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이슈반슈타인 성

바이에른 왕국의 왕 루트비히 2세가 1869년부터 1892년에 이른기간 동안 지은 로마네스크 양식의 성. 이름의 의미는 새로운(Neu) 백조(schwan) 석성(stein/Schloss).
중세에 지어진 성과는 달리 군사적인 목적은 전혀 없고 오직 루트비히 2세가 바그너와 그의 오페라인 로엔그린에 푹 빠진 탓에 취미로 지은 성이다. 노이슈반슈타인 성이 한창 지어졌을때는 이미 증기선이 발명되고 독일 전역에 철도가 깔리게 된 것이 수십년전의 일이었을때의 일이었다. 18세기경 부터는 많은 수의 성들이 저택으로 개조되어 그 목적이 전환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보통의 궁전과 달리 산 속에 이정도 규모의 거대한 건축물을 단지 사치스러운 궁전이나 저택으로서의 가치와 목적으로 건설하는 것은 여러모로 무리수였다. 루트비히 2세 본인도 2주 밖에 머물지 못했을 뿐더러 이 성도 루트비히 2세 사후에 건축계획을 축소한 것이라 본래 계획의 1/3만 완공된 상태다. 루트비히 2세는 생전 총 다섯 개의 성을 건축하려 했는데, 린더호프 성은 완성했고 노이슈반슈타인 성은 1/3만 완성했으며 헤렌 킴제성은 절반만 완성하는데 그쳤다. 나머지 비잔틴/오리엔탈 양식의 성은 계획만 잡혀있는 상태로 끝났다.
사실 루트비히 2세는 이 성 외에도 젊은 시절부터 많은 건축에 매달렸고, 그로 인한 지출로 인해 많은 갈등을 겪었다. 어린 시절부터 친구였던 바그너가 오페라를 쓰면 그것을 모티브로 궁전 등을 건축했던 것. 결국 당연하게도 쓸데없는 곳에 돈을 쏟아부었다고 비판이 들어왔으며, 결국 바그너를 왕실에서 축출해야 했을 정도다. 그리고 상심에 빠져 있던 루트비히가 마지막으로 광적인 취미 혼을 불사른 것이 이 건축물이었고, 결국 루트비히는 이 성을 지음으로서 바이에른 왕국의 재정을 파탄냈기에 엄청나게 욕을 먹었다. 개인적으로 절대왕정을 동경하던 루트비히 2세의 바람이 강하게 들어가있었지만, 바이에른 왕국은 그정도의 권력이 국왕에게 있지 않았고, 특히나 프로이센과의 전쟁에서 패배해서 밀리기 시작하던 바이에른 왕국 입장에서 이런 사치는 버티기 어려운 것이었다. 독일 제국이 성립되면서 바이에른이 망하다시피하고 루트비히 2세도 퇴위되면서 잊혀졌다.
덧붙여 루트비히 2세는 이 성이 관광지 따위로 전락하는 것을 보고싶지 않다고 자신이 사망하면 같이 무너뜨려달라고 했지만, 이루어지지 않았다. 루트비히가 사망하고 6주 뒤부터 관광지로 개방되었으며, 나라를 경제적으로 파탄낸 성으로서는 아이러니하게도 이후 왕가가 사라질 때까지 다른 성들과 합쳐 관광수입으로만 나라의 제1돈줄이 되었다. 그 이후 지금까지도 바이에른 주의 회계장부에 은총을 선사하는 중. 씁쓸하게도 그렇게 애정을 가진 성이지만 루트비히 2세 생전에 완공이 되지 않았다. 그는 노이슈반슈타인 성이 완성되기 전에 정신병자라는 판정을 받고 강제로 퇴위해야 했으며, 3일 후에 슈타른베르거 호수에서 익사체로 발견되었다.
2. 관광
한번이라도 이 성 사진을 검색해보면 알지만, 진짜 동화나 오페라에나 나올 법한 그림 같은 성이고, 성에서 내려다보는 경치도 끝내주게 아름답다보니 관광하러 오는 사람이 많아서 관광자원으로는 그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성에서 내려다보는 알프 호수나 옆 절벽의 절경이 일품. 성 내부도 상당히 화려하다.
마리엔 다리(marienbrücke)
성 뒤편의 절벽 위에 올라가면 위에서 성을 내려다 볼 수도 있는데, 길모르는 사람이 안전장치 없이 올라갔다가 죽기 딱좋다. 발 잘못 디디면 그대로 절벽 아래로 추락하는 위치다. 가이드 북같은 데에서도 위험하다고 적혀있다 마리엔 다리를 건너가면 아예 위로 올라가는 코스를 만들어 놨다. 경사가 조금 높은거 빼고는 올라갈만한 가치가 있다. 물론 자갈은 주의. 성을 그쪽에서 보고싶다면 뒤쪽 마리엔 다리에서 보자. 그걸로도 충분하다. 위의 사진도 마리엔 다리 방향에서 찍은 사진이다. 사실 저 사진처럼 다리 위에 사람이 저 정도 숫자인 경우가 거의 없다. 다리로 진입하는데만 30분을 기다릴 수 있으니 주의할 것. 겨울철이나 눈이 녹지 않은 3월에는 안전상 이 다리로의 출입이 금지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마리엔 다리에서 노이슈반슈타인 성을 보고싶다면 이 시기는 피하는 것이 좋다. 감시인이 없다고 출입금지선을 넘어가지 말자. 눈이 내린 마리엔 다리는 굉장히 위험하고 미끌어지면 떨어져서 죽을 수도 있다.
