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주변국왕조의 연표
연표 1 데이비드 롤에 의한 연표
기원전 1667년 수무아붐 즉위(~1653년경) 14년간 재위
기원전 1653년 수물라엘 즉위(~1617년경) 36년간 재위
기원전 1617년 사비움 즉위(~1603년경) 14년간 재위
기원전 1603년 아필신 즉위(~1585년경) 18년간 재위
기원전 1585년 신무발리트 즉위(~1565년경) 20년간 재위
기원전 1565년 함무라비 즉위(~1522년경) 43년간 재위
기원전 1550년경 마리의 질림림 즉위하였을 것이라고 봄,바빌로스의 얀틴-암무왕은 이때쯤 인물로
~ 1530년까지)
기원전 1531년 함무라비 시리아 북동부 마리를 공격하여 짐릴림 왕의 아름다운 궁전을 파괴
기원전 1522년 삼수일루나 즉위(~1484년경) 38년간 재위
기원전 1484년 아비에샤 즉위(~1456년경) 28년간 재위
기원전 1456년 암미디타나 즉위(~1419년경) 37년간 재위
기원전 1419년 암미사두가가 즉위(~1398년경) 21년간 재위
기원전 1398년 삼수디타나 즉위(~1362년경) 36년간 재위
기원전 1362년 아시리아왕 아슈르발리트 즉위(~1327년) 35년간 재위
기원전 1290년경 힉소스족의 15왕조의 초대파라오인 살리티스는권력을 잡음
기원전 1194년년 제18왕조가 시작
기원전 1183년경 힉소스의 지배가 끝남
기원전 1130년 예프타 사사가 됨(~1110년)
기원전 1133년 아슈르-레시시 즉위(~1116년)
기원전 1126년 아신왕조의 네부카드네자르 1세 즉위(~1105)
기원전 1073년 아슈르-벨-칼라 즉위(~1056년)
기원전 1022년 아케나텐은 공동섭정왕이 됨
기원전 1012년 5월 9일 우가리트에서 일식 현상 발생.
기원전 1077년경 아슈[루]발[리트] (왕)이 있었음
기원전 986년 시리크티-슈카무나 즉위
기원전 971년 솔로몬 즉위
기원전 968년 예루살렘에 제1신전 착공
기원전 911년 아다드-니라리 2세 즉위(~891) 20년간 재위 이당시 히타이트는 하투실리스3세가 다스림
기원전 890년 투쿨티-니누르타 2세 즉위(~884)6년간 재위 이당시 히타이트는 투달리야스4세가 다스림
기원전 858년 샬마네세르 3세 즉위(~828년) 30년간 재위 이당시 히타이트는 투달리야스 4세가 다스림
기원전 853년 이스라엘 왕 아하브가 카르카르 전투에 참전
기원전 825년 아시리아, 이스라엘왕 예후한데 공물을 받음
기원전 798년 아비바알이 비블르스의 왕이었으며 쇼생크1세는 이집트의 파라오 였음
기원전 778년 예히밀크가 비블르스의 왕이었음
기원전 758년 엘리바알은 비블르스의 왕이었으며 오소르콘1세는 이집트의 파라오 였음
기원전 738년 시피트 바알이 비블르스의 왕으로 있었음
기원전 716년 사르곤2세가 남진하여 이집트 북쪽 구경에 이르름
기원전 669년 아슈르 바니팔 즉위(~627)
기원전 664년 아슈르바니팔이 이집트의 테베를 약탈
-------------------------------------------------------------------------------------
연표 2
기원전 2670년 이집트의 고왕국시대~2150)
기원전 2100년 미케네인(아카이아인)들 그리스 대륙으로 이주하여 그곳에 있던 고대문화 주거지 정복
기원전 2047년 우르의 우르남부가 다시금 수메르인의 지배권을 확립했다.
