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실 습 생 | 남민주 |
실습일자 | 2024년 8월 1일 목요일 |
실습지도자 | (인) |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9:00~9:50 | 복지요결 교육 | 실습생 전체 | <실수.실패할 권리> | 학습, 경청 |
10:30~11:00 | 슈퍼비전 | 보라매동 팀원 | -기획단 회의 준비 -활동 계획서 수정 | 학습, 기록 |
12:00~13:00 | 점심시간 | - | - | - |
14:00~17:00 | 기획단 만남 | 보라매동 팀원 | -활동 구체화 | 지도, 논의 |
17:00~18:00 | 개인공부 | 실습생 개인 | -중간평가 준비 -일지 작성 | 기록 |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기획단 회의 14:00~17:00>
아이들과 보라매 공유 공간에서 만났습니다. 오늘은 율이가 일등으로 왔습니다. 뒤이어 결이가 친구 주아를 초대해 함께 왔고, 민주와 율이, 승주와 함께 회의했습니다. 가장 먼저 규칙을 읽고, 차례로 역할 제비뽑기를 했습니다. 오늘의 서기는 승주였습니다. 조금 고민하는가 싶더니 알아서 척척 잘 해냈습니다. 민주는 질서 지킴이, 율이는 회의 지킴이, 결이는 안전지킴이, 주아와 율이는 뒷정리는 맡았습니다.
오늘은 회의 안건이 아주 많은 날입니다. 집중해서 얼른 회의를 끝내고 놀기로 합니다. 먼저 디데이에 빙수를 만들어 먹을 장소를 정합니다. 결이는 익숙한 장소가 좋다고 했고, 민주는 넓은 장소가 좋다고 했습니다. 모두가 입을 모아 공유 공간에서 하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회의가 아주 순조롭게 진행되었습니다.
다음으로 초대할 인원을 정했습니다. 각자 몇 명이 적절할지 얘기하는데, 율이가 짐작으로는 20평쯤 되어 보인다며 공유 공간의 크기를 고려해 꼼꼼히 인원수를 제안했습니다. 수학을 좋아하는 승주에게 아이들 의견으로 평균을 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승주가 금세 평균을 내어 스무 명이라고 알려주었습니다. 잔치에 스무 명의 사람을 초대하기로 합니다.
다음으로 어떤 음식을 먹을지 의논합니다. 짜장면, 냉면, 어묵꼬치, 짬뽕, 치킨, 피자 아주 많은 의견이 나왔고, 다수결로 냉면과 피자가 나왔습니다. 율이는 중간중간 "다른 사람 의견 존중해 줘야지" 하고 회의 분위기를 이끌었습니다. 오늘은 오지 않은 기획단 친구들이 많으니 카톡 투표하기를 통해 잔치 음식을 결정하기로 합니다.
다음은 마을 인사 가는 날을 정하기로 했습니다. 아이들마다 일정이 달라 날짜를 잡는데 애먹었습니다. 다음 주 수요일과 목요일 중 하루를 고르기로 했습니다.
다음은 마을 인사와 디데이 빙수 만들기 하는 날 할 만한 활동을 생각합니다. 승주는 바둑을 6년이나 했다며 바둑 의견을 냈고, 달고나 깨기 게임을 하자는 참신하고 다양한 의견을 내었습니다. 승주의 새로운 면모를 많이 보게 되어 좋습니다. 결이는 전통놀이 의견을 냈고, 율이는 화투 치기, 손병호 게임을 하면 어떻겠냐고 했습니다. 상상만 해도 웃음이 나옵니다.
