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혁거세 신화 원문 - 삼국유사 제1권
三國遺事券 第1
삼 국 유 사 권 제1
新羅始祖 赫居世王
신 라 시 조 혁 거 세 왕
辰韓之地 古有六寸 一曰 閼川楊山村 南今曇嚴寺 長日謁平 初降宇瓢嵓峰 是
진 한 지 지 고 유 육 촌 일 왈 알 천 양 산 촌 남 금 담 엄 사 장 왈 알 평 초 강 우 표 암 봉 시
爲及梁部李氏祖(弩禮王九年置 名 及梁部 本朝太祖天福五年庚子 改名中興部 波
위 급 량 부 이 씨 조 노 례 왕 구 년 치 명 급 량 부 본 조 태 조 천 복 오 년 경 자 개 명 중 흥 부 파
潛東山彼上東村屬焉)
잠 동 산 피 상 동 촌 속 언
- 진한의 땅에는 옛날에 6촌이 있었다. 첫째는 알천 양산촌인데, 남쪽은 지금의 담엄사이다. (촌)장은 알평이다. 처음에는 표암봉으로 내려오니, 급량부 이씨의 조상이 되었다. (노례왕9년(32)에 두어져, 급량부라고 하였는데, 본조(고려)태조 천복 5년 경자,(940)에 중흥부라고 이름을 고쳤다. 파잠.동산.피상.동촌이 여기에 속한다.)
二曰 突山高墟村 長曰蘇伐都利 初降于兄山 是爲沙梁部(梁讀云道 惑作涿 亦音
이 왈 돌 산 고 허 촌 장 왈 소 벌 도 리 초 강 우 형 산시 위 사량부 양 독 운 도 혹 작 탁 역 음
道)鄭氏祖 今曰南山部 仇浪伐 麻等烏 道北 廻德等南村屬焉 (稱今日者. 太祖
도 정 씨 조 금 왈 남 산 부 구 량 벌 마 등 오 도 북 회 덕 등 남 촌 속 언 칭 금 일 자 태 조
所置也 下例知)
소 치 야 하 례 지
- 둘째는 돌산 고허촌인데 촌장은 소벌도리이다. 처음에 형산으로 내려오니, 사량부(량은 도라고 읽는다. 혹은 탁이라고 쓰는데, 역시 도라고 읽는다.) 정씨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은 남산부라고 하는데, 구량벌.마등오. 도북.회덕 등 남촌이 이에 속한다. (지금이라고 한 것은 고려 태조 때 설치한 것이다. 아래의 예도 이와 같다.)
三曰 茂山大樹村 長曰俱 (一作仇) 禮馬 初降宇伊山 (一作皆比山). 是爲漸梁 (一作
삼 왈 무 산 대 수 촌 장 왈 구 일 작 구 예 마 초 강 우 이 산 일 작 개 비 산 시 위 점 량 일 작
涿)部 又牟梁部孫氏之祖 今云長福部. 朴谷村等西村屬焉
탁 부 우 모 량 부 손 씨 지 조 금 운 장 복 부 박 곡 촌 등 서 촌 속 언
- 셋째는 무산 대수촌인데, 촌장은 구례마이다.(구라고도 쓴다.) 처음에 이산으로 내려오니(개비산이라고도 한다),점량(탁이라고 한다) 부 또는 모량부 손씨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은 장복부라고 하는데, 박곡촌 등 서촌이 이에 속한다.