기원전 2040년 이집트의 중왕국시대(~1650)
기원전 2000년 메소포타미아에도 두번쩨 셈족의 이주가 시작
기원전 1650년 힉소스족의 지배(~1550)
기원전 1628년 테라(산토린)의 화산이 폭발하여 주변의 문화권들이 큰 변화를 겪음
기원전 1531년 히타이트의 왕 무르실리 1세가 바빌론을 습격 함무라비 왕조는 멸망
기원전 1500년 델리피누 즉위
기원전 1450년 미탄니 왕국의 급부상 지단타 2세 즉위 ,
기원전 1420년 루드알리야 2세 즉위(~1400)
기원전 1400년 아르누완다 1세 즉위(~1375)
기원전 1375년 투드할리야 3세 즉위(~1355)
기원전 1350년 미탄니 왕국 멸망 혹 급쇠
기원전 1355년 수필라우마 1세 즉위(~1320)
기원전 1320년 아르누완다 2세 즉위(~1318)
기원전 1318년 무르실리 2세 즉위(~1290)
기워전 1290년 무와탈리 2세 즉위(~1272)
기워전 1272년 무르실리 3세 즉위(~1266)
기원전 1266년 하투실리 3세 즉위(~1236)
기원전 1236년 투드할리야 4세(~1215) 쿠룬타 (1220)
기원전 1215년 아르누완다 3세(1215)
기원전 1214년 수필라우마 2세(-1190)
기원전 1197년 투쿨티-닌우르타 1세가 살해당함
기원전 1176(5)에 2차 해양민족들의 전쟁 발생
기원전 1169년 키쉬왕조 아시리아에게 멸망당함
기원전 1157년 키쉬 왕조 완전 멸망
기원전 717년 아시리아의 팽창하기 시작함.
참고: 함무라비 (1728~1686) 아모세 1세(1550~1525)-아멘호테프 1세(1525~1504)-투트모세 1세(1504~1492)-투트모세 2세 (1492~1479)-하트셉수트(1479~1458) 투트모세 3세(1479~1425, 1458년부터 단독 통치) - 아멘호테프 2세(1428~1397)-투트모세 4세(1397~1388)-아멘호테프 3세(1388~1351)-아켄아텐(1351~1334)-세멘 크카레(1337~1333)-투탕카문(1333~1323)-아이(1323~1319)-하렘하브(1319~1292)-람세스1세 (1292~1290)-세티 1세(1290~1279)-람세스 2세(1279~1273)-메렌프타흐(1213~1203)-람세스 3세 (1183/82~1152/51) 앗슈르-우발리트 1세(1353~1318)-엔릴 니라리(1318~1308)-어더두 나러라 1세(1296~1264)-샬만에세르 1세(1264~1234)-투굴티-닌유르타 1세(1233~1197)
-------------------------------------------------------------------------------------
연표 3
BC2812~2687년 : 길가메쉬가 우르크 제1왕조의 5번째 왕위에 올라 126년동안
BC2600년 : 최초의 셈어로 알려진 악카드어가 나타나기 시작.
BC 2335년: 싸르곤 1세가 키쉬 제4왕조의 통치자 우르자바바 밑에 있다가 왕의 치세 37년에 최초의 셈족국가인 악카드를 탄생시키고, 최초로 수메르와 북메소포타미아의 절반을 단일국가로 묶어낸다. 이후 악카드가 우르크 제4왕조로 왕권이 넘어가고, 구티인, 우르크 제5왕조, 우르 제3 왕조가 차례로 왕권을 이양받다
BC 2123년 : 히브리족의 조상이며 최초의 족장이라는 아브람 출생
BC 2094년 우르 제3왕조를 개국한 우르남무가 18년동안 다스린다음,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가장 총명한 명군 슐기가 왕위에 올라약48년동안 수메르 문예 부흥을 주도.
BC2004년 : 우르 제3왕조의 5번째 왕 입비-씬을 마지막으로 왕권이 아모리인의 이씬 왕조로 넘어가면서 수메르 시대는 종말을 고하다. 우르 제3왕조는 수메르의 숙적 엘람인의 반란과 침공을 받고, 바빌로니아 제1왕조를 세운 서西셈족 계열의 아모리인의 침략을 받아 멸망, 이씬 왕조는 약 100동안 아모리계의 라르싸와 1세기 이상 대립하다 라르싸에게 멸망하다.
