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식일 교회는 비록 사도 신경을 예배 시 공중을 위한 신앙고백으로 사용하지는 않지만,
일반 교회에서 사용을 비평하거나 그 일반적인 내용을 부인하는 입장도 취하지 않는다.
이렇게 경솔하고 무책임하게 사도 신경을 이단 판별의 첫 번째 기준으로 삼아 형제 그리스도인들을
이단으로 정죄하기 전에, 오늘날 교회들이 쓰고 있는 사도 신경이 어떻게 만들어 졌으며 문제점이 무엇인지 진상과 허실을 바로 아는 일이 앞서야 하겠다.
먼저 사도 신경이 제정된 역사적 배경과 그것이 지닌 신학적인 문제점을 밝힌 후에 그것을 그리스도교의 공중 신앙고백으로 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인지 밝히고자 한다.
***
1. 사도들의 신경이 아닌 사도 신경
-------------------------------------------
첫째, 사도 신경 곧 ‘사도들의 신조(the Apostles' Creed)’는 그 이름과는 달리 예수께서 직접 가르쳐 준
신조도 아니고, 사도들에 의하여 쓰여 진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권위나 정통성에 있어서 십계명이나
주의 기도문과는 차원이 다르다. 필립샤프(Philip Scaff)의 말처럼 사도 신경은 “일찍이 만들어진 것
가운데 그렇게 짤막한 것으로는 크리스트교 신앙에 대한 최선의 대중적인 요약”이기는 하지만
이 신조가 매우 단순하고 간결해서 신학적인 지식이 증가된 단계를 위한 공식적인 교리의 기준이
되기에는 충분하지 않음을 인정해야 한다.
**
만약 사도 신경이 각 시대의 정통 신앙의 기준이 될 만했다면 그 후 니케아신조(325년)나
칼케돈(451년)신조가 다시 나와야 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실제로 종교개혁 이후 교파들이 저마다
신조를 만들어 30개도 넘는 신조가 양산되어 이전 것을 대신하거나 보강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초기의 신조들을 방편으로 현대 교회들의 일치한 정통성을 이룩하려는
시도의 부당함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적절한 평가가 있다.
“사도 신경이나 니케아 신조 등을 기초로 교파들을 연합시키려고 하는 것은 다 자란 성숙한 어른을
아이들 상태로 돌아가라고 강요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
2. 사도 신경의 역사적 배경
---------------------------
둘째, 염두에 두어야 할 일은 사도 신경이 만들어진 역사적 배경에 대한 이해이다. 복음서에 기록된
신앙고백(마 16:16, 28:19)을 기초로 한 단편적인 신조가 2세기 초중반부터 존재한 것은 사실이지만,
지금의 사도 신경의 모체가 된 것은 서기 400년경의 라틴어로 된 『로마 교회 구신 조』
(the Old Roman Creed)임이 밝혀졌다. 그러나 오늘날 로마 가톨릭 교회나 개신교회들이 사용하고 있는
사도 신경은 이와 같은 『로마 교회 구신 조』가 아니고 그 이후 300여 년 동안 서방의 여러 교회들이
사용하면서 자신들의 신조에 맞게 내용을 수식한 것으로서 뒤에 설명하겠지만, 그럴 만한 이유가 있어
사도 신경 대신 니케아 신조를 신앙고백으로 택한 동방 교회는 앞에 제시된 이단 판별 기준에 의하면
처음부터 이단이 되고 만다. 논증에는 논리가 서야 하고 기준에는 보편성이 있어야 한다.
***
.3. 애매한 내용 - “지옥에 내려가셨다가”
------------------------------------
셋째, 지금 사용하고 있는 사도 신경에는 신학적으로 석연치 않은 찜찜한 내용이 첨가되어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앞서 말한 대로 지금의 사도신경은 서기 700년 이후 갈리아(프랑스) 지방에서 형성된 것을
당시의 로마 교회가 최종적으로 수용한 것이다. 그런데 이 8세기 신조에는 그 전의 신조에는 없던
여러 마디의 수식어가 첨가되어 신학적으로 그 의미를 애매(曖昧)하게 하고 있다. 첨가된 10여 가지의
표현 가운데 특히 신학적으로 주목되는 두세 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으사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시고” 다음에 구 신조에는 없던
“지옥(hell)”에 내려가셨다가(he descended into hell) 라는 삽입구가 첨가되었다. 이러한 표현대로,
예수께서 무덤에 장사되어 계셨던 삼일 동안 “지옥에 다녀오셨다는 희한한 이야기가 된다
. 이 문구는 그리스도의 완전한 신성을 인정치 않음으로써 이단이 된 아리우스파의 신조에 처음으로
나타났는데(359년), 점차로 퍼져나가다가 결국 8세기에 개정된 사도 신경에 정식으로 삽입된 것이다.
