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숙선 명창
안숙선 = 쑥대머리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I2VoE4tPgbw
안숙선 = 춘향가 중 쑥대머리
판소리 춘향가 중 쑥대머리는 옥중의 춘향이가 이도령을 그리워하며 부르는 노래로, 쑥대머리는 쑥(또는 풀)이 무성하게 자란것처럼 머리카락이 헝클어진 모습을 표현한 말입니다.
그럼 의미를 알 수 있도록 "친절하게" 단어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쑥대머리 = 쑥(풀)과 같이 헝클어진 머리
귀신형용(鬼神形容) = 귀신같은 얼굴
적막옥방(寂寞獄房) = 고요한 골방
한양낭군(漢陽郎君) = 서울 남편(한양으로 떠난 이도령을 의미하겠죠)
오리정(五里亭) = 남원에 있는 팔각정(확인은 못해봤지만 있을 겁니다)
정별 후(情別後) = 정을 이별한 뒤
일장서(一張書) = 한줄의 글 또는 문장
부모봉양(父母奉養) = 다 아실테니 설명 생략
연이신혼(宴爾新婚) = 결혼한 직후
금슬우지(琴瑟友之) = 곱디 고운 시절
계궁항아(桂宮恒娥) = 달나라의 항아라는 선녀(미녀라고 하는데 한번 보고 싶군요)
추월(秋月) = 가을밤의 달
막왕막래(莫往莫來) = 오지도 가지도 못함
앵모서 = 앵무새
전전반칙(輾轉反側) = 엎치락 뒤치락(이도령 생각에 엎치락 뒤치락한다는 의미겠죠)
호접몽(胡蝶夢) = 나비의 꿈
화상(畵像) = 당연히 이도령의 얼굴
이화일지춘대우(梨花一枝春帶雨) = 양귀비가 눈물을 흘리고 있는 모습을 형용한 말
야우문령단장성(夜雨聞鈴斷腸聲) = 비가 내리는 밤에 말방울 소리만 들려도 창자가 끊어 지는 듯 임의 생각이 남
녹수부용(綠水芙蓉) = 푸른물의 부용화
채련녀(採蓮女) = 연뿌리를 캐는 여자
제롱망채엽(提籠忘採葉) = 뽕잎을 따서 담는 망태
옥중원귀(寃鬼) = 옥중귀신
망부석(望夫石) = 설마 모르시는 것은 아니겠지요
낭구 = 나무
상사목(相思木) = 망자를 덮는 나무
생전사후(生前死後) = 죽은 후에
osinine blog = http://blog.naver.com/reeperman
춘향가 쑥대머리 - 안숙선
행사명 : 소리인생 50년 "동행" - 프리마돈나 안숙선 명창 국악대향연
행사일 : 2007년 12월 11일
공연 장소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1. 가야금병창 춘향가 사랑가 - 강정숙 외
2. 대금산조 - 이생강
3. 가야금산조 - 양승희
4. 춘향가 쑥대머리 - 안숙선
5. 적벽가 적벽강 불 지르는 대목 - 김일구
6. 흥부가 흥부 첫째 박 타는 대목 - 박송희
7. 대한민국의 혼 - 손베주춤무용단, 뫄한뭐루무예단
8. 배뱅이굿 - 이은관 외
9. 서도소리 - 한명순, 유지숙
10. 경기민요 - 임정란, 김혜란, 김금숙
11. 경기민요 - 박순금, 임춘희, 김선란
12. 남도민요 - 안숙선, 강정숙 외
13. 사물놀이 - 김덕수 외
14. 태평무 - 이현자
15. 살풀이 - 정명숙
16. 진쇠춤 - 정인삼
17. 승무 - 채상묵
18. 창극 심청전 심봉사 눈 뜨는 대목 - 안숙선, 김일구 외
내용 : 춘향가 쑥대머리 - 안숙선
시간 : 00:06:38
촬영 : 천승요
원본소장처 : 예술방송국 (www.artsmuseum.org)
쑥대머리(춘향가中에서)-안숙선
[음악감상] https://www.youtube.com/watch?v=wQcZfEWTQdA
출생1949년 9월 5일
소속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수상
1999년 옥관문화훈장
1999년 제48회 서울시문화상
1998년 프랑스문화부 예술문화훈장경력2012.02~ 제82회 춘향제전위원회 공동위원장
2007.08 여수엑스포 홍보대사
임방울 명창 판소리 춘향가 중 ‘쑥대머리’ Bangul Lim: Korean pansori 'Chunhyang-ga'(Love song) 1929년 녹음, 1950년대 후반 영상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wGJSZhXYp1g
임방울 명창 판소리 춘향가 중 ‘쑥대머리’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유성기음반(SP) 관리번호 MISP-2850 & 비디오테입 1VHS
Columbia 40085-B(20827) 春香傳 쑥대머리 林방울
1929년 녹음. 고증: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Korean Classical Music Record Museum(MISP-2850 & 1VHS)
Bangul Lim(Pansori maestro): Korean pansori 'Chunhyang-ga'(Korean love song)
* 본 동영상 속의 흑백 영상: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자료. 1950년대 후반 서울 원각사에서 열린 임방울 명창 판소리 적벽가(북:이정업) 공연 실황.