기원전 1792년 바빌론 제1왕조 6대왕 함무라비 즉위(~1750)
기원전 1531년 : 힛타이트 군대에 의해 바빌로니아 가 유린되고 바빌로니아 제1왕조가 끝난다.
기원전 1500년 :중中앗씨리아 미탄니 왕국에게 예속됨
기원전 1363년 앗슈르우발리트 즉위
기원전 1440년 :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끌고 이집트를 탈출.
기원전 1169년 : 바빌로니아의 카시트 왕조가 앗씨리아에게 멸망당하다.
기원전 1000년 : 히브리족의 다비드가 여러지파를 통합하여 최초의 이스라엘왕국을 예루살람에 세움
기원전 721년 :싸르곤2세가 히브리족의 북왕국인 이스라엘의 성도 사마리아를 정복
기원전 668년 : 앗슈르바니팔 즉위,41년간 통치
기원전 625년 :나보폴라아싸르가 신바빌로아 (칼데아 왕조)를 세우다.
기원전 612년 : 앗씨리아의 수도 니느웨가 신바빌로니아와 이란계의 메디아 연합군의 공격으로 파괴 되고,2년후 멸망하다
-------------------------------------------------------------------------------------
연표 4 아일리프의 이집트 연표
기원전 2695년 제3왕조 건국
기원전 2160년 고왕국 종말
기원전 2160년 제1중간기(~1991)
기원전 1991년 중왕국 시대(~1785)
기원전 1785년 제2중간기(~1540)
기원전 1540년 신왕국시대(~1070)
기원전 1054년 투트모세 1세 즉위(~1494)
기원전 1184년 람세스 3세 즉위(~1153) 이당시 아시아 지역에 대한 패권 상실
기원전 1099년 람세스 11세 즉위(~1069)
기원전 1070년 제3중간기(~712)
기원전 900년경 상누비아에서 국가가 다시 등장
기원전 728년경에 피안키 왕 이집트에 영향을 가함
기원전 690년 타하르카 즉위 (~664)
기원전 664년 리비아인의 이집트 통치기(~525)
기원전 656년까지 나파타의 이집트 통치
-------------------------------------------------------------------------------------
연대 5 게오르그포이어스타인의 인도 연표
기원전 14000년 에서 12000년 사이 요르단 강변에 있는 아인구에브 유적 발생
기원전 6000년경 신석기 유적인 머가르 문명
기원전 3180년경 이집트의 첫번째 왕조 성립
기원전 3113년 8월 12일 마야의 세계 주기의 시작
기원전 3102년 칼리 유가가 시작됨
기원전 3100년경 기후가 절정에 도달,우루의 첫번째 왕조 성립 첫번째 통치자는 메산니파다
기원전 3000년경 미노아 문명 나타남, 하랍빠 시대 ,북극성은 알파 드라코니스(용자리의 주성)였음. 현재는 알파폴라리스 임
기원전 2700년경 제4왕조 파라오 게프렌(카우프레)
기원전 2371사르곤 즉위(~2316)
기원전 2307년 사르곤의 손자 마니수투수 즉위(~2292)
기원전 1900년경 인도 북부에서 큰 이변이 생겨 하랍빠 등 초기 인도의 문명이 붕괴, 대규모 지각변동이일어났으며 동시에 화산들도 분출
기원전 1800년경 시리아 북부의 삼시-아다트에서 차가르 바자르 점토판 만들어짐
기원전 1628년 그리스의 작은섬 산토리니(쎄라)에서 화산폭발
기원전 1250년경 광범위한 홍수가 아나톨리아에서 발생 청동기 시대 도시였던 티린스를 매몰시킴
기원전 1200경에는 미노아 문명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
기원전 1100년경 기후가 절정에 도달
기원전 536년 부터 15년 동안 유성의 충돌에 의한 나무 성장이 위축
--------------------------------------------------------------------------
연표 6 마틴 버넬의 연대
기원전 23세기 초기 청동기 문명은 붕괴.메소포타미아에서는 구티족의 침입.프리기아어나 원元아르메니아로르 사용했다고 여겨지는 집단 아나톨리아를 칩입.그리스 본토 파괴.이시기와 이후 몇 세기 동안 초기 헬라딕 2기 말에 대규모 파괴
기원전 21세기 제1중간기의 와해에서 회복 제11왕조가 중왕국을 확립. 크레타에서 왕궁의 건립.
