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시생산시스템(JIT)개념
일본의 도요타 자동차에서 개발한 기법
필요한 부품을 필요한 시간에 필요한 양만큼 공급받아서
생산활동에 모든 낭비의 근원이 되는 재고를 없앰으로 생산공정에서의 비능률과 비생산적 요소를 제거하여
비용절감(원가절감)과 제품품질을 향상을 꾀하고 투자수익을 증대하는것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필요한 때에 필요한 양만큼 당겨서 공급받음으로써
재고를 없애고 작업자와 작업장의 능력을 완전히 활용하려는 노력
JIT의 필요조건
주일정계획 의 안정화
안정된 주일정계획과 이로 인한 생산의 평준화를 선생하여
작업장과 납품업자들이 일정한 수요에 대비할수 있게 함으로써 재구 줄임
로트 크기와 생산준비시간의 축소
수요번동에 대응하기 위해 소로트 반복생산이 필요한데
소로트 반복생산은 수요의 변동에는 적응이 쉬운 반면
생산준비횟수가 증대되므로 생산준비시간의 축소가 필요하다
그룹테크놀로지 기법에 의한 설비배치
생산시간의 축소를 위해 GT기법을 사용하며
GT는 여러가지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개별적인 기계들을 한곳에 배치해 조립라인처럼 운영하는것이다
칸반 방식 이용
칸반이란 시스템 내에서 생산 및 자재의 운반을 허가함으로써
저재의 흐름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엽서 모양의 카드로
칸반방식은 후속공정이 생산에 필요한 자재를 필요로 할 때 선행공정으로 끌어당겨 받는 것 의미한다
린 생산방식
JIT 혹 도요타 생산시스템(TPS)이 국제화 되며 새롭게 발전
작업 공정의 혁신을 통해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기위해 인력,생산설비 등의 생산능력을 필요한 만큼만 유지하면서
생산효율을 극대화하는 시스템
숙련된 기술자들의 편성과 자동화 기계의 사용으로 적정량의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 MRP 시스템 | JIT 시스템 |
재고 | 자산 | 부채 |
로트 크기 | 경제적 로트 | 즉시 필요한 양 |
납품업자 | 기능적 관계 | 인간적 관계 |
조달기간 | 길수록 좋음 | 짧게 유지 |
생산준비시간 | 무관심 | 최소 |
전략 | 계획/PUSH 시스템 | 요구/PULL 시스템 |
생산계획 | 변경이 잦은 MPS | 안정된 MPS |
관리방식 | 컴퓨터 처리 | 보는 관리(칸반) |
품질 | 불량품 인정 | 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