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은 우리나라 중부내륙에서 서해로 흐르는 유로연장 401㎢에
유역면적이 전국토지 면적의 약 10% 에 해당하는 9.810 ㎢ 로
주변에 대전,청주,전주,군산,이리등 주요도시들이 위치하고 있으며
각종 용수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유로~물이 흐르는 길
또한 연강수량의 약 2/3가 여름철 3-4개월 안에 편재하는 관계로 갈수가
심한 해에는 용수부족현상이 나타나 수자원 종합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 수자원의 다목적 개발을 위한 4대강
유역개발계획이 수립되먼서 이의 일환으로 대청다목적댐이
건설되기에 이르렀다.
1975년 3월 공사에 착수하여 5년여 끝에 1980년 12월 준공된
대청댐은
높이 72m
길이 495m
체적 123만 4만 ㎦ 의 중력식 콘크리트댐과 사력댐으로
구성된 복합형 댐으로 금강하구로부터 150km상류지점인
대전시 동북방 16km
청주시 남방 16km 지점에 자리 잡았다.
하류지역의 홍수피해와 하류연안 농경지의 염수 피해를 경감시키고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유역내 인접도시의 생활,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저수용량 14억9천만㎦ 의 본 댐과 조정지 댐이 있으며
본 댐 주변에는 저수지내의 물이 다른 지역으로 넘치지 못하도록
3개의 보조댐을 두었다.
또한 대전과 청주지역으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도수로와 시설
용량 9만kw의 수력발전소가 있다.
댐 건설을 위한 골재선별,굴착작업,담수에 이르기까지 사진자료와
신문자료를 통해 대청댐 건설 당시의 상황을 흝어보자
※대청댐 건설 위한 기반 작업중
본댐 기초굴착공사,골재선별장,
대전도수로공사 착공(1978.1.7 )
콘크리트 중력식댐과 접합부 시공
담수
신문에 실린 자료등
※대청호 수질환경 변화
1. 대청호 COD의 변화 ~그래프
2. 년도별 총질소 (T-N) 총인(T-P)~그래프
호소이 수질등급은 COD를 기준하여 정하며
대청호의 경우 2002년 이후 COD 3㎎/L 이하로
호소수 수질등급 1b (좋음)을 유지하고 있다.
※호소수~호소란
내륙에 고여 있는 정수괴를 충칭하는 말로 호수,늪,소택,습원으로 분류됨
호소수라 하면 이러한 곳에 고여 있는 물을 말함
육지에 둘러싸인 채 바다로 직접 연결되지 않은 물의 덩어리이다.
또한 조류발생의 원인이 되는 영양염류인 총질소(T-N) 및 총인 (T-P)도
2000년 이후 안정된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대청호 상류유역의 환경기초시설 운영
비점오염원 관리강화 및 친환경농업 확산 등을 통해 인과 질소의 유입을
줄이고 또한 상류 하천에 인공습지 및 수초재배섬 등
자연친화적 수질정화시설을 설치 운영하는 등
대청호 수질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자료제공~한국수자원공사 대청댐관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