 모두 떠 있다. 병은 태양이고 정은 달이다. 병이 합리적 사고라고 한다면 정은 종교적 사유를 가리킨다. 낮에는 태양이 뜨고 밤에는 달이 뜬다. 밤낮으로 머리가 돌아간다는 의미다. 밤낮으로 밀린 원고 쓸 궁리만 하고 있다. 밤낮으로 돌아가면 머리가 피곤하다. 쉬지를 못하기 때문이다. 불이 많은 팔자는 불을 빼내는 일이 관건이다. 팔자의 요체는 중화(中和)에 있다. 과불급(過不及)은 질병으로 온다. 아니면 대인관계에서도 오버가 있을 수 있다.
불을 어떻게 빼낼 것인가? 플러스도 있지만 마이너스가 더 효과적일 때가 있다. 자기체질의 약점을 알고 이를 보완하는 방법을 일찍 찾아내면 질병과 운세를 보강할 수 있고, 보완하는 방법과 처방을 모르고 멍청하게 살면 결국 고생만 몽땅 하면서 수업료를 과다 지불하기 마련이다. 처방은 음식이 될 수도 있고, 약물이 될 수도 있으며, 사람이 될 수도 있다. 아니면 어떤 장소가 될 수도 있다. 불이 많으면 물이 있는 장소에 거주하면 아무래도 도움이 된다.
30대 중반에 충남과 전북에 걸쳐 있는 대둔산(878m)에 자주 갔다. 깎아지른 바위절벽이 많은 악산(岳山)이다. 자기가 처한 상황 따라, 나이대에 따라 가게 되는 산도 각기 다르다. 이때는 산이 나를 불렀다. 돈도 없고 비전도 없는데 처자식은 거느린 지방대학 시간강사 시절이었다. 마음이 허하고 고독하니까 산이 나를 부르는 소리가 귀에 들렸다. 인간은 고독해야 성찰이 온다. 돈 있고 배부르면 주색잡기(酒色雜技)가 생각나지만 춥고 배고프면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기한(飢寒)에 발도심(發道心)’이란 말인가!
어느 날 대둔산의 바위절벽에 혼자 앉아서 도시락을 먹고 터덜터덜 내려오다가 한 암자에 들렀다. 그 암자에는 60대 초반으로 보이는 공양주 보살이 있었는데, 내 팔자를 물어보더니만 대뜸 ‘화치승룡(火熾乘龍)이 되었네’라고 한마디 뱉었다. 짧은 대화였지만 필자의 뇌리 속에는 허름한 회색의 보살바지를 입은 아주머니가 던진 ‘화치승룡’이라는 단어가 박혔다. 나는 이상하게도 어렸을 때부터 한문으로 된 고사성어를 한번 들으면 잘 안 잊어버리는 습관이 있다.
집에 와서 바로 이 단어를 찾아보니 <적천수(滴天髓)>에 나오는 표현이었다. <적천수>는 사주명리학의 고전이다. 명나라를 건국한 주원장의 일급 참모가 유백온이라는 인물인데, 이 유백온이 저술한 책이다. 중국에서 역대 최고의 전략가 세명을 꼽는다면 장량·제갈공명·유백온을 꼽을 정도로 유백온은 급수가 높은 인물에 해당한다.
<적천수>에 보면 ‘화치승룡(火熾乘龍) 수탕기호(水蕩騎虎)’라는 대목이 나온다. ‘불이 치성하면 용을 타야 하고, 물이 흘러넘치면 호랑이를 타야 한다.’ 용은 물에서 노는 동물이고, 호랑이는 불을 상징한다. 십이지로 보면 용은 진(辰)이고, 호랑이는 인(寅)이다. 불이 많은 팔자라도 여덟글자 가운데 진(辰)이 하나라도 들어 있으면 괜찮고, 물이 흘러넘치는 팔자라도 인(寅)이 들어 있으면 보강이 된다는 뜻이다. 화가 많아도 진(辰)이 있으면 화기를 빼준다. 불이 많을 때는 물로 불을 제압하는 방법보다는 진으로 빼주는 방법이 더 효과적이다. 화생토(火生土)의 원리다. 토를 보면 화는 자기 에너지를 주고 싶어 한다.
진(辰)은 동물로 보면 용이지만, 오행으로 분류하면 토(土)다. 물이 많은 진흙을 의미한다. 질척질척한 땅이다. 현실세계에서는 이게 논(畓)을 가리킨다. 벼농사를 짓는 논은 물을 대기 때문에 질퍽질퍽한 땅이다. 진(辰)은 바로 논두렁인 것이다.
이를 알고부터 필자는 아파트 이사를 할 때 ‘주변에 논이 많은 들판지역이 어디 없나’를 늘 물색했다. 지금 살고 있는 전북 익산의 아파트는 주변이 온통 들판이다. 마음 먹고 네댓시간을 걸어도 다 걸을 수 없는 넓이다. 논두렁 길을 한시간 넘게 걸어가면 백제 무왕과 선화공주의 전설이 어려 있는 미륵사지(彌勒寺址)가 나온다.
필자는 시간만 나면 논두렁 길을 걷는 게 취미다. 보통 하루에 두시간 가까이 걷는다. 칼럼을 쓰기 전에 반드시 논두렁 길을 걷는다. 한시간 넘게 걸어야만 효과가 있다. 효과라는 것은 생각이 정리된다는 뜻이다. 한시간 넘어가면서부터 실타래처럼 엉켜 있는 부분이 기승전결로 정리가 된다. 두시간 정도 걸으면 군더더기가 거의 제거되고 칼럼 원고의 덩어리만 남게 된다. 모내기하기 전에 양수기로 논에 물을 대는 장면을 보면 왠지 모르게 마음이 흐뭇해진다. 그러다가 이앙기로 푸릇푸릇한 모를 심는 계절이 오면 논두렁에 서서 한참 동안이나 모내는 장면을 구경한다.
가만히 생각해보니 지난 10년 넘게 내가 쓴 글의 모든 원료는 논두렁에서 나왔다. 농부는 논에서 벼를 수확했지만 나는 논에서 글을 수확한 셈 아닌가! 화기가 머리로 치솟아 주화입마(走火入魔)에 걸리지 않고 이 정도로 건강을 유지하면서 글을 쓸 수 있게 된 것도 모두 논두렁 덕택이다. 논두렁이 나를 살렸다. ‘화치승룡’의 용은 논두렁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