제가 "당신은 당신의 이웃을 사랑하십니까?" 게임을 제안했습니다. 아이들이 잘 모르는지 무덤덤합니다. 그래서 게임을 알려주기 위해 자리를 옮겨 게임을 했습니다. 아이들과 선생님이 모두 함께 시간 가는 줄 모르고 했습니다. 게임 중간에 아이들에게 물었습니다. "얘들아 이거 빙수 만들어 먹고 할까?" 물어보니 아이들이 이구동성으로 좋다고 합니다.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부장님과 복지 요결 공부했습니다. '실수.실패할 권리'라는 내용의 글을 읽었습니다. 사람은 자기 삶의 주인으로 살아야 합니다.라는 복지요결과 연결되는 내용입니다. 내 자식을 키울 때처럼 시설 이용자에게도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평생 다른 사람이 끓여주는 라면을 먹을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부모가 가진 기대가, 사회사업가가 가진 기대가 아이의 발달에, 시설 입주자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어쩌면 무서운 일입니다. 약자를 대신해 무엇인가를 이루어 주는 일이 어쩌면 돕는 것이 아니라 권리를 빼앗는 일인 것입니다.
내가 돕겠다는 의도로 대신하는 행동이 쌓이고 쌓이면 대상자는 자신이 무엇도 할 수 없는 사람이라는 인식을 가지게 될 수도 있습니다. <실수 실패할 권리>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여느 사람이 성장하며 겪는 어려움이나 발전하는 단계를 사회적 약자라고 그저 도와주므로 건너뛰지 말라는 의미로 보입니다.
"짐작하기는 혼자서 끓이며 조금씩 줄여간 것 같습니다. 직원이 옆에서 알려줄 때는 머뭇했지만, 혼자서 이렇게 해 보고 저렇게 해 보면 요령이 생긴 겁니다. 실패할 권리가 필요했던 겁니다."
'자기 나름'의 기준이 있습니다. 사회사업가의 잣대로 "이건 안된다. 저건 괜찮다." 하는 기준을 내버려야 합니다. 라면 물을 맞추는 데에도 그저 내 기준대로 알려주지 않습니다. 당사자가 직접 터득하고 요령을 얻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당사자가 더 잘할 것을 기대하고 실수와 실패를 마음껏 누리도록 합니다. 지금껏 지켜봐 주고 기다려주는 사람이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이래라저래라 잔소리하며 부끄럽게 만들었을지도 모릅니다. 세상의 잣대는 잘 하는 사람들을 위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내가 가진 기대감을 내비쳐 부담감을 갖게 하기보다 마음속으로 응원하고 기대합니다. 당사자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도록 격려합니다. 자신이 할 과업에 대한 적당한 부담감은 괜찮습니다. 아이들이 주인이 되어 내가 해냈다는 기분을 느낄 기회를 줘야 합니다. 내가 돕겠다는 명분으로 대신 하고 성취감, 주인 된 삶을 살 기회를 빼앗지 않습니다. 물건을 살 때나 사람을 초대할 때, 감사 인사할 때도 직접 하게 합니다.
글 쓰는 요령에 대한 이야기도 하셨습니다. 어제는 기록할 때 나의 생각과 해석을 녹여 쓰는 연습을 하자고 하셨고, 오늘은 책 내용을 적절하게 인용하자고 하셨습니다. 일지를 쓰면서 조금씩 익히려 노력해 봐야겠습니다.
2) 보완점
- 아이들에게 더 많이 맡기고 부탁하고 물어봐야겠습니다. 그만큼 아이들이 성장하고, 제가 성장합니다. 자꾸 해주고 싶은 마음 내려놓으려 노력하겠습니다. 아이들에게 더 멋진 모습을 기대해 보겠습니다.
3) 슈퍼비전 요청 사항
- 기획단고 지역 주민 만남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아서 그런지 보라매 여름 잔치의 목표인 이웃 간의 교류와 연결, 세대간 교류와 같은 것들이 부족하지 않나 하는 의구심이 듭니다. 물놀이와 빙수 만들기 모두 기획단 나이 또래의 아이들을 초대할 예정입니다. 아이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잔치가 준비되어가는 것은 좋지만, 보라매동 주민과의 교류 부분이 아쉬운 것은 제 욕심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