四曰 觜山珎支村 (一作賓子 又賓子 又氷之) 長曰智佰虎. 初降宇花山 是爲本彼
사 왈 취 산 진 지 촌 일 작 빈 자 우 빈 자 우 빙 지 장 왈 지 백 호 초 강 우 화 산 시 위 본 피
部崔氏祖 今曰通仙部 柴巴等東南村屬焉 致遠乃本彼部人也 今皇龍寺南味呑寺南
부 최 씨 조 금 왈 통 선 부 시 파 등 동 남 촌 속 언 치원내 피 부 인 야 금 황 룡 사 남 미 탄 사 남
有古墟 云是崔候古宅也. 殆明矣
유 고 허 운 시 최 후 고 택 야 태 명 의
- 넷째는 취산 진지촌(빈지 또는 빈자 또는 빙자라고도 쓴다)인데 (촌)장은 지백호이다 처음에 화산으로 내려오니, 본피부 최씨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은 통선부라 하는데 , 시파등 동남촌이 이에 속한다. (최)치원은 본피부 사람이다. 지금 황룡사 남쪽에 있는 미탄사 남쪽에 옛 터가 있는데, 이것이 최후 (최치원)의 옛 집이라고 하는 것은 거의 분명하다.
五曰 金山加利村 (今金鋼山柏栗寺之北山也) 長曰祗沱 (一作只他) 初降宇明活山
오 왈 금 산 가 리 촌 금 금 강 산 백 율 사 지 북 산 야 장 왈 지 타 일 작 지 타 초 강 우 명 활 산
是爲漢歧部 又作韓歧部裵氏祖. 今云加德部 上下西知乃兒等東村屬焉
시 위 한 기 부 우 작 한 기 부 배 씨 조 금 운 가 덕 부 상 하 서 지 내 아 등 동 촌 속 언
- 다섯째 금산 가리촌(지금 금강산 백률사의 북쪽 산이다)인데, (촌)장은 지타 (지타라고도 한다)이다. 처음에 명활산으로 내려오니, 한기부 또는 한기부 배씨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은 가덕부라고 하는데, 상서지.하서지.내아등 동촌이 이에 속한다.
六曰 明活山高耶村. 長曰虎珎. 初降于金剛山. 是爲習比部薛氏祖 今臨川部. 勿伊
육 왈 명 활 산 고 야 촌 장 왈 호 진 초 강 우 금 강 산 시 위 습 비 부 설 씨조 금 임 천 부 물 이
村 仍仇㫆村 闕谷 (一作葛谷)等 東北村屬焉
촌 잉 구 며 촌 궐 곡 일 작 갈 곡 등 동 북 촌 속 언
- 여섯째는 명활산 고야촌인데, 촌장은 호진이다. 처음에 금강산으로 내려오니, 습비부 설씨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의 임천부인데. 물이촌.잉구미촌.궐곡(갈곡이라고도 한다)등 동북촌이 이에 속한다.
按上文 此六部之祖 似皆從天而降 弩禮王九年 始改六部名 又賜六姓 今俗中興部爲母
안상문 차육부지조 사개종천이강 노례왕구년 시개육부명 우사육성 금속중흥부위모
長福部爲父 臨天部爲子 加德部爲女 其實未詳
장복부위부 임천부위자 가덕부위녀 기실미양
- 위의 글을 살펴보면, 이 6부의 조상은 모두 하늘로부터 내려온 것 같다. 노례왕 9년(32)에 비로소 6부의 이름을 고치고, 또한 여섯 성을 주었다. 지금 풍속에는 중흥부를 어머니, 장복부를 아버지, 임천부를 아들, 가덕부를 딸이라고 하는데, 실상은 상세하지 않다.
前漢地節元年壬子(古本云 建武元年 又 云 乾元三年等 皆誤) 三月朔 六部祖各率子弟
전한지절원년임자 (고본운 건무원년 우 운 건원삼년등 개오) 삼월삭 육부조각솔자제 구회어알천안상 의왈
俱會於閼川岸上 議曰 兒輩上無君主臨 理衆民 民皆放逸 自從所欲 盍覓有德人 爲之君
구회어알천안상 의왈 아배상무군주임 리중민 민개방일 자종소욕 합멱유덕인 위지군
主 立邦設都乎都乎 於是乘高南望 楊山下蘿井傍 異氣女電光垂地 有一白馬跪拜之狀.
