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역사왜곡 소극 대응 논란
일제강점기 때 조선인 강제동원이 대규모로 이뤄졌던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의 세계유산 등재와 관련해
윤덕민 주일본 한국대사가 '전체 역사를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절대 반대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일본 언론들이 이 발언을 전하며 그동안 반대하던 한국 정부의 태도가 변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윤덕민 대사, 니가타현 지사 만나
'전체 역사를 잔영하는 것이 중요
절대 반대 아니다...매우 휼륭한 곳'
문 정부 등 강경대응서 기류 변화
일본내 '적당한 타협 가능' 판단에
외교부 '강제동원 반영 일관 주장'
강제동원 3자배상 양보안 낸 이후
역사문제 원론만 되풀이 '무대응'
12일 주일 한국대사관과 일본 언론 보도를 종합하면 ,윤 대사는 지난달 4일 니가타현에서 하나즈미 히데요 니가타현 지사를
만나 사도광산에서 조선인 강제동원이 이뤄졌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마이너스(부정적) 역사도 있다.
전체 역사를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윤 대사는 현지 일본 기자들과 만나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에 대해 '절대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긍정적으로 협력하고 싶다'며 '(사도광산이) 세계유산으로 등록해도 좋을 정도로 매우 휼륭한 곳'이라고 강조했다.
산케이신문은 '2022년 5월 한.일 관계 개선에 긍정적인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면서
한국 쪽 태도에 변화의 조짐이 생겼다'며 윤 대사의 발언을 전했다.
'세계유산 역사왜곡'에 범정부 차원에서 강경하게 대응했던 전임 문재인. 박근혜 정부와 달리
윤석열 정부가 소극적으로 대응하면서 일본에선 적당한 타협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은 올해 초 하나즈미 지사를 도쿄에서 만나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각국 주일대사를 공략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니가타현은 지난달 25~26일 유세스코 세계유산위원회를 구성하는 21개국 중 우크라이나.베트남 등
11개국의 주일대사관 관계자를 니가타현까지 불러 '사도광산 시찰'을 진행했다.
이에 반해 윤 정부는 지난해 3월 한-일 관계 최대 쟁점이던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를 일방적으로 양보한 이후,
역사 문제에 대해 원칙적인 말만 반복할 뿐 아니라 적극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있다.
세계유산위가 2015년 7월 세게유산으로 등재된 하시마(군함도) 등 조선인 강제동원 논란이 있는 근대산업 시설과 관련해
일본 비판을 대부분 삭제한 권고문을 지난해 9월 채택한 것은 뼈아픈 일이다.
문재인 정부 때 범정부 차원에서 적극 대응해 얻은 큰 성과였기 때문이다.
윤 정부가 새롭게 생긴 유내스코 규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최소한 '2015년 7월수준'을 유지하는 것으 목표로 해야 한다.
2021년 7월 새로 도입된 세계유산협약 운영지침에는 다른 국가의 잠재적 갈등을 피하기 위해 '대화를 충분히 하도록' 돼 있다.
한국은 지난해 세계유산위 위원국으로 선출돼 적극적으로 발언할 기회도 생겼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1월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신청하며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재동원 문제를 노골적으로 피하기 위해
대상 기간을 센고쿠시대(1467~1590) 말부터 에도 시대(1603~1867년)로 한정하는 꼼수를 썼다.
하지만 사도광산에서 1939년 2월부터 약 1500명에 이르는 조선인들이 강제동원돼 가혹한 노동에 사달렸다는 사실이
구체적인 자료와 증언으로 입증된 상태다.
우리 외교부는 12일 '일본의 사도광산 세게유산 등재 추진과 관련하여 우리 정부는 강제동원된 한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사실을 반영하라는 일관된 요구를 전달해왔다'는 입장을 내놨다.
일본이 2015년 하시마를 세계산업유산으로 등재하면서 강제동원 역사를 제대로 밝히겠다고 적극적으로 약속한 것을
지키지 않는 상황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그 부분은 계속 해결해나가기 위해 한.일 간에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도광산의 세계 유산 등재 여부는 7월 21~31일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에서 결정된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박인희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