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무기거래 장황 포착
북한이 1970년대 생산한 노후 무기를 러시아에 공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12일 국가정보원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공격에 사용한 무기 가운데
1970년대 북한산 122mm 다연장로켓포가 포함된 정황이 있어 정밀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한 우크라이나 사진작가가 전장에서 촬영해 공개한 포탄 사진에는 '방-122' '파지' 등
한글이 적혀 있다.
전문가들은 이 포탄이 북한의 122mm 방사포(다연장로켓포의 북한식 표현)용 로켓탄이라고 분석했다.
우크라이나에서 발굴된 한글로 표기된 122mm 포탄에는 생산 시기를 1977년으로 추정할 수 있는 숫자
'77'이 적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우리 군당국은 북한이 러시아에 122mm와 152mm 포탄을 대규모로 공급한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국정원은 '북한의 대러 미사일 수출 동향 등 러시아와 북한 간 군사협력 제반 사항에 관해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러시아에 노후 재고 폭탄을 넘기는 대신 계량형 포탄 개발에도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작년 8월 방사포 공장을 시찰했고, 지난 11일에는 유도 기능이 적용된
신형 240mm 방사포 시험 사격을 참관했다.
또 정보당국은 북한이 무기 개량에 외국 기업의 반도체 등 부품을 조달하는 것으로 보고 동향을 파악 중이다.
최근 영국 무기감시단체 분쟁군비연구소(CAR)는 우크라이나에서 발견된 북한산 탄도미사일 잔해에서
미국과 유럽 부품이 '수벡 개' 발견됐다고 보고했다.
CAR은 북한이 중국 등지에 있는 중계자의 도움을 받아 대북 체제의 감시망을 피해
무기용 부품을 공급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대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