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제별 취업률) 일반대학 62.6%, 전문대학 69.8%, 일반대학원 77.7%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년 대비 각종학교, 산업대학은 각각 1.0%p, 0.5%p 증가하였지만, 전문대학(△0.8%p), 일반대학(△1.7%p), 교육대학(△11.6%p), 기능대학(△3.3%p), 일반대학원(△0.6%p)은 감소했습니다.
(계열별 취업률) 공학계열(70.1%), 의약계열(82.8%)은 전체 취업률(66.2%) 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인문계열(56.0%), 사회계열(62.6%), 교육계열(63.7%), 자연계열(62.5%), 예체능계열(63.0%)은 낮게 나타났습니다. 모든 계열이 전년 대비 감소*하였으며 교육계열과 공학계열은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인문계열(△1.6%p), 사회계열(△2.1%p), 교육계열(△3.1%p), 공학계열(△1.5%p), 자연계열(△1.5%p), 의약계열(△0.6%p), 예체능계열(△0.6%p)
(지역별 취업률) 수도권 대학 졸업자의 취업률은 67.5%, 비수도권 취업률은 65.4%로 2.1%p의 격차를 보였습니다.
※ 수도권, 비수도권 간 격차 변화 추이 : 0.8%p(2014년) → 0.6%p(2015년) → 1.6%p(2016년) → 2.1%p(2017년)
17개 시도 중에서는 인천 69.5%, 충남 68.5%, 경기, 제주가 각각 68.1%로 높은 취업률을 보였고, 1.5%p 증가한 제주를 제외하고, 나머지 16개 시·도는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별 취업률) 남성 졸업자 67.8%, 여성 졸업자 64.8%로 3.0%p 격차를 보였습니다.
※ 남녀 취업률 격차 변화 추이 : 3.8%p(2014년) → 2.9%p(2015년) → 2.6%p(2016년) → 3.0%(2017년)
전년 대비 남성과 여성 졸업자 취업률은 모두 감소하였으며 여성 졸업자의 감소폭(△1.6%p)이 남성 취업률의 감소폭(△1.2%p)보다 크게 나타났습니다.
2017년 졸업자의 12월 31일 기준 직장 취업자(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약 1년(11개월) 후 직장 취업자 자격을 유지하는 비율(유지취업률)은 78.8%로 전년(76.8%, 2016.12.31일 기준) 대비 2.0%p 증가하였다. (학제별) 일반대학 80.0%, 전문대학 73.5%, 일반대학원 89.7% 등으로 교육대학(△0.1%p), 각종학교(△9.4%p)를 제외한 모든 학제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계열별) 교육계열(81.8%), 공학계열(83.3%), 의약계열(81.1%)은 전체 유지취업률(78.8%) 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인문계열(74.2%), 사회계열(78.4%), 자연계열(77.0%), 예체능계열(65.4%)은 낮게 나타났습니다. (지역별) 수도권 79.8%, 비수도권 78.1%로 1.7%p의 격차를 보이며, 격차가 전년 대비 0.3%p 감소했습니다. (성별) 남성 졸업자 82.2%, 여성 졸업자 75.4%로 6.8%p의 격차를 보이며, 격차가 전년 대비 0.2%p 증가했습니다. 특히, 이번 조사부터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상세정보 연계를 통해 월 평균소득, 취업준비기간, 기업·산업유형별 취업자현황 등 질적 취업정보를 신규로 발표하였습니다.
(월 평균소득) 분석 대상자의 평균 월 평균소득은 249.6만원으로 계열별로는 의약계열 283.5만원, 공학계열 279.0만원, 사회계열 241.1만원, 자연계열 237.5만원, 인문계열 220.1만원, 교육계열 207.8만원, 예체능계열 187.1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취업 준비기간) 모든 계열에서 졸업 전(35.3%), 졸업 후 3개월 이내(24.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업 유형별) 계열별 취업자 중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공공기관 및 공기업의 취업자 비중은 공학계열이 모두 높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사회계열이, 비영리법인은 의약계열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산업 유형별) 계열별 취업자 비중은 인문계열은 도매 및 소매업, 사회계열·공학계열·자연계열·예체능계열은 제조업, 교육계열은 교육서비스업, 의약계열은 보건업과 사회복지서비스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김영곤 교육부 직업교육정책관은 “이번 2017년 취업통계에서는 지금까지의 취업률 중심 양적 통계에서 벗어나 취업의 질적 정보를 처음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학생들의 진로선택과 대학에서의 진로지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결과는 내년 1월 중으로 교육부(www.moe.go.kr)와 한국교육개발원(kess.kedi.re.kr) 누리집에 탑재하여 국민들이 손쉽게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