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llectual History and the History of Ideas 지성사와 관념사
What is intellectual history? Broadly speaking, intellectual history is the study of intellectuals, ideas, and intellectual patterns over time. Of course, that is a terrifically large definition and it admits of a bewildering variety of approaches. One thing to note right off is the distinction between “intellectual history” and “the history of ideas.” This can be somewhat confusing, since the two terms are sometimes used interchangeably: “history of ideas” is a rather old-fashioned phrase, and not currently in vogue (though there is an excellent journal for intellectual historians published under the title, The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But if we are worried about precise definitions rather than popular usage, there is arguably a difference: The “history of ideas” is a discipline which looks at large-scale concepts as they appear and transform over the course of history. An historian of ideas will tend to organize the historical narrative around one major idea and will then follow the development or metamorphosis of that idea as it manifests itself in different contexts and times, rather as a musicologist might trace a theme and all of its variations throughout the length of a symphony. Perhaps the most classic example is the book by Arthur Lovejoy, The Great Chain of Being (originally given as the William James Lectures at Harvard University in the mid 1930s). This kind of exercise has many merits for example, it permits us to recognize commonalities in thought despite vast dissimilarities in context, thereby calling attention to the way that humanity seems always preoccupied with certain seemingly “eternal” thoughts. But this advantage can also be a disadvantage. By insisting that the idea is recognizably the same thing despite all of its contextual variations, the history of ideas approach tends to encourage a kind of Platonist attitude about thoughts, as if they somehow preexisted their contexts and merely manifested themselves in various landscapes. Lovejoy was in fact rather more nuanced than this suggests, however: his study of the “great chain of being” (as one example of what he called “unit idea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n internal contradiction in this concept, a tension which eventually transformed the original idea and led ultimately to its self-destruction. As Lovejoy practiced it, the history of ideas was much like a history of large-scale concepts, in which the historical narrative showed how intrinsic tendencies in those concepts “worked themselves out” as if of their own internal logic.
지성사란 무엇인가? 포괄적으로 말하자면, 지성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식인, 관념, 지적 패턴에 대한 연구다. 물론 이는 지나치게 넓은 정의라 어지러울 만큼 다양한 접근이 가능해진다. 먼저 구별해야 할 것은 ‘지성사’와 ‘관념사’의 차이다. 이 두 용어는 이따금 상호 호환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둘을 구분하는 것은 혼란스러울 수 있다. ‘관념사’는 보다 오래된 표현으로, 현재는 그렇게 인기 있는 표현은 아니다(<관념사 학회>라는 이름으로 간행되는 훌륭한 지성사 학회지가 있기는 하지만 말이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용례보다 정확한 정의에 관심을 궁리한다면, 두 용어 사이에는 틀림없이 차이가 있다. ‘관념사’는 역사의 과정 속에서 거대한 개념이 나타나고 변모하는지를 살펴보는 분야다. 음악학자가 교향곡 전체에 걸쳐 주제와 변주를 추적하는 것처럼 관념사가는 하나의 주요 관념을 중심으로 역사적 서사를 구성한 다음 상이한 맥락과 시대에서 나타나는 관념의 발전이나 변화 양상을 추적한다. 관념사 연구의 가장 고전적 사례는 아서 러브조이의 <존재의 대연쇄>일 것이다(이 표현은 본래 1930년대 중반 하버드 대학에서 행한 윌리엄 제임스의 강의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연구에는 여러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관념사 연구는, 맥락에 따라 광범위한 차이점이 있기는 해도 사상간의 공통점을 인식하게 해주며, 이로써 ‘영원한’ 것처럼 보이는 사유들에 언제나 집착하는 듯한 방법에 주의를 보낸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은 동시에 단점도 될 수 있다. 관념사적 접근은 관념이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쓰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것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생각이 맥락보다 앞서 존재하고 다양한 땅에 스스로를 드러낼 뿐이라는 일종의 플라톤주의적 태도를 부추기는 경향이 있다. 러브조이는 방금 말한 사례보다는 맥락에 더 민감했다. “존재의 대연쇄”(그가 “단위 관념”이라고 부른 것의 한 사례)에 대한 그의 연구에 따르면 이 개념에는 내적인 모순이 있으며, 결국 원관념을 변형시켜 궁극적으로는 자기파멸로 귀결되는 긴장이 내포되어 있다. 러브조이가 그랬듯이, 관념사는 거대한 개념들의 역사에 훨씬 가까우며, 관념사가가 구성한 역사적 서사는 그러한 개념들의 본질적 경향이 내적인 논리에 따르는 것처럼 “스스로 작동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Intellectual history is often considered to be different from the history of ideas. Intellectual history resists the Platonist expectation that an idea can be defined in the absence of the world, and it tends instead to regard ideas as historically conditioned features of the world which are best understood within some larger context, whether it be the context of social struggle and institutional change, intellectual biography (individual or collective), or some larger context of cultural or linguistic dispositions (now often called “discourses”). To be sure, sometimes the requisite context is simply the context of other, historically conditioned ideas—intellectual history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that concepts be studied within a larger, non-conceptual frame. Admittedly, this last point can be controversial: some intellectual historians do adopt a purely “internalist” approach, i.e., they set thoughts in relation to other thoughts, without reference to some setting outside them. This method is usually most revealing when the relations between ideas helps us to see a previously unacknowledged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realms of intellectual inquiry, e.g., the relation between theological and scientific modes of explanation, or between metaphysical and political concepts of causality.