기원전 2000년 제12왕조의 발흥과 더불어 왕실의 멘추 숭배를 폐지. 새 왕조는 상 이집트의 숫양 신 아몬을 수호신으로 삼음.
기원전 1900년경 이집트 파라오 센우세레트 1세의 정복, 그리스 초기 헬라딕 3기말 정도가 덜하기는 하지만 또 한 차례의 파괴.
기원전 1720년 힉소스의 이집트 침입 지배.
기원전 1626년 테라섬의 화산폭발.
기원전 1575년 이집트 힉소스의 지배에서 벗어남.
기원전 15세기 중반 제18왕조는 레반트에 강력한 제국을 확립함
기원전 14세기초 아나톨리아에서 펩롭스 가문 혹은 아카이아인이 그리스에 침입
기원전 1450년 크레타 이집트에 공물을 바침.
-------------------------------------------------------------------------------------
연표 7 브리타니카 백과사전 연표
기원전 4500~4000년 수메르어를 쓰지 않는 비(非)셈계 종족 우바이드인이 정착
기원전BC 3300년경 수메르인들이 아나톨리아 주변으로부터 수메르로 들어왔을 것으로 추측
기원전 2800경 분립한 도시국가들을 통일한 최초의 왕은 키시의 통치자 에타나였다
기원전 2530년 엘람인 수메르 지배(~2450)
기원전 2334년 아카드 왕 사르곤 즉위(~2279 )
기원전 1900년 이후 셈족 아모리족이 메소포타미아의 모든 지역을 지배
기원전 1894 바빌론은 아모리 왕조의 왕 수무아붐이 BC 1894년에 세운 작은 왕국의 토대가 되었다.
기원전 1813년 아시리아 아무르인 출신의 샤마시 아다드 1세 즉위(~1781)
기원전 1792년 함무라비 즉위(~1750)
기원전 1595년 히타이트족의 침략을 받음
기원전 1570년경부터 4세기 이상 카시테 왕국이 바빌론을 지배
기원전 1365년 아시리아 왕 아슈르 우발리트 1세 즉위(~1330)
기원전 1244년 아시리아 왕 투굴티니누르타 1세 즉위(~1208)
기원전 1234년 아시리아의 투쿨티 니누르타 1세가 바빌론을 차지
기원전 1158년 엘람인들이 바빌론을 차지함
기원전 1157년 엘람이 부강해져 카시테 왕조를 무너뜨림
기원전 1124년 바빌로니아 왕 네부카드네자르 1세 즉위 (~1103)
기원전 1115년 아시리아 왕 티글라트 필레세르 1세 즉위 (~1077)
기원전 1000년 바로 전에 아람인 이민자들 때문에 바빌론에서는 행정적 혼란이 발생
기원전 934년 아시리아 왕 아슈르 단 2세 즉위(~912)
기원전 911년 아시리아 왕 아다드 니라리 2세 즉위(1~891)
기원전 883년 아시리아 왕 아슈르나시르팔 2세(정확한 이름은 아슈르 나시르 아플리) 즉위(~859)
기원전 858년 아시라아 왕 샬마네세르 3세 즉위(~824)
기원전 744년 아시라아 왕 티글라트 필레세르 3세 즉위 (~727)
기원전 726년 아시라아 왕 샬마네세르 5세 즉위(~722)
기원전 751년 아시라아 왕 사르곤 2세 즉위(~705)
기원전 704년 아시라아 왕 센나케리브 즉위(~681)
기원전 680년 아시라아 왕 에사르하돈 즉위(~669)
기원전 668년 아시라아 왕 아슈르바니팔 즉위(~627)