[전국민의 우상이었던 명창 임방울. 글/노재명]
http://www.hearkorea.com/gododata/god...
[판소리 명창 임방울 약력. 글/판소리 인간문화재 김연수]
http://www.hearkorea.com/gododata/god...
[판소리 명창 임방울에 대한 장사훈 글(故 國唱 林芳蔚氏의 人間藝術)]
http://www.hearkorea.com/gododata/god...
[판소리 명창 임방울에 대한 성경린 글(故 林芳蔚氏의 人間藝術)]
http://www.hearkorea.com/gododata/god...
국악음반박물관 인터넷 TV방송 - hearkoreaTV (Korean Music / World Music & Dance)
Korean Classical Music Record Museum TV http://hearkoreaTV.com
국악음반박물관 홈페이지 http://hearkorea.com
임방울 국창 -
쑥대머리
http://blog.daum.net/leepansoo/8623640
임방울 국창 쑥대머리
http://blog.daum.net/south7777/671
국악인 오정해 - 쑥대머리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bBHo8o4HTlc
국제신문 뉴스&이슈 구독하기 http://goo.gl/FFQL4
국제신문 근교산&기획특집 구독하기 http://goo.gl/SM0fM
--------------------------------------------------------------------
21일 오후 부산 롯데호텔에서 국제신문 주최로 열린 제4기 부울경 정치아카데미 강좌는 여태껏 강좌와 달랐다. 유명 정치인이 아니라 영화 '서편제' 주인공으로 잘 알려진 국악인 오정해(여·42) 씨가 강사로 나섰기 때문이다. 국악인 오정해가 부르는 쑥대머리를 들어보자.
박애리, 팝핀현준 - 쑥대머리, 한국인, 흥! DNA, 불후의 명곡
KTV특집 송년 음악회, 한국인 흥 DNA
'박애리와 팝핀현준'을 만나봅니다~
[쑥대머리-소리 박애리, 해금 안은경 ] Koart 국악 동영상.mp4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QqZ2ZfPp4j4#t=52
쑥대머리-소리 박애리, 해금 안은경
쑥대머리 / 박애리
(해금 안은경)
쑥대머리 귀신형용 적막옥방의 찬
자리여
생각나는
것은 님 뿐이라
보고지고 보고지고
보고지고
손가락 피를 내어 사정으로 님을
찾아볼까
간장의 썩은 눈물로
님의 화상을 그려볼까
계궁항아 추월같이 번듯이 솟아서
비추고저
전전반측 잠 못
이뤄 호접몽을 어이 꿀 수 있나
내가 만일 님 못 본채 옥중고혼이
되거들면
무덤 앞에 섯난
돌은 망부석이 될 것이요
무덤 근처 선 나무는 상사목이 될
것이니
생전사후 이 원통을
알아줄 이가
뉘 있으란
말이냐
쑥대머리
귀신형용 적막옥방의 찬 자리여
생각나는 것은 님 뿐이라
보고지고 보고지고 보고지고
쑥대머리
내가 만일 님 못 본채 옥중고혼이
되거들면
무덤 앞에 섯난
돌은 망부석이 될 것이요
무덤 근처 선 나무는 상사목이 될
것이니
생전사후 이 원통을
알아줄 이가
뉘 있으란
말이냐
쑥대머리 귀신형용 적막옥방의 찬
자리여
생각나는 것은 님
뿐이라
보고지고 보고지고
보고지고 쑥대머리
박애리
안숙선
안숙선
위키백과
안숙선(安淑善, AHN Sook Sun, 1949년 9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판소리 명창, 인간문화재이다.[1] 종교는 불교다.