지성사는 관념사와는 구별된다고 인식되기도 한다. 지성사는 관념이 세계를 전제하지 않고도 정의될 수 있다는 플라톤주의적 기대에 반발하여, 대신 관념을 역사적으로 조건 지어진 세계의 특징이라고 간주하며, 이러한 특징은 사회 투쟁이나 제도적 변화, 지적 전기(개인이든 집단이든), 혹은 문화적·언어적 경향(오늘날에는 이를 종종 ‘담론’이라 부른다) 등의 더 거대한 맥락 속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분명 선행하는 맥락은 이따금 단순히 역사적으로 조건 지어진 또 다른 관념의 맥락이며, 지성사는 개념이 더 거대하고 비개념적인 틀 속에서 연구되어야 한다고 반드시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 논점이 논쟁의 여지가 있음은 인정해야겠다. 일부 지성사가는 순전히 ‘내재주의적’ 접근법을 채택한다. 즉, 그들은 사상을 다른 사상과의 관계를 통해서 설정하며, 그 외부에 있는 것들은 언급하지 않는다. 이 방법은 관념들 간의 관계를 통해 지적 탐구에서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영역들 사이의 연관성, 예를 들어 신학적 설명 방식과 과학적 설명 방식 사이의 관계나 인과에 대한 형이상학과 정치학의 개념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게 될 때 가장 효과적이다.
[출처] Peter Goldon, 지성사란 무엇인가? (1)|작성자 Redman
Intellectual History and Philosophy 지성사와 철학
Intellectual history can frequently involve a close reconstruction of philosophical arguments as they have been recorded in formal philosophical texts. In this respect intellectual history may bear a noteworthy resemblance to philosophy, and most especially, the history of philosophy. But intellectual history remains importantly distinct from philosophy for a number of reasons. Most importantly, philosophy tends to disregard differences of history or cultural context so as to concentrate almost exclusively upon the internal coherence of philosophical arguments in themselves. One often says that the task for intellectual historians is that of “understanding” rather than philosophical evaluation. That is, intellectual historians want chiefly to “understand”—rather than, say, to “defend” or “refute”—a given intellectual problem or perspective, and they therefore tend to be skeptics about the philosophers’ belief in decontextualized evaluation. Philosophers, too, of course, will frequently appeal to historical-contextual matters when they are trying to figure out just why someone thought as they did. So the difference between philosophy and intellectual history is merely one of degree rather than kind.
철학적 논변은 형식적인 철학적 글 속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지성사는 종종 철학적 논변의 밀접한 재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지성사는 철학, 특히 철학사와 가장 상당한 유사성을 띤다. 그렇지만 지성사는 여러 이유로 철학과의 차이점을 주장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철학은 역사나 문화적 맥락의 차이점을 간과함으로써 대부분 철학적 논변 자체의 내적 일관성에만 초점을 맞춘다는 점이다. 일부에서는 지성사가의 과제가 철학적 평가라기보다는 철학을 “이해”하는 일이라고 말한다. 즉 지성사가는 특정한 지적 문제나 관점을, 말하자면, “옹호”하거나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날카롭게 “이해”하고자 하므로, 철학자들의 믿음을 탈맥락화하여 평가하는 것에 회의적인 경향이 있다. 물론 철학자들도 누군가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파악하려고 할 때 역사적·맥락적 문제에 호소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철학과 지성사의 차이는 종류의 차이라기보다는 단순히 맥락을 고려하는 정도의 문제다.
Yet intellectual historians tend to be more relaxed about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philosophical texts and non-philosophical contexts. Indeed, intellectual historians will tend to regard the distinction between “philosophy” and “non-philosophy” as something that is itself historically conditioned rather than eternally fixed. They will therefore be wary of assuming one can ever concentrate one’s attention upon a purely philosophical meaning uncontaminated by its surroundings. Because they are historians, intellectual historians believ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y people thought differently about things we may not agree with today. This pronounced awareness regarding historical difference makes historians generally reluctant to draw strongly evaluative claims about past ideas. Of course, historians cannot bracket out their own moral or intellectual commitments entirely and it would be foolish to believe they could do so. But history nourishes a certain skepticism about the permanence of any philosophical or moral commitment, and it therefore promotes a certain readiness to entertain differences in philosophical perspective whereas philosophers would likely think that the differences are either superficial or evidence of philosophical error.
