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9:00~9:45 | 복지요결 공부 | 실습생 전체 | - 사회사업 주안점 - 사회사업 직접 강점과 간접 강점 | 경청, 생각 |
10:30~11:30 | 기획단 회의 | 기획단 아이들, 보라매동 실습생 | - 커피사장님 미팅 날짜 잡기 - 팽이치기 시뮬레이션 | 진행, 경청 |
12:00~13:00 | 점심식사 | - | - | - |
14:00~15:00 | 김세진 선생님 및 선배 사회복지사와의 만남 | 이주희·김별 선생님, 실습생 전체 | - 김세진 선생님 소개 및 말씀 듣기 - 선배 사회복지사 소개 및 말씀 듣기 | 경청 |
15:00~18:00 | 강점워크숍 | 실습생 전체 | - 내 강점 발표하기 - 다른 동료선생님의 강점 말하기 | 발표, 경청 |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복지요결 공부(9:00~9:45)
: 오늘은 각자 돌아가면서 어제의 숙제를 말하였습니다. 어제의 숙제는 바로 실습을 하는 동안 당사자의 어떤 부분에 주안점을 두고 하였는지 발표하는 것입니다. 저는 당사자의 강점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그중에서도 선우가 의견을 잘 내고 말을 잘한다는 강점을 알아내어 직접 팀 대표로 발표를 하게끔 도왔습니다. 그리고 사회사업의 직접 강점과 간접 강점에 대해 배웠습니다. 직접 강점이란 문제와 상관있어 보이는 강점이며, 간접 강점은 문제와 직접적으로 상관없어 보이는 강점입니다. 사회사업가는 당사자의 간접 강점을 활용하여 도와야 합니다.
기획단 회의(10:30~11:30)
: 오늘은 행사날 구체적인 일정에 대해 조금 논의한 후 커피 사장님께 언제 인사를 드리면 좋을지 얘기하였습니다. 율이가 손을 들고 말했습니다. “빨리 인사드릴수록 좋으니까 화요일에 가면 좋겠어요.” 율이는 오늘도 똑부러지게 의견을 잘냅니다. 다른 친구들도 동의하였습니다. 얘기 끝에 화요일 14시에 사장님께 인사드리기로 정한 후 시간이 되는 친구들끼리는 끝나고 추가 회의를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다음으로 행사 당일날 할 팽이치기를 직접 해보았습니다. 아이들이 팽이치기에 대해 배우고 삼삼오오 모여 각자 쳐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몇 명이서 한 팀을 이룰까?” “6명씩 한팀이요. 두명씩 A,B,C로 나눠서 대결하면 돼요.” 율이 머릿속에는 이미 계획이 다 있는 것 같습니다. 팽이치기를 끝으로 다음주 월요일에는 직접 경로당을 찾아뵈어 오늘 했던 팽이치기를 생각하며 활동 규칙을 조금 더 구체화 하기로 하였습니다.
강점워크숍(15:00~18:00)
: 치민선생님부터 한명씩 지목하여 본인의 강점과 다른 동료선생님의 강점을 얘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저의 강점은 낯을 잘 안가리고 말이 많아서 사람들끼리 처음 만나는 자리에서 분위기를 풀어준다는 점입니다. 또, 리액션이 커서 말하는 사람으로부터 신나게 말을 하게 만든다는 점, 다른 사람의 말을 집중해서 듣는 편으로 말하는 사람이 존중받는다는 느낌이 들게끔 하는 점입니다. 다른 동료선생님들이 말씀해주신 저의 강점들로는 밝음, 경청을 잘함, 발랄함, 과하지 않은 편안함, 남을 도와줄 준비가 되어 있음, 따뜻함 등이 있었습니다. 다른 선생님들께서 말씀해주시는 강점을 들으니 몸둘바를 모르겠으면서도 강점샤워의 힘에 대해 직접 느낄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직접 강점보다 간접 강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 김세진 선생님이 쓰신 ‘이씨 아저씨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알코올중독이던 이씨 아저씨한테서 집을 잘 수리한다는 강점을 발견하고 이웃 할머니의 집을 고쳐주시기를 부탁드렸습니다. 이후로 이씨 아저씨는 할머니를 만날때 실례가 된다며 술을 자제하셨습니다. 이씨 아저씨가 잘하시는 일을 찾고 이를 살릴 기회를 만듦으로써 동네에 의미있는 분이 되도록 주선한 것입니다. 이렇듯 세상에 나를 알아봐주고 인사해주는 단 한 사람이 있다는 것만으로 나의 오래된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가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런 당사자의 강점을 알아차리는 것이 사회사업가의 일입니다. 내가 만나는 당사자의 사소한 부분을 알아차리고, 이것이 이웃 주민, 둘레사람들과 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이 사회사업가의 큰 역할임을 배웠습니다.
선행연구의 중요성
: 김세진 선생님께서 저희에게 구슬 꿰는 실에 있는 책 중 한 권이라도 읽어본 적이 있냐고 물어보셨습니다. 대학교 입시를 위해 책을 읽은 적은 있어도 진정으로 사회복지를 배우기 위해 책을 읽었던 적은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이게 사회복지의 현실이에요. 사회복지 현장에 있는 사람들 중 80-90%는 어쩌다 하게 된 사람들이고, 나머지 10-20%만이 진심으로 이 일에 뛰어든 사람들입니다.” 누군가가 저에게 너는 10-20%에 속하냐고 물어본다면 자신있게 대답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사회복지 관련 책들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사회복지 현장에 대해 간접체험함으로써 실제 현장에 나가서 실망할 여지를 줄이고, 내가 나중에 할 고민들을 책으로 미리 읽어봄으로써 그것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사회복지 책을 더 많이 읽고, 다른 선행연구도 더 많이 찾아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2) 보완점
- 오늘 회의를 하는 동안 시간에 쫒기다보니 마지막에 아이들을 재촉했던 것 같습니다. 회의가 정해진 대로 진행될 수 만은 없기 때문에 스스로의 욕심을 버리고 아이들의 페이스에 맞춰 진행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3) 슈퍼비전 요청 사항
- 해당 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