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이 흡충은 1878년 호랑이의 폐에서 발견되어 Distoma westermani로 명명되었으며, 1899년에 Paragonimus westermani로 개명되었다. 1915년에 생활사가 밝혀졌으며, 세계 여러 지역에서 인체감염을 일으키는 신종들이 보고되었다. 인체 폐흡충증은 중간숙주의 분포지역을 따라 한정된 지역에서 국지적으로 유행하는 지리적 분포양상을 보인다.
2. 형태
충체는 강낭콩 모양으로 퉁퉁하며 갈색을 띠고 길이가 1-2 cm 정도이다. 구흡반과 복흡반은 크기가 비슷하며 충체 크기에 비해 잘 발달하지 않았다. 구흡반은 충체 전단에 위치하며 복흡반은 충체 정중선의 중간 전방에 있다. 소화관은 충체 외측에 구불구불하게 서너 번 굴곡져 충체 후단에 이른다. 난소는 곤봉 모양의 소엽 6개로 분엽되어 충체 중앙부에 위치한다. 고환 2개는 5-6개 소엽으로 분엽되며 충체 후반부 양측에 위치한다. 난소와 고환의 분엽 양상, 충체의 체장-체폭의 비율은 폐흡충속 흡충의 종 감별에 중요한 형태학적 특징으로 이용된다.
충란은 최대 폭이 난개쪽으로 치우친 항아리 모양이며, 황갈색을 띤 미성숙란이다. 크기는 80-100 × 45-65 μm로 대형 충란에 속한다. 난개가 넓고 납작하며 난개 반대쪽 난각이 두껍게 비후(abopercular thickening)해 있다. 유미유충은 꼬리가 매우 짧은 microcercus cercaria이며, 구흡반에 침(stylet)을 한 개 가지고 있다. 피낭유충은 피낭벽이 두꺼운 구형이며 직경은 약 0.4 mm이다. 유충은 붉은색을 띠고 소화관은 구불구불하며 배설낭은 검은 배설과립으로 채워져 있다.
그림 101.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a. 성충, b. 충란, c. 미라시디움, d. 성숙 스포로시스트, e. 제1세대 레디아, f. 제2세대 레디아, g. 유미유충, h. 피낭유충.
3. 생활사
충란은 사람의 객담이나 대변으로 배출된다. 충란은 발육하여 섬모유충(miracidium)이 되고 물에서 난개를 열고 나와서 유영하다가 제1중간숙주인 다슬기(Semisulcospira coreana)의 조직에 침투한다. 섬모유충은 다슬기의 hemocoel에서 무성분열 증식하여 sporocyst, redia를 거쳐 유미유충으로 발육한다. 제2중간숙주는 참게(Eriocheir sinensis), 동남참게(E. japonicus), 참가재(Cambaroides similis) 등이며 다슬기를 잡아먹어서 피낭유충에 감염된다. 유미유충은 꼬리가 매우 짧으며 물속에서 유영한다. 능동적으로 갑각류 중간숙주에 침투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사람이나 포유동물은 제2중간숙주를 날것으로 혹은 덜 익혀서 먹을 때 감염된다. 인체에 감염되면 피낭유충은 십이지장에서 탈낭하고 장벽을 뚫고 복강으로 나온다. 유약충은 복벽 근육에 침입하여 잠시 머무른 후 다시 복강으로 나와서 횡격막과 늑막을 뚫고 폐조직으로 침입한다. 유약충은 두 마리가 짝을 지어서 소기관지 근처에 정착하고, 성장하여 충란을 산란하는 성충이 된다. 인체에 감염된 피낭유충이 성충이 되는 데 6-8주 정도 걸린다.
그림 102. 폐흡충의 생활사.
4. 역학적 특성
자연계 종숙주는 호랑이, 늑대, 여우, 오소리, 너구리, 두더지, 개, 고양이 등이다. 사람은 민물게장, 덜 익힌 참가재, 참게즙 혹은 가재즙을 먹어서 폐흡충에 감염된다. 과거에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홍역 등 불명열 질병에 걸린 유, 소아에게 게즙이나 가재즙을 먹이는 민간요법이 있었는데, 이것이 소아 폐흡충 감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일본에서 멧돼지의 근육을 육회로 먹고 폐흡충에 감염된 증례가 발견되었고, 멧돼지가 운반숙주(paratenic host)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감염자의 대변으로 배출된 충란이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보유숙주인 자연계 종숙주들이 제1중간숙주인 다슬기를 감염시키는 폐흡충의 충란 공급원으로 더 중요할 수 있다.
폐흡충 유행지역은 우리나라, 일본, 만주, 타이완 등 극동아시아와 베트남, 중국 남부 등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에 강화도, 전남 해안지방, 강원도와 경북 내륙지방, 제주도 남제주군 등에서 유행하였다. 최근에는 감염자가 드물게 발견되며 중증환자로 진단되기도 한다. 폐흡충(P. westermani) 이외의 폐흡충속 종이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각 지역마다 고유의 종이 유행한다.
그림 103. 폐흡충의 세계적 분포(Peters and Pasvol(2005)에서 모사).
