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
존자(尊者) 중현(衆賢) 지음
삼장법사(三藏法師) 현장(玄奘) 한역
권오민 번역
[일러두기]
1. 목차는 번역본의 제목을 그대로 두되, 번호의 체계는 바꾸었다.
2. 게시판에는 1.1. 등의 절별로 싣되, 내용과 분량을 고려하여 적당히 나누어 실었다.
[목차]
아비달마장현종론 제1권
1. 서품(序品)
2. 변본사품(辯本事品)
2.0. 서설
1) 서분(序分)-귀경게(歸敬偈)
2) 대법(對法) 즉 아비달마의 본질
3) 대법장(對法藏,아비달마코샤)의 의미
4) 아비달마의 목적과 설자(說者)
2.1. 법의 분별
1) 총설
2) 유루
3) 무루
4) 유위법과 그 이명(異名)
5) 유루의 이명(異名)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권
2.2. 제법의 분별②, 5온ㆍ12처ㆍ18계
1) 색온(色蘊)
2) 수(受)ㆍ상(想)ㆍ행(行)의 3온(蘊)
3) 식온(識蘊)과 의처(意處)와 7심계(心界)
4) 18계의 성립이유
2.3. 온ㆍ처ㆍ계의 3과(科)의 분별
1) 일체법과 3과의 상호 포섭관계
2) 18계의 조건-안ㆍ이ㆍ비처는 왜 각기 2계가 아닌가?
3) 3과의 명의(名義)와 가실론(假實論)
4) 3과의 건립 이유
5) 심소법 중 수(受)ㆍ상(想)만을 별도로 설정한 이유
6) 5온과 무위법
7) 5온의 순서
아비달마장현종론 제3권
8) 6근ㆍ6경ㆍ6식의 순서
2.4. 3과 분별에 따른 그 밖의 문제들
1) 색처(色處)와 법처(法處)
2) 교법 즉 법온(法蘊)과 5온의 포섭관계
3) 법온의 양에 대하여
4) 그 밖의 다른 온ㆍ처ㆍ계와 3과의 포섭관계
5) 6계 중의 공계(空界)와 식계(識界)에 대하여
2.5. 18계의 제문분별(諸門分別)
1) 유견(有見)ㆍ무견, 유대(有對)ㆍ무대, 선 등 3성(性) 분별
2) 3계(界)의 계속(繫屬)관계 분별
3) 유루ㆍ무루 분별
4) 유심유사(有尋有伺) 등의 분별
5) 유소연(有所緣)ㆍ무소연, 유집수(有執受)ㆍ무집수 분별
6) 대종과 소조, 극미 적집(積集)과 비적집 분별
7) 능절(能折)ㆍ소절(所折), 능소(能燒)ㆍ소소(所燒), 능칭(能稱)ㆍ소칭(所稱) 분별
8) 이숙생(異熟生)ㆍ소장양(所長養)ㆍ등류성(等流性)ㆍ유실사(有實事)ㆍ일 찰나(一刹那) 분별
9) 득(得)ㆍ성취(成就) 분별
10) 내(內)ㆍ외(外) 분별
11) 동분(同分)ㆍ피동분(彼同分) 분별
아비달마장현종론 제4권
12) 견소단(見所斷)ㆍ수소단(修所斷)ㆍ비소단(非所斷) 분별
13) 견(見)ㆍ비견(非見) 분별
14) 능식(能識)ㆍ소식(所識), 상(常)ㆍ무상(無常), 근(根)ㆍ비근(非根) 분별
아비달마장현종론 제5권
3. 변차별품(辯差別品)
3.1. 22근(根)
1) 근의 본질과 작용
2) 근의 설정조건
3) 제근(諸根) 각각에 대한 해명
3.2. 22근의 제문분별(諸門分別)
1) 유루ㆍ무루 분별
2) 이숙ㆍ비이숙 분별
3) 유이숙(有異熟)ㆍ무이숙(無異熟) 분별
4) 선ㆍ불선ㆍ무기 분별
5) 3계계(界繫) 분별
6) 견ㆍ수ㆍ비소단 분별
3.3. 22근의 획득과 성취
1) 3계 초생(初生) 시 처음으로 획득하는 이숙근의 수
2) 3계 명종(命終)시 최후로 멸하는 근의 수
3) 사문과(沙門果)를 증득하게 하는 근의 수
4) 22근 상호간의 성취와 불성취의 관계
5) 최소한과 최대한으로 성취되는 근의 수
3.4. 유위제법의 구생(俱生)관계
1) 총설(總說)
2) 색법의 구생관계
3) 심ㆍ심소ㆍ불상응행법의 구생관계
3.5. 심소법(心所法)
1) 심소법 총론
2) 대지법(大地法)
3) 대선지법(大善地法)
아비달마장현종론 제6권
4)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5) 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6)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7) 심소법의 구생관계
8) 서로 유사한 심소법의 분별
9) 심ㆍ심소법의 이명(異名)과 오의평등(五義平等)
3.6.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
1) 불상응행법이란 무엇인가?
