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의 |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감염에 의한 질환 |
질병 분류 | ∙제3급 법정감염병 |
병원체 | ∙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family Flaviviridae genus Flavivirus |
병원소 | ∙사람, 돼지, 야생조류 |
매개체 | ∙주로 야간에 동물과 사람을 흡혈하는 Culex 종속의 모기에 의해 전파됨 -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 - 주로 돼지가 증폭숙주(amplifying host)로서의 역할 |
전파경로 | ∙ 매개 모기에 물려 감염 -사람이 감염된 초기에는 모기를 감염시킬 만큼 충분한 바이러스혈증이 발생하지 않음 |
잠복기 | ∙5∼15일 |
증 상 | ∙대부분 무증상이거나,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임상 증상이 나타남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떨림, 경련,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20∼30%의 사망률을 보임 ∙합병증: 뇌염의 경우 회복되어도 환자의 30∼50%는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음 |
치사율 | ∙뇌로 감염이 퍼지게 되면, 이중 20~30%는 사망할 수 있음 |
실험실 검사 | ∙확인 진단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Japanese encephalitis virus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항체 검출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추정진단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ELISA를 이용하여 특이 IgM 항체 검출 |
치 료 | ∙대증치료 |
환자 관리 | ∙환자 관리: 표준주의 ∙접촉자 관리: 필요 없음 |
예 방 | ∙매개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6월부터 10월까지 야간에 야외 활동 자제하기 ∙ 야간 외출 시에는 밝은 색 긴 옷을 착용하고, 얼굴 주변을 피해 모기 기피제를 3~4시간 간격으로 뿌리기 ∙ 가정 내 방충망의 정비하고, 캠핑 등 야외 취침 시 텐트 안에 모기장 사용하기 ∙ 매개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주변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 고인 물을 없애기 ∙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2010.1.1.이후 출생 아동)은 표준 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