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문의 서(序)와 명(銘)
비석의 시초는 옛날 중국에서 묘문(廟門) 안에 세워 제례(祭禮) 때 희생으로 바칠 동물을 매어 두던 돌말뚝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고, 장례식 때 귀인(貴人)의 관을 매달아 광내(壙內)에 공손히 내려놓는 도르래를 장착하기 위하여, 묘광(墓壙) 사방에 세우던 돌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전라남도 장성군 필암리에 김인후를 추모하기 위해서 세운 필암서원이 있는데, 경내에 필암서원계생비(筆巖書院繫生碑)라는 비가 있다. 여기에 씌어 있는 계생(繫牲)은 제사에 쓸 희생을 매어 둔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이 비는 서원에서 향사를 지낼 때 제물로 쓸 가축을 매어 두고, 제관들이 미리 그 주위를 돌면서 제물로 쓰는 데 합당한가의 여부를 결정하였던 곳이다. 여기서 우리는 비가 생긴 시원(始原)의 흔적을 본다.
세운 돌을 다듬고 비면(碑面)에 공덕을 기입하여 묘소에 세우게 된 것은 훨씬 후대의 일이며, 당시는 비석이라 하지 않고 각석(刻石) 혹은 입석(立石)이라 했다. 이것을 비석으로 부르게 된 것은 전한(前漢) 말기나 후한 초의 일이다.
비석은 보통 묘비(墓碑)와 묘갈(墓碣)로 나눈다. 비석은 네모난 형태에 받침과 몸통, 덮개돌(가첨석加檐石, 개석蓋石)의 3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그중 윗머리에 지붕 모양의 네모진 덮개돌을 얹은 것을 묘비라 하고, 윗머리가 둥글고 덮개돌이 없는 것은 묘갈이라 한다. ‘갈’이란 원래 중국에서 어떤 표지로 우뚝 세운 나무 말뚝을 ‘갈(木曷)’이라 한 데서 유래했는데, 뒷날 돌로 세운 것도 ‘갈(碣)’이라 하였다. 외형적으로는 이렇게 비(碑)와 갈(碣)의 구분이 확연하지만 후대로 내려오면서 이런 구분이 모호해졌다. 거기에 새긴 비문도 묘비문, 묘갈문으로 구분하였으나, 이것 역시 후대로 내려오면서 확연한 구분은 없어졌다. 후한서(後漢書)의 주(注)에 “네모진 것이 비, 둥근 것이 갈이다.”라 하였고, 원나라 진역증(陳繹曾)은 “비의 체제는 웅장하고 우아하고, 갈의 체제는 소박하고 고아하다.”고 하였다. 당나라 대에는 관직이 5품 이상이 되어야 비를 세울 수 있었고, 5품 이하는 방부원수(方趺圓首 네모 받침에 둥근 머리)인 갈을 세우도록 규제하였다. 또 무덤 앞이나 무덤으로 가는 길목 남동쪽에 따로 세우는 비를 신도비(神道碑)라 하는데, 이는 종2품 이상의 관직과 품계를 지녔던 사대부에게만 세울 수 있도록 허용되고, 또 거기에는 이수귀부(螭首龜趺)를 설치할 수 있었다. 이수귀부란 받침돌을 거북이로 세우고 비의 개석(蓋石)에 뿔 없는 용 즉 이무기를 새기는 것을 말한다. 요즘은 재력만 있으면 신분에 관계없이 호화분묘에 이수귀부로 장식한 신도비 등을 설치하는 경향이 있는데, 과분하게 제도를 벗어나면 오히려 비례(非禮)가 되어 타인의 지탄을 받을 수 있다.
비문 상단에는 비명의 제목을 가로로 쓰는데 이를 제액(題額)이라 하고 전서(篆書)로 새긴다.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서산 김두징 묘비에는 전서(篆書)로 된 제액인 ‘증이조참판성균생원김두징묘비명’이 비신 상단의 사면에 걸쳐 잇달아 새겨져 있다.
그리고 비의 앞면은 양(陽)이라 하고 뒷면은 음(陰)이라 하는데, 특히 뒷면의 글을 지칭할 때 이를 비음기(碑陰記)라 한다.
묘비문의 체제는 서(序)와 명(銘)으로 되어 있다. 문집에 실려 있는 비문을 보면 그 제목에 ‘묘비명 병서(墓碑銘幷序)’라 되어 있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이는 묘비에 ‘명(銘)과 서(序)를 함께 썼다는 뜻이다. 그러면 무엇이 명이고 서일까?