2) 득(得)과 비득(非得)
아비달마장현종론 제7권
3) 동분(同分)
4) 무상과(無想果)
5) 무상정(無想定)
6) 멸진정(滅盡定)
7) 명근(命根)
8) 유위 4상(相)
아비달마장현종론 제8권
9) 명(名)ㆍ구(句)ㆍ문(文) 3신(身)
10) 불상응행법의 제문분별
3.7. 제법의 인과론(1)
1) 6인론(因論)
2) 5과론(五果論)
아비달마장현종론 제10권
3) 6인의 취과(取果)과 여과(與果)
4) 서방사(西方師)의 9과설
5) 제법과 6인의 관계
3.8. 제법의 인과론(2)
1) 4연론(緣論)
아비달마장현종론 제11권
2) 4연의 작용
3) 제법의 연생(緣生)관계
4) 특히 대종과 소조색의 연생관계
5) 등무간연이 되는 심ㆍ심소법의 상생(相生)관계
아비달마장현종론 제12권
4. 변연기품(辯緣起品)
4.1. 유정세간과 기세간
1) 3계(界)
2) 5취(趣)
3) 7식주(識住)
4) 9유정거(有情居)
5) 4식주(識住)
4.2. 유정의 종류와 그 전생(轉生)
1) 4생(生)
아비달마장현종론 제13권
2) 중유(中有)
3) 중유의 4종 입태(入胎)
4) 무아(無我)와 윤회상속
아비달마장현종론 제14권
4.3. 12연기(緣起)에 따른 윤회전생
1) 12지(支)의 3세 양중(兩重)의 인과
2) 12지(支)에 대한 해명
3) 연기에 대한 네 가지 해석과 분위(分位)연기
4) 3제(際)에 걸쳐 12연기를 설한 이유
5) 3세 양중(兩重)의 인과관계
① 혹(惑)ㆍ업(業)ㆍ사(事)의 분별
② 혹ㆍ업ㆍ사의 상생(相生) 관계
6) 연기법과 연이생법(緣已生法)
7) 무명(無明)에 대하여
아비달마장현종론 제15권
8) 명색(名色)에 대하여
9) 촉(觸)에 대하여
10) 수(受)에 대하여
11) 비유(譬喩)에 의한 혹(惑)ㆍ업(業)ㆍ사(事)의 관계
4.4. 유정의 지속ㆍ사멸과 세 가지 결정적 부류[定聚]
1) 4유(有)의 염ㆍ불염과 3계에서의 존재유부
2) 유정이 4유(有)로 머물게 되는 조건-4식(食)
3) 유정이 태어나고 죽을 때의 식(識) 등에 대하여
4) 유정의 세 부류―3聚
아비달마장현종론 제16권
4.5. 기세간(器世間)의 구조 및 유정의 크기와 수명
1) 3계(界)의 근본―3륜(輪)
2) 9산(山)
3) 8해(海)
4) 4대주(大洲)
5) 남섬부주(南贍部洲)의 산하
6) 날락가(捺洛迦,지옥)
7) 방생과 아귀
8) 해와 달
9) 제천(諸天)과 그곳의 유정
10) 삼천대천세계의 크기
아비달마장현종론 제17권
11) 제 유정의 신장
12) 제 유정의 수명
4.6. 공간과 시간의 단위 및 세계의 주기
1) 공간[色]과 시간의 단위
2) 괴(壞)ㆍ성(成)ㆍ중(中)ㆍ대(大)의 4겁(劫)
3) 부처와 독각과 전륜왕
4) 겁초의 유정과 국왕의 옹립
5) 겁이 감소할 때의 크고 작은 세 재앙
아비달마장현종론 제18권
5. 변업품(辯業品)
5.1. 업(業)
1) 업론 총설
2) 신(身)ㆍ어(語)의 표업
3) 무표업(無表業)
4) 업과 대종
5) 표ㆍ무표업의 제문(諸門)분별
아비달마장현종론 제19권
5.2. 세 가지 무표업-율의ㆍ불율의ㆍ비율의비불율의
1) 총설
2) 율의(律儀)
3) 율의와 불율의에 머무는 자의 표ㆍ무표의 성취관계
4) 세 종류 율의의 획득조건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0권
5) 계(戒)의 존속 기한
6) 근주율의(近住律儀)
7) 근사(近事)와 근사율의(5계)
5.3. 율의와 불율의의 획득[得]과 버림[捨]
1) 율의와 불율의의 획득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1권
2) 율의와 불율의의 버림
3) 선ㆍ악의 율의를 성취하는 유정
5.4. 경(經)에서 설해진 온갖 업
1) 선ㆍ악ㆍ무기의 3업
2) 복ㆍ비복ㆍ부동(不動)의 3업
3) 순락수업(順樂受業) 등의 3업
4) 정(定)ㆍ부정업(不定業)과 이에 따른 4업ㆍ5업ㆍ8업
5) 특히 4업설에 기초한 여러 업론
