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재지두이십분(春在枝頭已十分)'이란 말이 있다. 이는 사람들이 제대로 느끼지 못하고 있는 사이에 봄은 이미 나뭇가지 끝에 걸려 있다는 뜻이다. 부지불식(不知不識)간에 우리 곁으로 찾아온 봄을 말한다. 송(宋)나라 때 사람인 대익(戴益)이 지은 '탐춘시(探春詩)'의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글귀다. 이 말은 '사람이 찾는 건 대개 멀리 있는 것이 아니고 바로 자기 주변에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을 때 자주 쓰인다. 등잔 밑이 어둡다는 말을 생각나게 하기도 한다. '온종일 봄을 찾아다녔지만 봄을 보지 못하고(盡日尋春不見春) 아득한 좁은 길로 언덕 위 구름 있는 곳까지 두루 헤맨 끝에(芒蹊踏遍?頭雲) 돌아와 마침 매화나무 밑을 지나노라니(歸來適過梅花下) 봄은 가지 머리에 벌써 와 있은 지 오래였구나(春在枝頭已十分)' 울타리 안의 매화 가지엔 벌써 꽃망울이 져 있다. 그러나 시인은 그것도 모르고 봄을 찾아 하루 종일 들과 산으로 쏘다닌다. 그러다 지쳐 하릴없이 집으로 돌아와 보니 바로 집 안의 매화 가지에 봄을 알리는 꽃망울이 달려 있다. 소리 없이 가까이 와 있는 봄의 모습이 무릎을 치게 할 정도로 잘 그려져 있다. 이 구절은 또 진리는 멀리 있는 게 아니라 가까운 데 있음을 이야기할 때 자주 인용되는 구절이기도 하다. 그런가 하면 사람은 대개 가까이에서보다는 먼 데서 진리를 추구하는 어리석음을 범하곤 한다는 뜻도 포함하고 있다. 그 의미를 조금 더 확장하자면 행복은 멀리 있는 게 아니란 뜻도 될 것 같다. 행복은 바깥에 있는 게 아니라 바로 우리가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즉 마음속의 것이기 때문이다. 스스로 분수를 지키고 족함을 아는 안분지족(安分知足)의 태도를 견지하며 집착과 욕심에서 벗어나면 그게 바로 행복일 듯싶다. 때로는 세상 풍조에 좌우되지 않고 나만의 주관과 주장대로 밀고 나가는 '특립이독행(特立而獨行)'의 태도를 견지하며 한세상 살아보는 것도 그리 나쁘지만은 않을 것 같다.
설명
돈 이지언(李之彦)이 말하였다. “일찌기 ‘錢’자의 편방(偏傍)을 장난삼아 보았는데, 위에도 戈(창)자가 붙었고 아래에도 戈자가 붙어 실로 사람을 죽이는 물건인데도 사람들이 깨닫지 못하는 것 같다. 그러므로 두 개의 창(戈)이 재물(貝)을 다투는 것이 어찌 賤(조개 패(貝)는 재물, 오른쪽 편방은 창이 위 아래로 두 개이다)하지 않겠는가?”
마음이 곧 우주의 창조자이며 마음을 깨치면 곧 부처다.
마음 밖에 따로 부처가 없다는 말.
전근용-익산 용동면 흥왕에서 1948년 출생.흥왕초교.함열중.남성고.전주교대졸업후 38년 교직생활
마치고 자연과 벗삼아 勝事하니 이만한 즐거움이 또 어디 있으리요.
40대 초반인가?
전근용 추억의 사진
함열 중학교 1964년 중 3학년때 사진
남성고등학교 1967년도 사진
전주교육대학 1969년도 사진
1971년도 낭산초등학교 부임했을 때 사진
1996년 영국 여행 사진
영국의 이튼학교 정문에서--1996년도
대학 다닐때 딸의 모습--- 익산 보석 축제 미인대회때 사진....이제 40이 된 딸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