주 립방설도호도호 어시승고남망 양산하라정방 이기여전광수지 유일백마궤배지상
- 전한 지절 원년(기원전69) 임자(옛날 책에는 건무 원년이라 하거나 건원 3년이라 하는 등의 모든 것은 틀린 것이다.) 3월 초하루에 6부의 조상들이 각각 자제들을 거느리고 다 함께 알천 둑 위에 모여 의논하기를 「우리들은 위로 백성을 다스릴 임금이 없어 백성들이 모두 방일하여 제 마음대로 하게 되었다. 어찌 덕 있는 사람을 찾아 임금으로 삼아 나라를 세우고 도읍을 정하지 않겠는가」 하였다. 이때에 높은 고세 올라 남쪽을 바라보니 양산 아래 나정 곁에 이상스러운 기운이 전광과 같이 땅에 비치더니 흰 말 한 마리가 꿇어앉아 절하는 형상을 하고 있었다.
尋撿之 有一 紫卵(一云靑大卵) 馬見人 長嘶上天 部基卵得童男 形儀端美 驚異之 浴於
심검지 유일자난(일운청대란) 마견인 장시상천 부기란득동남 형의단미 경이지 욕어
東泉(東泉寺在詞腦野北) 身生光彩 鳥獸率舞天地振動 日月淸明 因名赫居世王
동천(동천사재사뇌야북) 신생광채 조수솔무천지진동 일월청명 인명혁거세왕
- 그곳을 찾아가 살펴보니 자주빛 알 한개(또는 푸른 큰 알이라고도 한다)가 있는데, 말은 사람을 보자 길게 울면서 하늘로 올라가 버렸다. 그 알을 깨어 보니 사내아기가 나왔는데, 모양이 단정하고 아름다웠다. 경이롭게 여겨 그 아이를 동천(동천사는 사뇌들판의 북쪽에 있다.)에서 목욕시키니 몸에서는 광채가 나고 새와 짐승이 따라 춤추며 천지가 진동하고 해와 달이 청명해지므로, 따라서 그를 혁거세왕이라고 하였다.
(盖鄕言地 或作不矩內王 言光明理世也 說者云 是西述聖母之所 誕也 故中華人讚仙桃
(개향언지 혹작불구내와 언광명리세야 설자운 시서술성모지소 탄야 고중화인찬선도
聖母 有娠賢邦之語是也 乃至鷄鴻現 瑞産閼英又焉知非西術聖母之所現耶) 位號曰 居
성모유신현방지어시야 내지계홍현 서산알영우언지비서술성모지소현야) 위호왈 거
瑟邯 (或作西干初開口之時 自稱云 閼智居西干一起因其言稱之 自後爲王者之尊稱)
슬한 (혹작서간초개구지시 자칭운 알지거서간일기인기언칭지 자후위왕자지존칭)
- (아마 향언일 것이다. 혹은 불구내왕이라고도 하니 밝게 세상을 다스린다는 뜻이다. 설명하는 자가 말하길 “이는 서술성모가 낳은 것이다. 중국 사람들이 선도성모를 찬양하여 현인을 낳아 나라를 시작하였다.”란 말이 있는 것도 이 까닭이라 하였다. 계룡이 상서를 나타내어 알영을 낳았다는 이야기도 또한 서술성모의 현신을 말한 것은 아닐까.) 위호를 거슬한(혹은 거서간이라도고 하니, 이는 그가 처음 말할 때에 스스로 일컬어 “알지거서간이 한번 일어났다.” 하였으므로 이로 인하여 부른 것인데, 이로부터 왕의 존칭이 되었다.)이라고 했다.