6) 심수업(心受業)과 신수업(身受業)
7) 곡(曲)ㆍ예(穢)ㆍ탁(濁)의 3업
8) 흑흑(黑黑)ㆍ백백(白白) 등의 4업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2권
9) 3모니업(牟尼業)과 3청정업(淸淨業)
10) 3악행(惡行)과 3묘행(妙行)
11) 선ㆍ악의 10업도와 묘ㆍ악행의 관계
5.5. 특히 10업도(業道)에 대하여
1) 10업도와 표ㆍ무표업
2) 업도의 가행(加行)ㆍ후기(後起)와 표ㆍ무표업
3) 선ㆍ불선근과 업도의 가행
4) 악업도가 일어나는 처소
5) 특히 살생업도와 죄의 획득에 대하여
6) 업도의 성취조건
7) 업도의 명의(名義)
8) 단선근(斷善根)과 업도
① 속선근(續善根)에 대하여
9) 업도와 사(思)심소의 구전(俱轉)관계
10) 3계 5취에서의 업도의 성취와 현행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3권
11) 업도에 의해 획득되는 과보
12) 방론―사명(邪命)을 사어(邪語)ㆍ사업(邪業)과는 별도로 설한 이유
5.6. 업과 그 과보
1) 유루업ㆍ무루업과 5과(果)
2) 3성(性)의 업과 3성법의 인과관계
3) 3세(世)의 업과 3세법의 인과관계
4) 제지(諸地)의 업과 제지법의 인과관계
5) 3학(學)의 업과 3학법의 인과관계
6) 3단(斷)의 업과 3단법의 인과관계
5.7. 아비달마(本論)에서 설해진 온갖 업
1) ‘마땅히 지어야 할 업’ 등의 3업
2) 인업(引業)과 만업(滿業)
3) 업ㆍ번뇌ㆍ이숙의 3장(障)
5.8. 특히 업장(業障)에 대하여
1) 5무간업(無間業)의 본질
2) 방론-파화합승(破和合僧)
3) 무간업이 역죄(逆罪)가 되는 이유
4) 역죄 가행의 불가전(不可轉)에 대하여
5) 가장 무거운 죄와 가장 큰 과보를 초래하는 업
6) 무간업과 동류의 업
7) 세 시기에 장애가 되는 업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4권
5.9. 보살과 그가 닦는 업
1) 보살의 결정적인 상[住定位]
2) 보살이 닦는 묘상(妙相)의 업
3) 석가보살이 공양한 부처의 수
4) 석가보살이 친견한 부처
5) 석가보살의 6바라밀다 수행
5.10. 시류(施類)ㆍ계류(戒類)ㆍ수류(修類)의 세 가지 복업사(福業事)
1) 복업사의 정의와 3류(類)의 본질
2) 시류(施類)의 복업사
3) 계류(戒類)의 복업사
4) 수류(修類)의 복업사
5) 계류ㆍ수류복업사의 과보
6) 범복(梵福)의 양과 그 과보
7) 법시(法施)
8) 순복분(順福分)ㆍ순해탈분ㆍ순결택분의 선업
5.11. 업품 여론(餘論)
1) 서(書)ㆍ인(印) 등의 세간 일상의 업
2) 제법의 이명(異名)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5권
6. 변수면품(辯隨眠品)
6.1. 수면론(隨眠論) 총설
1) 근본 6수면
2) 7수면
3) 10수면
4) 98수면으로의 전개
5) 5견(見)
6) 4전도(顚倒)
7) 만(慢)의 차별에 대하여
6.2. 98수면의 제문분별(諸門分別)
1) 변행(遍行)과 비변행(非遍行)
2) 유루연(有漏緣)과 무루연(無漏緣)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6권
3) 상응수증(相應隨增)과 소연수증(所緣隨增)
4) 불선과 무기성의 분별
5) 근(根)ㆍ비근(非根) 분별
6) 방론―세존의 문답방식[問記]과 무기
6.3. 수면의 계박(繫縛)관계와 생기
1) 3세에 걸친 수면의 계박관계
2) 삼세실유론
3) 사(事, 소연의 경계)의 단(斷)과 이계(離繫)의 관계
4) 수면의 수증(隨增)
5) 유수면심(有隨眠心)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7권
6) 10수면의 생기순서
7) 번뇌의 생기인연
6.4. 온갖 번뇌에 관한 그 밖의 문제
1) 경에서 설한 번뇌의 여러 명칭
