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앙정부에만 의존하던 기존의 틀을 벗어나 자체적으로 투자유치는 물론 각종 사업지원과 지역특성 맞춤형 사업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3대 주력산업의 침체여파로 지역경기가 불황의 늪에 빠져있는 울산도 돌파구 찾기에 분주하다. 울산의 경기불황은 기존의 조선, 자동차, 화학산업 등의 침체에 기인한 것이기 때문에 3대 산업의 업황이 개선되기 전까지는 당장 경기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 관광 등 서비스산업의 활성화 정책 등을 통해 일시적인 불황은 탈출할 수 있으나 장기적인 대안은 될 수 없다. 성장의 정점에 도달한 3대 주력산업의 혁신적 구조 개선만이 중장기적인 대안이다. 그러나 울산의 새로운 미래를 책임질 미래 먹거리산업을 육성하는 게 더 중요하다.
그동안 기대를 모았던 동북아오일허브 구축 사업도 국제 오일시장이 급변동성을 보이면서 예측 불가능한 상태에 빠져 지지부진한 상태다. 4차 산업혁명과 그 궤적을 같이하는 친환경자동차산업인 전기수소차 생산기지 구축도 전망이 밝지 않다. 국내 최대 자동차메이커인 현대기아차그룹이 수소전기차 생산거점으로 울산이 아닌 다른 지역을 염두에 두고 있는 듯 보이기 때문이다. 이런 위기 상황 속에서 울산시가 직접 초소형 전기차 산업 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매우 시의 적절하고 훌륭한 정책적 판단이다.
지역 전기차부품 기업들이 손을 잡고 한국형 초소형 전기차 고유모델을 제작해 글로벌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겠다는 전략이다. 이 사업은 18억 원을 들여 울산테크노를 포함한 5개 기관이 초소형전기차 차량개발과 실증운행을 2020년까지 2월까지 완료하는 것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와 달리 기술력이 있는 부품기업들만 모우면 현대차공장이 아니더라도 중소기업들도 얼마든지 조립공장을 라인업 할 수 있다.
울산시는 그동안 추진한 그린전기차 부품개발사업 등을 통해 축적한 기술을 바탕으로 지역 부품기업들이 초소형 전기차와 핵심부품을 개발ㆍ실증해 중소기업 주도의 친환경 자동차 산업 육성과 기술 환경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식의 기존 자동차 메이커에 지원금을 대는 정책보다 성공 가능성 높으며 충분히 훌륭하고 돋보이는 전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