時人爭賀曰 今天子巳降 宜覓有德女君配之是日 沙梁里閼英정 (一作娥利英井) 邊有鷄龍現而左
시인쟁하왈 금천자사강 의멱유덕녀군배지시일 사량리알영정 (일작아리영정) 변유계룡현이좌
龍現而左脇誕生童女 (一云現死 而剖其 腹得之) 姿容殊麗 然而脣似鷄 壯浴於月城北天
룡현이좌협탄생동녀 (일운현사 이부기 복득지) 자용수려 연이순사계 장욕어월성북천
其嘴撥落 因名 其川日發川 營宮室於南山西麓 (今昌林寺) 奉養二聖兒 男以卵生 卵女
기취발락 인명기기천일발천 영궁실어남산서록 (금창림사) 봉양이성아 남이란생 란여호 향인이호위박 고인성
瓠 鄕人以瓠爲朴 故因姓朴 女以 所出井名名之
호 향인이호위박 고인성박 여이 소출정명명지
- 당시 사람들이 서로 다투어 치하하며 말하기를, 이제 천자가 내려왔으니 마땅히 덕 있는 배필을 찾아서 짝을 지어야 할 것이라 하였다. 이 날에 사량리 알영정(혹 아리영정이라 한다) 가에 계룡이 나타나 왼편 갈비에서 여자아이 하나가 탄생하니 (혹은 용이 나타나 죽으며 그 배를 갈라 여자아이를 얻었다 한다) 자태와 얼굴은 유달리 고왔으나 입술이 닭의 부리와 같았다. 월성 북천에 가서 목욕시키니 부리가 떨어졌다. 그 때문에 그 내를 발천이라 하였다. 궁실을 남산 서쪽 기슭(지금 창림사)에 세워 두 성스러운 아이를 받들어 길렀다. 사내 아이는 알에서 나왔는데 알은 박과 같았다. 향인들이 박을 박이라 하므로 그로 인하여 성을 박이라 하였고, 여자아이는 그가 나온 우물로 이름을 지었다.
二聖年至十三歲 以五鳳元年甲子 男立爲王仍以女爲后 國號徐羅伐 又徐伐 (今俗訓京
이성년지십삼세 이오봉원년갑자 남립위왕잉이녀위후 국호서라벌 우서벌 (금속훈경
字云徐伐 以此故也) 或云斯羅 又斯盧 初王生於鷄井 故 或云鷄林國 以其鷄龍現瑞也
자운서벌 이차고야) 혹운사라 우사로 초왕생어계정 고 혹운계림국 이기계룡현서야
- 두 성인의 나이가 열세 살이 되자 오봉 원년 갑자(기원전57)에 남자는 왕이 되고, 그 여자를 왕후로 삼았다. 국호를 서라벌 또는 서벌(지금 세간에 경을 훈독하여 서벌이라 이르는 것도 이 까닭이다)이라 하고 혹은 사라 또는 사로라고도 하였다. 처음에 왕이 계정에서 출생한 까닭에 혹은 계림국이라 하니 계룡이 상서를 나타낸 까닭이었다.
一說 脫解王時得金閼智 而鷄嗚於林中 乃改國號爲鷄林 後世遂定新羅之號 理國六十一
일설 탈해왕시득김알지 이계오어림중 내개국호위계림 후세수정신라지호 이국육십일
年 王升干天 七日後遺體散落干也 后亦云亡 國人欲合而葬之 有大蛇逐禁 各葬五體爲
년 왕승간천 칠일후유체산락간지 후역운망 국인욕합이장지 유대사축금 각장오체위오릉 역명사릉 담
五陵 亦名蛇陵 曇(雲)嚴寺北陵是也 太子南解王繼位
오릉 역명사릉 담(운)엄사북릉시야 태자남해왕계위
- 일설에는 탈해 때에 김알지를 얻을 때 닭이 숲속에서 울었으므로 국호를 고쳐 계림이라 하였다 하는데, 후세에 와서 신라란 국호를 정하였다. 나라를 다스린 지 62년 만에 왕이 하늘로 올라가더니 그 후 7일 만에 유해가 흩어져 땅에 떨어졌으며 왕후도 따라 돌아가셨 한다. 나라 사람들이 합장하고자 하매 큰 뱀이 쫓아와 방해하므로 오체를 각각 장사 지내어 오릉이라 하고, 또한 사릉이라고도 하니, 담엄사 북쪽 능이 이것이ㅏ. 태자 남해왕이 왕위를 이었다. 끝.
첫댓글 박혁거세의 신화 공부하고 갑니다.
정리하느라 긴 시간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하르르 수고하셨어요.
@수선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