5. 병리, 병변과 증상
1) 폐흡충증(pulmonary paragonimiasis)
폐흡충은 감염자의 약 55%의 폐에 병소를 형성한다. 폐흡충은 소기관지, 기관지 근처에 정착하며 조직구, 호산구, 중성구 등 염증세포 침윤을 유발하고 육아종을 일으킨다. 육아종은 감염이 지속되면서 섬유조직으로 발전하고 충체 둘레에 두꺼운 충낭(worm capsule)을 형성한다. 충낭에는 대개 폐흡충 두 마리가 들어 있으며, 고등색 고름, 숙주세포, 괴사된 물질, 충란 등이 채워져 있다. 충낭은 소기관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내용물이 기관지로 배출된 후 객담에 섞여서 외계로 배출된다. 감염기간이 오래 경과하면 드물게 충체가 충낭을 탈출하여 다른 조직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충낭을 형성하기도 한다. 충낭 이외의 폐조직으로 침투한 충란을 중심으로 육아종을 형성한다. 흉부 X-선 소견에서 충낭은 충체가 살아 있으면 결절성 낭성 음영(nodular cystic shadow)처럼 보이며 만성감염된 환자에서는 석회화된 병소로 나타난다.
임상증상은 잠행성으로, 서서히 발현되며 오한과 미열을 유발한다. 급성감염 시 피로감, 전신쇠약 등이 나타나며, 심한 기침, 객혈을 하며 갈색 무늬의 피가 섞인 가래를 배출한다. 호흡곤란과 흉통이 있으며, 흉통은 운동을 하면 더 심해진다. 합병증으로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늑막염, 기흉, 농흉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림 104. 폐의 충낭(worm capsule)내에 들어 있는 두 마리의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 10.
2) 이소 폐흡충증(ectopic paragonimiasis)
감염자의 약 45%의 경우 폐흡충이 폐 이외의 장기에 침범하여 병소를 형성한다. 이소기생부위에는 복강내 장기, 뇌척수, 피하조직 등 거의 모든 장기가 해당한다.
(1) 복부 폐흡충증(abdominal paragonimiasis)
장벽을 뚫고 나온 유약충이 복근을 경유하여 복강을 지나 폐조직으로 이동하는 정상경로에서 벗어나, 복강내 어떤 장기에 침입하여 정체된 경우에 발생한다. 복근, 장벽, 척추간근, 간, 신장, 그물망, 난소, 자궁 등에 기생한다. 충낭에 배출구가 없으므로 낭내용물이 축적되고 염증반응이 더 심하고 종괴가 더 커진다. 침범된 장기에 따라 충체 배설물이 축적되고 복부둔통, 압통, 경직, 간농양, 설사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 뇌 폐흡충증(cerebral paragonimiasis)
뇌폐흡충증은 측두엽과 후두엽에서 자주 발생한다. 흉강에 들어온 폐흡충 유약충이 경정맥이나 림파관 주위의 연부조직을 따라 올라와서 뇌실질을 침범하여 발생한다. 충체와 충란 둘레에 아교질흉터(collagen scar)가 형성되고 염증세포 침윤이 일어난다. Jacksonian type 전간발작, 두통, 반신불수, 편마비, 시각장애, 뇌막염 등이 나타난다.
그림 105. 뇌폐흡충증 환자의 충낭 속에 들어 있는 충체 debris와 충란. 만성감염 증례.
6. 진단
1) 과거력
참게, 참가재를 날것으로 먹거나 덜 익혀서 먹은 경험이 있는지 확인하여 진단에 참고해야 한다.
2) 객담 현미경 검사
환자의 30% 이하에서 충란이 검출된다. 급성감염기에는 충낭이 기관지와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객담에서 충란이 발견되지 않는다. 객담의 갈색 무늬를 채취하여 검사하면 충란이 발견될 가능성이 더 높다. 객담은 점성이 높으므로 0.1N NaOH(또는 KOH)에 녹인 후 원심분리하여 침사를 검사한다.
3) 대변 현미경 검사
객담을 삼키는 버릇이 있는 환자, 어린이, 노인은 위세척액이나 대변에서 충란이 검출될 수 있다. 대변은 포르말린-에텔 집란법을 이용하면 대변에서의 충란검출률을 높일 수 있다. 충란은 회충 불수정란(unfertilized egg)과 감별을 요한다.
4) 방사선영상검사
흉부 X-선 검사, 전산화단층촬영법(CT), 자기공명영상법(MRI) 등 영상검사법이 도움이 된다.
5) 면역혈청학적 검사
효소면역측정법(ELISA)에 단백질 조항원 혹은 재조합단백질이 사용되며, 민감도와 특이도가 우수하여 환자진단에 이용된다. 피내반응검사는 특이도가 매우 낮아서 다른 기생충감염과 교차반응하며 치유가 된 후에도 장기간 동안 양성결과를 보이는 단점이 있다.
7. 치료
Praziquantel의 구충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Praziquantel 25 mg/kg을 1일 3회씩, 2-3일 경구투여한다.
8. 예방
참게나 참가재를 생식하지 않고 완전히 익혀서 먹는 것이 확실한 예방법이다. 참게 게장은 완전히 숙성시켜서 근육이 풀어진 후에 반찬으로 먹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