현재 판소리 명창 중 실력과 대중성을 모두 갖춘 명창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영원한 춘향', '우리시대 최고의 소리꾼', '국악계의 프리마돈나' 등으로 불리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음악인이다.
개요
전북 남원 출신. 9살때 이모인 강순영의 주선으로 주광덕 문하에서 소리를 배우기 시작한 이후, 10대 때는 외당숙인 강도근에게서 판소리 다섯 바탕의 토막소리들을 두루 배웠다. 이후 20대에는 상경하여 만정 김소희(춘향가, 심청가, 흥보가)를 사사하였으며, 31세에 국립창극단에 입단하여 양암 정광수(수궁가), 춘전 성우향(심청가), 박봉술(적벽가), 운초 오정숙(흥보가) 등에게 사사하였다.
이 외에도 친이모 강순영 명인에게 (신관용류) 가야금 산조와 약간의 가야금 병창을 배웠고, 함동정월(최옥삼류), 원옥화(강태홍류), 김죽파(김죽파류)에게 가야금 산조를 사사했으며, 20대에 상경한 이후에는 향사 박귀희(박귀희류 가야금병창)에게 가야금 병창을 사사하여, 판소리, 가야금 병창, 가야금 산조에서 모두 일가를 이룬 명인이 되었다.
1997년 향사 박귀희 사후 40대 중반의 젊은 나이에 그의 뒤를 이어 국가지정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 산조 및 병창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어 인간문화재 반열에 올랐다.
현재까지 안숙선의 주요 공연 이력은 판소리에 더 가깝다. 1979년 국립창극단에 입단 이후 음악적 능력은 물론, 뛰어난 연기력을 바탕으로 대부분의 작품에 주역으로 섰으며, 특히 춘향역은 당대 최고의 평가를 받으며, '영원한 춘향'이라는 수식어를 받기도 하였다. 그 외에도 창극 수궁가에서의 토끼 역 또한 작은 체구를 십분 활용한 익살스러운 연기로 인해 큰 인기를 끌었다. 또 86년, 적벽가 완창으로 다섯 바탕 소리를 완창함으로써 전통 판소리의 연창과 전승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 외에도 타 장르의 협업 작업을 진행하기도 하였는데, 특히 재즈 뮤지션들과 자주 협연을 펼쳤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사물놀이 창시자 김덕수와 독일의 재즈그룹 레드 선(Red Sun)과 함께해 1995년 발표한 〈토끼 이야기〉는 한국 퓨전음악의 대표적인 성공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986년부터 1995년까지 스승격인 인당 박동진, 운초 오정숙 명창의 뒤를 이어 판소리 다섯마당을 모두 완창하였으며 이후 1988년 유럽 8개국 순회공연을 시작으로 미국 카네기 홀 공연, 링컨 센터 여름축제 공연, 프랑스 아비뇽 페스티벌 한국인 최초 초청 공연, 영국 에든버러 페스티벌 한국인 최초 초청 공연, 호주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초청 공연, 제1회 윤이상 범민족 통일 음악회 평양 모란봉극장 공연 등 프랑스, 미국, 캐나다, 독일, 스페인, 영국,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체코, 중국, 일본, 몽골, 터키, 폴란드, 러시아, 홍콩, 브라질 등 세계 40여개국의 초청 공연을 통해 우리의 소리를 알리는 동시에 세계적인 명창이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특히 1998년에 '천상의 소리'라는 극찬과 함께 프랑스 문예공로훈장 오피시에를 받았으며, 다음해 대한민국 옥관문화훈장과 '올해의 국제적인 음악인상'[출처 필요]을 수상하는 영예를 얻었다.
2001년부터는 한국예술교육의 최고교육기관인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음악과 성악전공 교수로 임용되어 국내 최초의 판소리 전공 교수가 된다. 이후 그녀는 퇴임하는 2013년까지 전통예술 후학양성에 힘썼으며, 현재에도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소리꾼으로 많은 국내외 공연활동으로 사람들의 존경을 받고있다.
국악전문지《소리마당》창간기념 조사 '국악계의 영향력있는 인물' 1위에 선정되기도 했으며 <아시아경제신문> 창간 21주년 기념 '한국을 움직이는 파워여성 리더 21인"에 선정 되었다.
약력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 산조 및 가야금 병창 예능보유자
국립창극단 단장 겸 예술감독, 원로단원 역임
전주세계소리축제 조직위원장(2004-2008)
용인대학교 예술대학 국악과 대우교수(1998-2000)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2000-2013)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예술감독(2013-2015)
現 남원춘향제 제전위원장.
