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은 '길동, 영산, 계산으로 불리었으며, 통일신라 경덕왕 때 영동으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
영동읍을 흐르는 주곡천(主谷川)과 양정천(楊亭川) 즉 이수(二水)가 합쳐져서 영동천(永同川)을 이룬다.
二水를 한 글자로 표현하면 永자가 된다.
즉 영동은 이수(二水)와 길동(吉同)에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부부동반일정은
대전월드컵 경기장(08:00)-금강휴게소(08:30)-반야사(09:10)/문수사(11:00)-추풍령 사슴농원(12:00)
-일미식당(13:00, 올갱이국밥)-와인축제장(14:00)-심천역(15:00)-옥계폭포(15:40)-대전월드컵 경기장(16:30)

반야사 일주문 들어서기 전 주차장에서 바라본 반대편 산세이다.
내리는 순간 아침공기도 좋고 풍광도 정말 좋았다.
가을에 다시 찾고 싶어지는 곳이었다.

주차장에서 내려 반야사로 들어가는 입구이다.
앞에가는 친구 부부와 뒤에 가는 나의 짝궁이다.ㅋㅋ

반야사 입구에 있는 일주문이다.
위압적이지 않아 정말 친근하고 좋았다.
여기서 조금 더 차량이 들어갈 수는 있지만 걸어가면서 숲속의 공기를 느끼는 편이 훨씬 좋다.
걸어가는 것을 강추^^~~

반야사 안쪽에 있는 주차장이다. 반야사가 유명해지고 계곡이 좋아서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반야사 심검당 옆에 있는 신축한 중화당이다.

반야사 현판이 걸려있는 심검당 건물이다. 중화당 앞쪽에 있다.

템플스테이 이벤트행사를 하고 있다. 성인이 1박당 35,000원이네요.

앞쪽 왼쪽 첫번째 건물부터 지장전, 대웅전, 극락전이다.
지장전 앞쪽에 호스릴 소화전이 있다.

지장전 건물 정면이다. 스테인레스 기둥이 경관을 저해한다.

왼쪽의 범종각, 정면의 묵적당, 그리고 파사석이 흘러내려 호랑이 모양으로 보인다는 곳이다.
극락전 앞쪽과 범종각 사이에는 보물 제1371호인 3층석탑이 있다.
그 옆에 있는 불전함과 개집이 경관을 저해하고 있다.

템플스테이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심검당이다.

대웅전 건물 정면이다. 정말 아담하고 수수하다.

반야사 삼층석탑과 500년된 배롱나무 두 그루다. 배롱나무는 사찰이나 서원 등에 많이 심어져 있다.
배롱나무 두 그루가 극락전을 양편에서 더욱 빛나게 한다.
또한 석탑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면 정말 좋다.
아쉬운 점은 석탑 주변의 환경, 특히 조경관리이다.

반야사 3층석탑 안내판이다., 일반인들이 읽으면서 무슨 생각을 할까?

배롱나무 꽃이 많이 졌다. 반야사는 조경이나 관리에 좀 더 신경을 써야 할것 같았다.


스님들의 수양공간인 설법당이다. 새로지은 건물이라 깔끔하고 좋았다.
단 옆에 있는 창고 건물은 경관을 저해하고 있고, 그 앞에 호스릴 소화전이 있는데, 위치적으로 고려가 필요한 듯 했다.

설법당 앞에 있는 적묵당 건물이다. 앞에는 화사석 같은 석조물이 있었다.
여기에다 잘못 불을 지폈다가는 불씨가 날려 큰일 날수도 있겠다. 만일 화사석이라면 치워야 할 듯 하다.

현판의 가운데 글자를 모르겠다. 스님들의 주거공간 같았다.

반야사 수월당 건물같다.

설법당 건물 옆쪽이다. 아직 공사가 다 끝나지 않은 듯 하다.


깍아지른 절벽위에 문수전 건물이 있다.
이곳은 물, 암벽, 소나무가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소나무가 없다.
너무 너무 아쉽다.

백화산 전탑 조감도 안내판이다. 앞으로 문수전 윗쪽으로 묘길상 전탑을 세울 모양이다.???

문수전 단청이 아름답다. 그런데 이곳의 창호가 왜이리 훼손된 걸까?
많은 방문객들이 안쪽이 궁금했나보다.

문수전에서 바라본 북쪽의 산세이다. 저 윗쪽으로 부터 물이 흘러내린다.
반야사의 반야는 '지혜'를 의미하며, 문수보살은 '지혜의 지존'이라고 한다.

문수전 뒷면의 암석이다. 문수전이 절벽위에 지어지다 보니 암석이 떨어질 위험성이 곳곳에 있다.
방문객들 스스로 안전에 신경써야 한다.

반야사 주차장 아래쪽에 있는 부도이다. 잘 정비되어 있었다.


반야사 안쪽 주차장에서 바깥쪽(일주문쪽)으로 나오는 숲길이다. 저 멀리 마님들이 도란도란 이야기 하며 걷는다.

추풍령 사슴농원 카페 건물의 2층이다. 이곳과 같이 노래방 시설된 3개의 방이 있었다.

1층 와인족욕시설이 있는 곳이다. 편안하게 와인족욕을 하면서 책을 읽기도 좋은 곳이다
음악도 정말 좋았다. 힐링하고자 하면 잠깐 와서 쉬었다 가도 좋을 것 같다.

내가 이곳을 꼭 와보고 싶었던 이유 중 하나이다. 유언비를 꼭 보고 싶었다.
부 배소식씨가 온갖 어려움을 겪고서 이곳을 조성한 후 생을 마감하면서 아들들에게 남긴 말이 너무 좋았다.
특히 4계명 중 세번째 '모든 일에 있어 나에게는 엄격하고 남에게는 관대하여라'라는 말이 너무 좋다.
문재인 대통령, 신영복교수 등이 좌우명처럼 생각하는 경구라고 한다.
나도 이 명언을 마음에 새기고 살고 싶다.

농원 안에는 꽃이 많이 심어져 있다. 고인이 부인에게 정말 해주고 싶었던 듯 하다.

식당건물 입구이다. 사전 단체예약제로 운영되는 것 같았다.

단체손님들이 식사를 하려고 대기중이다.

괜찮은 가격인 것 같다. 다음에 가족모임을 여기서 할까?

영동시장 옆 와인축제 공간이다. 어린이들을 위한 공간이다.

와인축제 체험공간이다. 들어가는 입구에서 와인잔을 3,000원에 구입하면 수십 종류의 와인을 경험할 수 있다.

와인체험공간 옆에 있는 주무대이다. 항상 공연을 하고 있었다.

와인체험장 안에도 많은 사람들이 와 있었다. 여포꿈와인이 내가 존경하는 선배님의 상표이다.

난계 박연 선생님이 피리를 들고 즐거 찾았던 옥계폭포이다.
박연 선생은 옥계폭포의 물소리와 난 향기에 취해서 본인의 호도 '난계'라 지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