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종훈 한국사 강의와 교재 내용 관련 질문만 가능하며 그 외 질문은 무통보 삭제됩니다.
※ 질문 내용에 따라 추가 확인이 필요한 경우 순차 처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강의/교재명 : 동형 모고 시즌2
강의 구간/교재 페이지 : 28쪽 4번
문의 내용 :
문제 4번 1번의 예종이 확실히 틀렸기에 답을 찾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향도의 기능 및 역할이 헷갈립니다.
고려의 향도는 전기 => 후기로 가면서
불교적 성격 => 마을 공동체적 성격(마을 행사, 제사 주관)
이라는것 확실히 알겠는데,
☆ 조선은 전기부터 불교 + 마을공동체적 성격이라고
알아두면 될까요?
원래 향도라는 개념은
기원이 삼국시대부터이고
(예시로 김유신의 용화향도 정도 기억)
기능과 역할은 고려,조선 둘다 전기에서 후기로 가면서
불교 >> 마을공동체로 변하였고
특히나 조선 후기의 상두꾼이 여기에서 유래하였다
정도로 간단하게 기억하고 있었는데
조선시대를 ☆처럼 수정해서 암기하는게 정확한거죠?
첫댓글 지금 알고 계신게 다입니다... 그 이상은 투머치... 그리고 자료나 지문을 주고 이게 향도냐 향약이냐 서원이냐 이걸 묻는 문제를 냅니다.. 고려시대 향도와 조선시대의 향도의 미세한 차이를 내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