서와 명은 한문의 문체 곧 장르 이름이다. 서는 산문이고 명은 운문의 형식이다. 서는 사물의 차례를 순서를 세워서 서술하는 산문으로 된 글이다. ‘서’라고 하면 책의 서문이 먼저 떠올라 글의 첫머리에 쓰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물론 책의 머리말도 책의 내용이나 발간하는 경위 등을 차례대로 쓰므로 ‘서’에 속한다. 그러나 서는 하나의 문체명이지 반드시 글의 첫머리에 온다고 붙여진 이름은 아니다. 한글을 창제하고 이에 대한 설명과 풀이를 적은 문헌인 ‘훈민정음’ 책자에도, 글자의 음가와 쓰는 법을 밝힌 예의(例義)와 초성, 중성, 종성, 합자, 용자 등에 대한 설명과 함께 철학적 해명을 가한 해례(解例), 그리고 정인지의 서(序)로 되어 있다. 이처럼 서는 책의 끝부분에 올 수도 있다.
비문의 서도 주인공의 성명, 자와 호, 관향, 가계, 생몰연대, 자질, 관력, 행적, 학덕, 품행 등을 순서대로 차례를 따라 적는다.
명은 이 서의 내용과 관련하여 뒷부분에 운문으로 쓴 것이다. 보통 네 글자[四言]를 기본으로 하는데 오언, 칠언 등을 섞어 약간의 변형을 아우른다. 이는 역사의 전기에서 본문 말미에 붙이는 찬(讚)에서 영향받은 것으로, 짧고 화려한 수식을 동원하여 공덕을 찬양하고자 한 시경의 송(頌)이나 아(雅)와 같은 전아한 시가에 그 근원을 둔다. 일연도 삼국유사에서 본문을 쓰고, 거기에 대한 자신의 느낌을 운문 형식의 찬을 말미에 지어 붙였다.
그러므로 그냥 비문이라 하면 명을 붙이지 않아도 되지만, 비명이라 하면 반드시 명을 붙여야 한다. 그러므로 글의 제목에 ‘묘비명 병서(墓碑銘幷序)’라 한 것은 명(銘)을 쓰되 서(序)도 아울러 썼다는 뜻이다.
그러면 아래에 ‘묘비명 병서(墓碑銘幷序)’의 예로 신숙주가 그의 벗 권람의 묘비에 쓴 것을 부분 인용한다.
유명조선국 수충 위사 협책 정난 동덕 좌익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좌의정 감춘추 관사 세자부 길창부원군 시 익평공 권공비명 병서
(有明朝鮮國 輸忠 衛社 協策 靖難 同德 左翼功臣 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左議政 監春 秋館事 世子傅 吉昌府院君 諡 翼平公 權公碑銘 幷序)
그윽히 들으니, 뿌리가 깊은 것은 가지가 반드시 무성하고, 근원이 먼 것은 흐름이 반드시 길다는 것은 영원한 이치다. 나의 벗 권공의 휘는 람(覽)이며, 자는 정경이니, 그의 선조는 원래 김씨였다. 한나라 명제 영평 8년 을축에 알지가 시림에서 탄생하여 김씨라고 일컬은 것은 일이 지극히 기이하다. 그의 후예가 박씨, 석씨와 더불어 교대로 신라의 임금이 되었다. 휘가 행(幸)이라는 사람에 이르러서 안동군을 지키다가 고려 태조에게 지우가 되어, 비로소 권이라고 사성하고 안동부로써 식읍을 삼았으며, 벼슬은 삼한 벽상삼중대광태사에 이르렀다. 9대를 지나 복야(僕射) 휘 수평에 이르러, 맑은 덕이 있어서 세상에 드러났다.……… 명(銘)에 이르기를,
멀도다 공의 시조가 시림에서 처음 나서
고려의 초기에 김을 권으로 바꾸었네
경사를 누적하고 광택을 흘려보내
초헌(軺軒 종2품 이상 고관이 타던 수레)과 관복 차림 마주 보듯 잇달았네
어떤 이는 공덕으로 어떤 이는 문장으로
아름다움 이어받고 꽃다움 전하더니
공에게 이르러서 더욱더욱 펼쳐졌네
(이하 생략)
이와 같이 묘비명 병서는 앞부분에 서(序)를 쓰고 뒷부분에서 운문 형식의 명(銘)을 아울러 덧붙여 쓴다.
첫댓글 묘갈이라고 하는 경우를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