왕좌 홀
가수의 전당
성을 외부에서 둘러보는 것은 무료이고, 내부는 유료 가이드 투어만 가능하기에 신청인원이 생각보다 많지 않다. 각 성 내부를 관광 시 자유롭게 들어가는게 아니라 투어 가이드를 따라 들어간다. 이건 호엔슈방가우 성도 마찬가지. 양쪽 모두 관람시간은 생각보다 길지 않은편. 성 내부를 보지 않을 것이라면 그냥 가면 된다. 참고로 두 성 모두 비텔스바흐 왕가의 소유물이기 때문에 내부 촬영은 금지된다. 호엔슈방가우 마을에서 표를 끊고, 시간에 맞춰 성으로 들어가면 된다. 모르고 가면 현장에서 표 구하느라 고생할 수 있으니 좀 일찍 가서 표를 사자. 사전예약이 가능하긴 한데 입장시각 1시간 30분 전까지 매표소에서 표를 수령하지 않으면 노쇼처리가 되어 요금을 2배로 물게 되니 주의할 것. 사실 일찍 도착해서 밥먹고 호수보고 버스타고 마리엔다리까지 보면 1시간 30분은 오히려 부족할 수 있다.
노이슈반슈타인 성이 고지대에 있어서 올라가기 힘드니 미리 올라가 있는 것도 괜찮다. 초행길에 도보로 느긋하게 가면 30분 이상이 소요되며, 편한 복장과 신발로 오는 것을 추천하며, 경사가 있으니 평소 운동을 잘 하지않는 사람이라면 약간 힘들 수 있다. 호엔슈방가우 성은 이에 비하면 둔덕도 안되는 수준이니 걱정 안해도 된다. 말이 끄는 마차를 타고 갈 수도 있는데, 노이슈반슈타인 성으로 가는건 거리가 나와서 탈 만 하지만, 호엔슈방가우 성으로 가는건 잠깐 타면 끝이다. 탈 거면 노이슈반슈타인 성으로 가는걸 타라. 7유로라는 거금을 내면 탈 수 있다. 사실 관광객이 도보로 올라가는 길을 마차가 같이 쓰는 것이다보니 말똥을 그대로 밟고 올라가는 셈이다. 그냥 3유로 내고 왕복으로 버스를 타자. 버스표는 알프 호수와 마차 탑승장 가운데에 있는 정류장에서 구입이 가능하며, 2018년 5월 기준 편도 상행이 2.5유로라 그냥 3유로를 내고 왕복권을 사서 타는게 낫다. 또한 포장도로를 벗어나 마리엔 다리로 가는 산길 비포장도로는 눈이 쌓였을 경우 낙상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철문으로 출입통제를 해놓지만 다들 신경 안쓰고 그 옆에 커다란 틈으로 다들 들어간다.
여기를 관광할 경우 대개 뮌헨에서 체류하며 당일치기로 온다. 뮌헨 중앙역에서 바이에른 티켓을 사서 RE를 타고 퓌센 역에 도착한 후 약 10분간 버스를 타고 성이 있는 동네까지 가게된다. 퓌센이 가까워지면 주변 풍경이 텔레토비 동산같이 아름다운 풍경으로 변하는데, 착한 기관사가 이쯤에서 자세히 보라고 일부러 서행한다.
퓌센 역에서 탈 수 있는 호엔슈방가우 행 버스는 관광객들로 사람이 항상 바글바글하여 다음 차나 다다음 차를 타게 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RE가 도착하는 시간에는 일부러 증차하는지 낮 시간대에는 기차가 도착하는 시간에 맞춰 같은 버스가 두세 대씩 대기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바이에른 티켓이 있으면 이 버스 또한 무료이며, 그냥 타면 편도로 3유로를 내야한다. 보통은 버스를 타고 성이 있는 동네로 가지만, 퓌센에서 성에 오는 구간의 경치도 볼만하니 여유가 되면 걸어보는 것도 괜찮다. 다만 버스로도 10분이나 걸리는만큼 거리가 좀 되니 주의. 다만 밤에는 퓌센 자체가 똥시골이라 인적도 드물고 가로등 수도 적고해서 위험한 구간이 되니 그냥 차타라. 중간의 마을에 가기 전까지 가로등이 없어서 손전등 키고 가야한다. 야간에 걷는 건 문자 그대로 비추.
18년11월18일, 현재 성 정문 보수공사중, 끝나면 제거바람.
2.1. 호엔슈방가우 성
건너편을 보면 노란색 성이 보이는데, 이 성은 호엔슈방가우 성(Schloss Hohenschwangau)으로 루트비히 2세의 아버지인 막시밀리안 2세가 당시 폐성이던 이 성을 사들인 것이다. 이후 이 성을 고쳐서 사용했고, 루트비히 2세는 이 성에서 자랐다. 아쉽지만 이 성에서 보는 경치는 노이슈반슈타인만은 못하다. 다만 성 아랫마을의 이름은 노이슈반슈타인이 아닌 호엔슈방가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