기원전 648년 아시리아 왕 아슈르바니팔 바빌론을 함락시킴
기원전 626년 나보폴라사르는 바빌론을 왕국의 수도로 정함
기원전 614년 아슈르 함락
기원전 612년 니네베가 함락
기원전 609년 아시리아 혼란중에 멸망
기원전 605년 네부카드네자르 2세 즉위(~562)
기원전 587년 유다와 예루살렘을 파괴됨
기원전 556년 나보니두스 즉위(~539)
-------------------------------------------------------------------------------------
에타나는 누구인가? 그는 키쉬 제1왕조의 13번째 통치자로 전설적인 수메르 왕이었다. 약4700~4800년 전길가메쉬와 전쟁을 벌였던 아가는 이 왕조의 23번째의 왕이었으니 에타나가 얼마나 오래전에 존재했 던 왕이었는지를 상상해보라. 아가는 대홍수이후 하늘에서 다시 왕권이 내랴와 수메르 땅에 세워진 최초의 도시국가인 키쉬 제1왕조의 23대 통치자이며, 엔메바라게씨의 아들 이었다. 또한 그는 이 왕조의 마지막 왕이 었다.
기원전 2812년 우루크 제1왕조의 5번째 왕 길가메쉬 즉위하였다.(BC 재위 2812~)길가메쉬 사후에도 우르크 제1왕조는 계속 되었다.
대홍수 이후 지금으로부터 약 4700년 전까지 키쉬에서 우루크로 이어진 수메르의 도시국가에서는 길가메쉬를 포함하여 벌써 28명이나 되는 왕이 왔다가 사라졌다!
우르크 제1~3왕조가 끝난뒤에 최초의 셈족국가 악카드의 싸르곤 1세가 세상의 지배자가 되었다. 수메르족의 힘은 여기서부터 셈족 에게 기울기 시작했다.
아가데(지명이름)에서, 그의(싸르곤 1세) 아버지는 정원사였던 ,키쉬 제4왕조의 두번째 통치자 였던 우르-자바바의 술을 따르던 자, 싸르곤이 아가데의 왕이 되었고, 아가데를 건설하였다. 그는 56년을 다스렸다.
싸르곤은 키쉬 제4왕조 우르-자바바 밑에 있다가 왕의 치세 37년에 악카드 왕조의 시조로 등극 했다.
사르곤 1세이후 몇몇 왕조를 거치면서 왕권은 우르 남무가 개국한 우르 제3왕조로 넘어갔다. 약 4100년전 문화적 향 기를 듬뿍 지닌 통치자가 왕위에 올랐다. 바로 유명한 슐기 왕이었다.
입비-씬왕을 마지막으로 108년동안 5명의 왕이 통치한 왕권은 셈계의 이씬 왕조에게 넘어갔고 최종적으로 엘람인의 반란과 침공을 받고 셈계의 유목민족 바빌로니아를 제1왕조를 세운 아모 리인의 침략을 받아 멸망했다. 우르 3왕조의 종말은 수메르의 종말이었다.
약 3800년전 바빌론 제1왕조의 6대왕 함무라비가 오리엔트를 통일했고, 최초의 셈어인 악카드 어는 당당히 국제어로 최정상에 우뚝 서게 되었다. 그러나 이때조차도 수메르어의 명성은 막강 했다.서기들은 악카드어의 한 갈래인 바빌로니아어를 배우면서도 선조들이 써놓은 수메르어 문서를 읽어야 했고, 반드시 수메르어를 배워야 했다 악카드어와 바빌로니아가 통용어였지만 수메르어는 문어의 최고봉이었다.
약4000년전 동방의 산악지대에서 일어나 바빌로니아 평원으로 침입하여, 약 3600년전 바빌로니아 왕조를 무너트린 카시트 왕조가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