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출처: 화 목 한 사람들 원문보기 글쓴이: 체화정( 棣華亭)
일바지(몸뻬) 일바지는 흔히 몸뻬(바지)(일본어: もんぺ)라고도 부르는데, 여성이 일할 때 입는 헐렁한 바지다. 우리말 순화집에서 권장하는 이름은 일바지 또는 왜바지이다. 원래는 일본 도호쿠 지방에서 전통적으로 쓰였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즈음에 일본 각지로 퍼졌으며, 당시 일제에 의해 일본과 조선의 부녀자들에게 강제적으로 보급된 바지의 한 종류이다. 일반적으로 허리와 허벅지까지 통이 아주 크며, 발목으로 내려갈수록 통이 좁아지는 모양을 하고 있으며, 큰 허리를 잡아주기 위하여 고무줄이나 끈으로 동여맬 수 있게 되어있다. 주로 여성들의 작업복으로 즐겨 사용되고 있으며, 아직도 중장년층 여성들에겐 흔히 볼 수 있는 옷이다.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중인 1940년, 남성에게는 자원과 경비를 절약하기 위해 ‘국민복’이라는 국방색의 복장을, 1942년에는 전시 여성복으로 ‘부인표준복’을 제정했다. 모두 7종류의 표준복이 있었으나, 활동복으로 지정된 몸뻬만이 거의 모든 일본 여성에게 확산됐다. 한국에 들어와서, 일제는 국가총동원법(1938년)과 비상시 국민생활개선기준(1939년)을 제정하고 전국민의 의식주에까지 간섭을 하였고, 식민지 조선뿐 아니라 자국민들 상대로도 사회통제와 군수품조달의 목적의 하나로 몸뻬 착용을 강요하였다. 1944년에는, 왜바지를 입지 않은 여성은 버스, 전차등을 타거나 관공서, 극장에 가는 것을 금지했다. 처음엔 보기 흉한 모습으로 반발이 심하였으나, 국가의 강압과 여성의 활동성 확보의 장점으로 널리 보급되어, 지금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자들이 일할 때 입는 바지의 하나. 일본에서 들어온 옷으로 통이 넓고 발목을 묶어 입는다. 시골에 가면 어르신(주로 할머니)들이 주로 입으시는 바지. 무늬가 깨알처럼 박힌 게 많다. 몸뻬라는 말은 일본어인 몸페(もんぺ)가 변형된 것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에서 널리 유행하던 여성용 작업복 바지였다. 국립국어원에서 제시한 우리만 순화 표현은 '일바지'로,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들을 기반으로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긴 하지만 역시나 일선 현장에서는 거의 안 쓰인다. 1937년에 중일전쟁이 터지면서 일본 정부에서는 조선인들의 군사력과 노동력을 극한까지 쥐어짜내길 원했고, 그 중 노동력 부분에서는 '국민근로보국령'이라는 강제명령을 통해 체계적으로 노동력을 착취하기 시작했는데 그 강제명령의 실행과정 중 몸뻬의 보급이 들어 있었던 것. 당연히 기존에 입던 작업용 한복을 엄격하게 금지시켰으며, 그 결과 민족말살운동과 노동력 착취를 동시에 이룩한 식민정책 아이템의 전형이 되었다. 간단하게 말해서 '편하고 기능성 좋으니 너네들 옷 입지 말고 우리들이 입던 옷 입고 일이나 하라'는 소리였는데, 나중에 본격적으로 태평양전쟁을 치르게 되었을 때는 아예 일상생활에조차 몸뻬 차림으로 살 것을 강요하는 등 대충 여성판 국민복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물론 민간인의 옷에 제한을 건다고 딱히 유효한 절약 효과가 있을 리가 없었고, 처음부터 그런 걸로 이길 수 있는 전쟁도 아니었으니 결과적으로 삽질로 끝나고 말았다. 식민정책을 통해 조직적으로 보급하려 했던 작업복이 유래이기에, 신축성과 활동성에 중점을 둔 만큼 정말 편하다. 하지만 작정하고 작업복으로서의 기능에만 충실해서 디자인적으로는 완전히 꽝. 이 때문에 시골을 소재로 한 예능 프로그램이나 특집방송에서는 백이면 백 연예인들이 이 옷을 입고 망가지는 장면을 연출하게 된다. 운동용으로 나오는 것도 있다. 주로 남성용이고, 색도 단색에다 별다른 게 없어서 그렇게 촌스럽진 않다. 하지만 이거 입고 밖에 나가면 당연히 매우 촌스럽다. 얼굴만 가리면 바로 할머니나 할아버지 소리를 들을 수 있을 정도. 물론 신경 안 쓰고 편하다고 이걸 입고 동네를 활보하는 사람도 있다. 그 외에도 중고등학생들의 체육대회 등의 단합 복장에 미키 마우스 머리띠와 함께 가장 쓸모없는 단체복으로 악명높다. 일할 때는 남성들도 입는다. 그 까닭은 남녀를 막론하고 일단 일하는 데 엄청 편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청바지 입고 일하다 몸빼바지를 입고 일한 사람들에 따르면 청바지에 비해 바지 안에 땀이 많이 차지 않고 움직임이 매우 수월하다고 한다. 한번 입으면 그 편함 때문에 이후로는 몸뻬만 입고 다니는 사람이 있을 정도다. 농활에서 대학생들이 입고 다니기도 한다. |
첫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