그러나 지성사가는 철학적 글과 비철학적 맥락 사이의 경계를 더 여유롭게 넘나드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지성사가는 “철학”과 “비철학” 사이의 차이를 영구히 고정된 무엇보다는 그 자체로 역사적으로 조건 지어진 무엇이라고 보려 한다. 따라서 지성사가는, 주변 환경에 물들지 않은 순전한 철학적 의미에 집중할 수 있다는 가정을 경계한다. 지성사가는 역사학자이기 때문에, 오늘날 우리라면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는 한 사태에 대해 사람들이 다르게 생각한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다. 역사적 차이에 대한 경각심 때문에 일반적으로 역사학자는 과거의 관념에 대해 강한 평가를 이끌어내는 데 신중한 편이다. 물론 역사학자는 자신의 도덕적·지적 확신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며, 그것이 가능하다고 믿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그렇지만 역사학자는 어느 철학적·도덕적 확신을 수행하는 것에 회의적이기 때문에 철학적 관점들의 차이점을 기꺼워하지만, 철학자들은 그러한 차이가 피상적이라거나 철학자들이 저지른 오류의 증거라고 생각할 수 있다.
(중략)
This prompts the question as to why the historians of philosophy are in philosophy departments at all, especially when some of their peers dismiss their work as “merely” historical. It often seems the distinction can seem to have very little to do with actual disagreement over method, and far more to do with contingent factors such as competition over funding and the institutional reproduction of group-identities (e.g., a person with a degree in one discipline is usually considered unqualified for another discipline) Despite all the talk about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methods appropriate to a specific discipline, there is really almost as much heterogeneity within any given discipline as between one discipline and another. Disciplines can be and have been carved up in all sorts of ways, and one would be justified in thinking there is no deep logic in current distinctions between them. In recent years, much of the truly groundbreaking scholarship by philosophers and historians appears to span the divide between their two disciplines. To classify such work exclusively as philosophy or history would be challenging indeed; some noteworthy examples would include: Charles Taylor, Sources of the Self (Cambridge, Mass: Harvard, 1989); John Toews, Hegelianism (New York: Cambridge UP, 1980); Martin Jay, Marxism and Totalit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1984); and J.G.A Pocock, The Machiavellian Moment (Princeton: Princeton UP, 1975). In such cases, the distinction between philosophy and history seems so slight as to be almost negligible, more a matter of institutional affiliation and nomenclature than substantive disagreement over canons or method.
이러한 사실은, 일부 동료 학자가 철학사가의 저작을 ‘순전히’ 역사적이라고 평가할 때에도 철학사가는 오직 철학과에만 있는 이유를 물어보게 한다. 철학과 지성사의 차이는 방법론에 대한 불일치와는 실질적으로 그다지 관계없는 듯하고, 오히려 기금이나 집단정체성의 제도적 재생산(예를 들어 한 분야에서 학위를 받은 사람은 보통 다른 분야에 대한 자격이 없다)에 대한 경쟁 같은 부수적 요인과 훨씬 더 관계가 있어 보인다. 특정한 학문에 적합한 방법론을 익히기 위한 전문훈련을 이야기함에도, 특정 학문 안에는, 다른 학문 사이에 존재하는 것만큼 많은 이질성이 실제로 존재한다. 학문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고, 현재 학문간의 구분에는 깊은 논리가 없다고 생각하면서 이를 정당화할 수 있다. 최근 몇 년간, 철학자와 역사학자가 수행한 진정으로 획기적인 학적 연구는 철학과 역사학이라는 두 학문 사이의 구분에 걸쳐 있다. 실제로 그러한 연구를 오로지 철학이나 역사학으로만 분류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을 것이다.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찰스 테일러, <자아의 원천들>(새물결), 존 토스, <헤겔주의>, 마틴 제이, <마르크스주의와 전체성>, J.G.A. 포콕, <마키아벨리언 모멘트>(나남출판). 이러한 연구들에서 철학과 역사학의 차이는 거의 무시해도 될 만큼 매우 작으며, 그 둘의 차이는 규범이나 방법론에 대한 실질적인 불일치보다는 소속된 기관이나 학문 명칭의 차이에 더 가까운 듯하다.
[출처] 지성사란 무엇인가 (2) 지성사와 철학|작성자 Red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