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상예절
문상시 옷차림:
남자: 검정색 양복이 원칙이지만 미처 준비 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 양복도 무방하다. 와이셔츠는 흰색으로 하고 넥타이, 양말, 구두는 검정색으로 한다. 사정상 정장을 하지 못하고 평상복을 입을 경우 단정한 옷차림으로 하며 화려한 무늬의 원색 옷차림을 피하고 치장을 삼가하며 점퍼등의 겉옷을 꼭입는다.
여자: 검정색 상의에 검정색 스커트 차림이 가장 무난하다. 구두, 양말(스타킹)도 검정색이 좋다. 평상복일 경우 단색 계통이 무난하며 화려한 의상이나 몸에 꼭 맞는 옷은 삼간다. 화장도 연하게 하고 특히 핑크나 레드 색상의 짙은 입술화장은 하지 않는다. 귀걸이, 목걸이, 반지 등 액세서리도 가능하면 피하거나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 부고(訃告)를 받았을 때: 사람의 죽음을 알리는 통지가 부고이다. 매우 바쁘게 살아가다 보면 부고를 접하고도 간혹 조문을 망설이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부고를 받았다면 평소 친밀하지 않은 관계라 해도 가급적 조문을 하는 것이 도리이다. 불가피하게 조문을 하지 못하게 될 경우에는 조장(弔狀)이나 조전(弔電) 혹은 조의금이라도 보내는 것이 좋다. 물론 부고를 보내는 쪽에서도 조문객의 입장을 고려하여 신중하여야 할 것이다.
조문 시간: 아주 가까운 친구나 친지로부터 부고를 받을 경우 즉시 가서 도와주는 것이 좋다. 그외의 조문은 상가의 유족들이 성복을 끝내고 조문객을 맞을 준비가 된 후에 가는 것이 예의이다. 일반적으로 임종일 다음날 조문을 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스스럼없는 사이라면 염습이나 입관을 마친 때에도 괜찮다. 3일장이 보편인 상가에서 미리 조문을 받는 경우도 흔히 있다.
조문 절차: 조문을 가서는 풍습이나 종교가 다르더라도 가급적 해당 상가의 상례에 따르는 것이 예의이며 간혹 망인이 장수하시고 돌아가셨을 때 호상(好喪)이라하여 웃고 떠드는 일이 있으나 이는 옳지 않다. ① 상가(빈소)에 도착하면 문밖에서 외투나 모자 등을 미리 벗어 든다. ② 상제에게 가볍게 목례를 하고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③ 분향 방법은 `향나무를 깎은 나무향일 경우는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에 넣는데 이 때 왼손으로 오른손을 받치기도한다. (삼상향이라 하여 조금씩 3번 집어 넣는다) `선향(線香.막대향)일 경우 하나나 둘을(삼상향이라 하여 3개를 쓰기도한다) 집어 촛불에(혹은 라이터가 향 옆에 있으면 그 라이터로) 불을 붙인 다음 향이 타면 불꽃(화염)은 손가락으로 가만히 잡아서 끄던가,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끄던가, 손바닥으로 바람을 일으켜 끈다.(입으로 불지 않는다) 다음은 공손히 향로에 꽃는다.(여러개일 경우에는 하나씩 꽂기도 한다) ④ 일어서서 뒤로 조금 물러나 영좌를 쳐다본 후 두 번 절한다. 종교에 따라 절을 하지 않는 경우는 영좌앞에 꽃을 놓은후 정중히 고개 숙여 예를 표한다. ⑤ 상제들을 향하여 선 후 상제들과 맞절한다. ⑥ 평소 안면이 있는 경우라면 상제에게 조문 인사말을 건네는데 이 때에는 낮은 목소리로 짧게 위로의 말을 하되 고인과 관련 이것 저것 질문을 하는 것은 좋지 않다. ⑦ 조문이 끝나고 물러나올 때에는 두 세 걸음 뒤로 물러난 뒤, 몸을 돌려 나오는 것이 좋다. -
조문시 인사말: 많은 사람들이 문상을 가서 어떤 인사말을 해야 할 지 머뭇거린다. 문상(問喪)이란 말은 상가에 가서 죽은 이에게 예를 올리고 유족을 위로하는 것으로 요즘에는 조상(弔喪:죽은 이에게 예를 표함), 조문(弔問:상주에게 인사를 함) 등과 구분없이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문상시에는 고인에게 재배하고 상제들과 맞절한 후 아무말도 하지 않고 물러나와도 된다. 상을 당한 사람을 가장 극진히 위로해야 할 자리이지만 그 어떤 말도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위로가 될 수 없다는 뜻이며 오히려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더 깊은 조의를 표하는 것이 된다. 마찬가지로 문상을 받는 상주 역시 말을 하지 않아도 되며, 더욱이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전통적인 관습이다. 그러나 실제 문상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나이, 평소의 친소 관계등,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건네는 것이 합리적이다. 격식이나 형식을 차린 표현보다 따뜻하고 진지한 위로 한마디를 미리 문상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다. 상주도 ''고맙습니다'',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등으로 문상에 대한 감사를 표한다. -
조의금(부의금.賻儀金): 조의금은 문상을 마친 후 물러나와 호상소에 접수시키거나 부의함에 직접 넣는다. 상주에게 직접 건네는 것은 결례이다. 부의(賻儀)는 상부상조하는 우리 고유의 전통적인 미풍양속으로 형편에 맞게 성의를 표하되, 혹 여유가 있다 하여 과도한 금액의 부조를 하는 것도 옳지않다. 봉투 앞면에는 부의(賻儀), 근조(謹弔), 조의(弔儀), 전의(奠儀) 등을 쓴다. - 조문시 삼갈 할일: 유족들은 정신적, 육체적으로 지쳐있는 상황이므로 말을 많이 시키거나 고인에 대해 상세하게 묻지 않도록 한다. 상가에서 반가운 친구나 지인 등을 만났을 때 큰소리를 내지말고 조용히 밖에서 대화한다. 궂은 일 등을 돕되 상례절차 등에 대해서는 간섭하지 않는다. 종교나 풍습의 차이가 있더라도 가급적 상가의 예에 따른다. - 잔치집 가는 것보다 초상집 가는 것을 즐겨 하라는 말도 있다.
첫댓글 정말 좋은 정보예요 감사합니다.
감사힙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한번더 되집어 생각하게하는 글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