2) 수면 등의 명의(名義)
3) 번뇌의 그 밖의 명칭
4) 일체 번뇌와 6식(識)의 상응관계
5) 일체 번뇌와 5수근(受根)의 상응관계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8권
6) 5개(蓋)
6.5. 번뇌[惑]의 단멸(斷滅)
1) 단혹(斷惑)의 네 가지 방편
2) 4종(種)의 대치(對治)
3) 단혹의 근거
4) ‘멀다’고 하는 것[遠性]의 네 종류
5) 혹의 재단(再斷)과 이계의 중득(重得)에 대하여
6) 변지(遍知)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9권
7. 변현성품(辯賢聖品)
7.1. 도(道)의 체성(體性)
7.2. 성제론(聖諦論)
1) 4제(諦)
2) 2제설(諦說)
7.3. 가행위(加行位)
1) 서언(緖言)
2) 계(戒)의 안주와 문(聞)ㆍ사(思)ㆍ수(修)의 3혜(慧)
3) 신기청정(身器淸淨)
4) 5정심관(停心觀)
아비달마장현종론 제30권
5) 별상념주(別相念住)
6) 총상념주(總相念住)
7) 4선근(善根)
7.4. 견도위(見道位): 성제(聖諦) 현관(現觀)
1) 16심(心) 현관
2) 인(忍)ㆍ지(智)의 작용과 순서
3) 16심의 견(見)ㆍ수도(修道) 분별
아비달마장현종론 제31권
4) 성제 현관과 성자
7.5. 수도위(修道位)
1) 수혹(修惑)과 그 대치도의 수(數)
2) 예류과(預流果)
3) 일래향(一來向)과 일래과(一來果)
4) 불환향(不還向)과 불환과(不還果)
아비달마장현종론 제32권
7.6. 무학위(無學位)
1) 아라한향(阿羅漢向)과 아라한과(阿羅漢果)
2) 방론: 대치도의 제 문제25)
3) 진지(盡智) 이후에 생겨나는 지(智)
4) 도과(道果):사문성(沙門性)과 사문과(沙門果)
아비달마장현종론 제33권
5) 아라한의 6종성(種性)
6) 연근(練根)의 도
7) 무학위의 총결: 9무학(無學)
7.7. 유학위ㆍ무학위에 걸친 제 문제
1) 7성자의 차별과 근거
2) 구해탈(俱解脫)과 혜해탈(慧解脫)
3) 원만한 유학과 무학의 조건
7.8. 도(道)에 관한 여러 이론
1) 가행ㆍ무간ㆍ해탈ㆍ승진의 네 가지 도
2) 4통행(通行)
아비달마장현종론 제34권
3) 37보리분법(菩提分法)
4) 4증정(證淨)
5) 정해탈(正解脫)과 정지(正智)
6) 싫어함[厭]과 떠남[離]의 관계
아비달마장현종론 제35권
8. 변지품(辯智品)1)
8.1. 서설: 인(忍)과 지(智)와 견(見)의 관계
8.2. 지(智)의 종류와 차별
1) 10지(智)의 전개
2) 10지의 상호 포섭관계
3) 일체지(一切智)를 10지로 설정한 이유
4) 법지와 유지의 대치력의 한계
8.3. 10지의 행상(行相)
1) 10지의 여러 행상
2) 무루지와 16행상
3) 16행상의 실체와 명의(名義)
8.4. 10지의 제문분별(諸門分別)
1) 3성(性)과 소의지(地)ㆍ소의신(身) 분별
2) 10지와 4념주의 상호 포섭관계
3) 10지의 소연의 경계
아비달마장현종론 제36권
5) 온갖 계위에서의 10지의 습수(習修)와 득수(得修)
8.5. 지(智)에 의해 성취되는 공덕
1) 부처만의 공덕: 18불공덕(不共德)
아비달마장현종론 제37권
2) 부처와 성자에 공통되는 공덕
3) 이생과도 공통되는 공덕
아비달마장현종론 제38권
9. 변정품(辯定品)
9.1. 여러 형태의 선정(禪定)
1) 4정려(靜慮)
2) 4무색정(無色定)
3) 8등지(等至)와 미(味)ㆍ정(淨)ㆍ무루(無漏)등지
4) 정려지(支)에 관한 제 문제
아비달마장현종론 제39권
5) 미ㆍ정ㆍ무루의 세 등지에 관한 제 문제
6) 경에서 설한 여러 등지(等持)
아비달마장현종론 제40권
9.2. 선정에 의해 일어나는 공덕
1) 4무량(無量)
2) 8해탈(解脫)
3) 8승처(勝處)
4) 10변처(遍處)
5) 해탈 등의 세 공덕의 획득과 소의신
6) 선정을 일으키는 인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