現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 산조 및 가야금 병창 예능보유자.
주요공연
1981 동남아 12개국 순회 공연.
1986 유럽 7개국, 미국 7개주 판소리 완창 공연.
1988 서울올림픽 공연.
1988 유럽 8개국 12도시 38일 순회 완창 공연
1986-1991 판소리 다섯마당 완창.
1991 미국 뉴욕 카네기홀 공연
1994 영국 런던 사우스뱅크센터 완창공연
1997 뉴욕 링컨센터 여름축제 초청공연.
1998 프랑스 아비뇽축제 초청공연.
1999 제2회 윤이상 범민족통일음악회 평양 공연.
1999 유럽(프랑스, 독일, 영국) 3개국 완창 공연.
1999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취임식 공연.
2001 일본 동경음악제 초청 공연.
2002 FIFA 한.일월드컵 개막식 피날레 공연.
2003 뉴욕 링컨센터 여름축제 초청 완창 공연.
2003 영국 에딘버러축제 한국인 최초 초청 공연.
2003 프랑스 파리 가을 축제 초청공연
2003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취임식 공연.
2005 부산APEC정상회의 만찬공연.
2005 MBC 대한민국음악축제 우리시대의 명창 안숙선/국민성악가 임웅균/대한민국 최고의 대중가수 인순이 3色 콘서트.
2006 프랑스 기메박물관 초청 공연.
2007 남북정상회담 문화예술부분 특별수행원/만찬공연.
2007 KBS/국립극장 주최 안숙선 소리인생 50주년 기념공연 KBS홀 공연.
2008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취임식 공연.
2009 미국 오바마 대통령 취임 축하 워싱턴공연.
2010 폴란드 브레이브 페스티벌 초청 공연.
2010 벨기에 스핑크스 페스티벌 초청 공연.
2011 한,호 수교 50주년 호주 시드니 초청 공연
2011 서울 G20정상회의 만찬공연.
2011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선정기원 축하공연.
2012 서울 핵 안보정상회의 축하공연.
2012 여수세계엑스포 개막식 공연.
2013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취임식 공연.
2013 영국 런던 K-뮤직 페스티벌 초청 공연.
2015 프랑스 파리 가을 축제 초청 공연.
2015 벨기에 브뤼셀 K-뮤직 페스티벌 초청 공연.
프랑스, 영국, 독일, 스페인, 러시아, 스웨덴, 벨기에, 폴란드, 네덜란드, 그리스, 스페인, 체코, 브라질, 미국, 캐나다, 호주, 일본, 중국, 몽골 등 40여개국 초청 공연.
1979-2013 국립창극단 200여 작품의 주역, 도창, 작창
상훈
1986년 남원춘향제 전국명창대회 대통령상 수상
1987년 제6회 KBS 국악대상 대상 수상(대상부문 최초 수상)
1993년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수상
1994년 국제문화친선협회 선정 '올해의 국제문화인상' 수상
1995년 제22회 한국방송대상 수상
1996년 한국문인협회 선정 '가장 문학적인 국악인상' 수상
1998년 프랑스 정부 문예공로훈장 오피시에 수훈
1999년 제48회 서울특별시 문화상 수상
1999년 올해의 국제적인 음악인상[출처 필요] 수상
1999년 옥관문화훈장(4등급) 수훈
2003년 남원시민 문화장 수훈
2006년 제2회 허규예술상 수상
2008년 제9회 대한민국 국회대상 국악부문 수상
2011년 제21회 동리대상 수상
2013년 제17회 만해대상 만해문화예술부분 대상 수상
2013년 제20회 방일영문화재단 주최 방일영국악상 수상
2015년 삼성생명공익재단 2015 <삼성행복대상> 여성창조상(학술.예술분야에 뚜렷한 업적을 남긴 여성에게 수여되는 상)수상
각주
1. ↑ “안숙선”. 두산세계대백과사전.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2017년 12월 18일 (월) 17: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첫댓글 오정숙 명창 - 단가 사철가, 춘향가 중 쑥대머리 대목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UkE0mJbRL9Y&list=RDejEkQh1Z1g0&index=3
판소리 - Korean Traditional Music
게시일: 2018. 9. 27.
판소리 제전 - 1990년 4월 24일. 전주실내체육관
전주MBC
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