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사고부채 반년 새 1조 넘게 불어
과잉진료·보험사기 대응 필요하지만
늘어지는 시간에 소비자 불만 '숙제'
국내 손해보험사들이 가입자에게 보험금을 줘야 하는 사고가 발생했음에도 이를 아직 지급하지 않고 있는 돈이 반년 만에 1조원 넘게 불어나면서 27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손보사들이 고객의 보험금 요청을 이전보다 깐깐히 들여다보고 있어서다.
손해보험업계는 과잉 진료로 인한 부작용과 날이 갈수록 교묘해지는 보험사기 등에 대응하기 위해 보다 꼼꼼한 심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그에 따른 시간이 늘어질수록 확산될 수밖에 없는 소비자들의 불만은 풀어야 할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17개 손보사들의 발생사고부채는 총 26조8352억원으로 1분기 말보다 5.0%(1조2784억원) 늘었다.
발생사고부채는 계약 상 약정한 보험금을 지급해야 할 사유가 이미 발생했으나, 이를 아직 내주지 않아 보험사의 부채로 잡혀 있는 금액이다. 사고에 따라 가입자에게 내줄 예정인 보험금과 더불어, 지급 여부를 조사한 후 판단하기 위해 쌓아두고 있는 준비금이다.
손보사별로 보면 삼성화재의 발생사고부채가 5조7828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0.2% 증가하며 최대를 기록했다. DB손해보험 역시 4조8281억원으로, 현대해상도 4조4323억원으로 각각 16.5%와 2.6%씩 해당 액수가 늘었다.
-----------------------------------------------------------------------------------------------
금융상품 중 가장 민원이 많은 상품이 보험이다.
그럴 수 밖에 없다.
보험도 일반 상품형태의 서비스다.
보통의 상품은 구입시기와 사용시기가 동일하므로,
문제가 있다면 즉시 환불, 교환 조치로 해결가능하다.
하지만 보험은 구입시기와 사용시기가 대체로 다르다.
문제가 생겨도 교환, 환불이 어렵다.
발생하지 않은 사건을 보장하는 상품의 특성상 약관은 모든 걸 명백하게 기재할 수 없다.
약관의 불명확하고 애매한 부분은 분쟁을 부른다.
보험소비자는 몸이 아파 죽겠는데, 보험사는 약관상 못 준단다..
이런..나쁜 넘들...
소비자의 잘못은 아니다.
보험상품의 특성이 그러하고, 보험사도 정직한 넘들은 아니다.
지급 따지는 보험금만 27조…깐깐해진 손보사 "아직 심사 중" (dailia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