이곳의 “지옥(hell)”은 본래 헬라어의 “하데스”나 히브리어의 “스올(sheol)”로서 죽은 후에는 모든 사람이
가게 되는 무덤 곧 음부이다.(창 37:35; 시 16:10, 88:3 등) 국내에서 번역 출판된
사도 신경 해설에도 이 말이 잘못 적용되었음을 아래와 같이 밝히고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단어(지옥)는 악인들이 형벌 받는 곳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래서 현대
영어 지옥(hell)은 성경의 용어 ‘스올’ 이나 ‘하데스’와는 다른 뜻이며 또 사도 신경에도 적당치 않다.
그리스도께서 죽으신 때에 그는 분명히 지옥으로 가시지 않았다
”(도날드콜, 오창윤 역, 사도신경 강해,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7).
바로 이것이 문제이다. 성경 어느 곳, 어느 말씀을 근거로 예수님께서 장사되어 계시던 3일간 거지 나사로와
회개한 강도에게 복음을 전했다는 것인가? 앞서의 영혼 문제에서 언급한 대로, 또 하나의 개신교 연옥을
만들어 내는 엄청난 신학적 과오를 범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혼란 때문에 미국의 감독 교회는 1789년에
제정한 기도에서 “지옥에 내려가셨다”는 표현을 아예 삭제하거나 다른 표현을 쓰게 했다가 1892년에는
이를 철회하는 등 갈팡질팡 하고 있다.
이러한 자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이를 영적인 의도로도 해석하지만 모두 궁색한 시도에 불과한 것으로,
역사적 배경과 본문의 의도에 빗나간 것이다. 오늘날 영어로 된 사도 신경에는 거의 모두가 “지옥에
내려가셨다가”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다. 우리 한국 교회들이 쓰고 있는 사도 신경도 물론 8세기에
개정된 것이면서도, “지옥에 내려가셨다가” 라는 문구는 삭제한 채 통용하고 있어 신학적인 혼란은
모면하고 있지만, 문서의 역사적인 일관성과 정확성은 무시하고 있는 셈이다.
신학적으로 깊이 재고해야 할 문제이다.
***
4. 사연이 있는 - “거룩한 공회”
-----------------------------
문제가 되는 또 다른 삽입구는 교회에 관한 것인데, 5세기의 『로마 교회 구신 조』에는 일반적인 표현으로
“거룩한 교회(the Holy Church)를 믿사오며”로 되어 있다. 그러나 8세기 개정 신조에는 거기에 “가톨릭을
첨가하여 거룩한 가톨릭 교회를 믿사오며”로 표현했다. “가톨릭(catholic)”의 뜻은 본래 “보편적” 혹은
“세계적(universal)”이란 뜻이어서 일반적으로 쓸 경우에는 구태여 로마 가톨릭 교회를 가리키지 않는다.
그러나 그 당시 이미 베드로의 후계자임을 공언하고 나선 로마교회의 감독이 전 세계의 머리로서 땅위의
모든 교회를 다스릴 수 있는 유일한 교회라는 주장을 강화하고 있던 때였기 때문에 실제로 말의
뉘앙스가 다르다.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당시에 서방 로마 교회와 지상권을 위한 싸움을 벌이고 있던
동방 희랍 교회가 자신을 “거룩하고 정통적이며 세계적(가톨릭, catholic)인 사도직의 동방 교회”로
부르고 있던 때라 서방의 로마교회가 이 “가톨릭”이란 표현을 쓰기 시작하자 자기 이름을 도적맞은
충격을 받은 것이다.
그리하여 동방 교회는 로마 교회의 권위주의적인 독선을 드러낸 사도신경을 배척하고, 내용은 거의
비슷하면서도 동방 교회의 영역에서 제정된 유서 깊은 니케아신조(the Niece Creed)를 자신들의
신앙고백으로 고집한 이유를 알게 된다. 아울러 역사적 뒷받침이 전혀 없는데도 불구하고
로마 가톨릭 교회가 사도신경을 굳이 사도들의 직접적인 작품이라고 무리하게 주장하는
이유도 깨닫게 된다.
***
한국 교회들이 쓰고 있는 사도신경에는 이 “거룩한 가톨릭교회”의 표현을 그저, “거룩한 공회”라고 했는데
이 “공회”란 말은 본문의 뜻과는 거리가 먼 애매한 뜻이지만,이러한 방식으로 난관을 넘기도 있다.
그러나 [한영 찬송가]에 함께 쓰인 영문 사도신경에는 “the holy catholic church”라고 써서 그것이
8세기의 개정 신조임을 드러내고 있다.
***
5. 의심스러운 말뜻 - 성도가 교통하는 것
----------------------------------------
또 다른 문제의 삽입구는 “성도가 교통하는 것(the communion of saints)”이다. 이곳의 “교통”이란
무슨 뜻인가? 하나님이나 인간과의 교제를 나타낼 수 있는 헬라어의 “코이노이아(koinonia)”인데,
여기서는 그 문법적인 성격을 보아 성만찬을 통해 이루어지는 교제임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로마가톨릭 교회에서는 이 “교제”를 이 세상에 살아 있는 성도들뿐만 아니라,
죽은 성도들에게까지 확대하여 성자숭배(聖者崇拜)와 죽은 사람에게 기도하는 교리적 근거로
오용 하고 있다. 물론 성경적인 의미의 성자란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받아들인 모든 신자들은
성도(聖徒.saints)를 가리키지만 (고전 1:2) 로마 가톨릭의 성자는 죽은 지 오랜 세월이
경과한 뒤에야 특별 심의를 거처 서품(敍品)되는 비성서적인 개념이다. 또한 죽은 자와 교통하는 일은
사단의 속임수로(삼상 28:8-19), 성경에는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사 8:20; 신 18:11,12).
****
6. 사도신경을 가장 옹호하는 교회 - 로마 가톨릭교
---------------------------------------------
이러한 교리적인 이유와 역사적 배경 때문에라도 사도신경을 가장 옹호하고 두둔하는 교회는
로마 가톨릭 교회임을 다음에 인용하는 교리 해설에서라도 일별할 수 있다.
증언 “성 레오는 아무도 이 사도신경에 대해 무지하도록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성 가톨릭 막시무스는 이 신경에 무지한 영세 받은 신자들은 그의 시대에 있어서 믿음의 최대의 적으로
간주했으며, 오늘날에는 자신들의 교리를 모르는 가톨릭 신자들을 이유 없이 믿음의 최대의 적들로
간주할 수 있다고 했다.
성 토마스는 이 신경에 대하여 고의로 무지하게 되는 것은 죽음에 이르는 죄로 간주했다. 한 마디로
사도 신경에 무지하면, 신앙의 최대의 적, 곧 이단이 되고, 동시에 로마 가톨릭교회의 최대의 적이
된다는 것이다. 결국 탁명환 씨가 설정한 이단 판별의 기준은 중세적인 로마 가톨릭교회의 입장을
힘 있게 대변한 데 불과하다. 사도신경에 대한 충성 여부를 정통과 이단의 판별 기준으로 삼는다면
로마 가톨릭교회는 최선의 정통이 되는 것이다.”
종교개혁을 통하여 확인된 개신교의 정신은, “오직 성경” 만이 신앙의 규범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로마 가톨릭교회는 1546년 4월 6일, 개회 중이던 트렌트 종교회의(1545~63) 제4회기 동안,
“성경과 정통은 동등한 권위를 가진 것으로 용납되어야 한다”는 치명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참 신앙의 뿌리를 찾아 바르게 믿고 바르게 판단하는 그리스도인의 양식이 참으로 아쉽기만 하다.
***
결론
----------
서두에서 밝힌 대로 안식일교회는 사도신경의 일반적인 내용을 부정하지 않으며 그것을
공중 예배 시의 신앙고백으로 사용하는 것을 정죄하는 입장을 취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인간이 제정한 모든 신조가 그렇듯이 사도 신경 역시 그 역사적 배경이나 성경적인 빛으로
볼 때에 그것을 그렇게 해야 할 필요를 느끼지도 않는다.
“사도 신경 해설”을 저술한 도날드콜의 솔직한 고백대로, “‘지옥에 내려가셨다가’와 같은 찜찜한 내용
때문에, 우리가 사도 신경을 고백할 때마다 이 사실들에 대해 생각하게 되면 의심스러운 마음이 생긴다”는
것만으로도 그것을 공중 예배의 신앙고백으로 택하기를 꺼리는 충분한 이유가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신앙고백의 목적이 양심적으로 의심 없이 믿는 것을 고백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사도신경을 정통과 이단을 가리는 판별 기준으로 삼아 같은 그리스도인 형제를 이단으로 정죄하는 일은
명백히 성경의 원칙과 그리스도인 정신에 어긋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사도가 가르친 모든진리들을 실천하고 각자 생애에서 품성으로 나타내는것이 그것이 본래의 목적이다
그것이 더 가치있는 판단기준이다
“너희는 어찌하여 너희 유전으로 하나님의 계명을 범하느뇨”(마 15:3)
라고 말씀하신 우리 주님의 교훈이 생각나기 때문이다.
사도 신경 사용 여부로 형제의 신앙을 비평하는 일은 성서 신앙에 어긋남을 알리고 싶다.
(김종근 목사님의글을 일부발췌했음을 알려둡니다)
**********
발췌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