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파람’의 전혜영(30)은 북한 최고의 인기 가수다. 휘파람은 남한에도 꽤 알려진 노래다.
“어젯밤에도 불었네 휘파람 휘파람. 벌써 몇 달째 불었네 휘파람 휘파람. 갑순이네 집 앞을 지날 때 이 가슴 설레네. 나도 모르게 안타까이 휘파람 불었네. 휘휘휘 호호호….”
노랫말에 혁명성이 없다는 이유로 90년대 초반 잠시 금지곡이 됐으나,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주민들의 폭발적 인기를 누리고 있다.
지난 1월 북한 중앙방송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휘파람’에 대해 “노래가 좋기 때문에 세상에 나가자마자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모두가 이틀이 되기 전에 다 배워 불렀으며, 말 그대로 폭풍과 같은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면서 “부를수록 좋은 노래”라고 평가했다고 전했다.
전혜영은 뛰어난 가창력에다 빼어난 미모를 겸비하고 있다.
북한의 남녀노소가 골고루 그의 열렬한 팬이다.
특히 그는 다양한 율동과 밝은 표정으로 인기를 배가시키고 있다.
160㎝가 될까말까 한 키에 가냘픈 몸매지만, 노래는 힘이 실려 있다.
민요나 가요 외에 외국 노래도 고음으로 잘 소화해 낸다.
한 북한 망명자는 "북한을 떠난지 몇 년이 됐지만 전혜영이 부른 노래들은 지금 들어도 싫증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의 대표곡으로는 90년 초 발표한 '휘파람'을 비롯해 '아무도 몰라', '꽃파는 처녀' 등이 꼽힌다.
전혜영은 1970년 탄광노동자인 아버지와 피복공장 합창부원이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유치원에 다니던 6살 때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해 인민학교 시절 전국학생예술축전에서 연이어 3회나 1위에 입상했다.
1983년 8월 `김일성소년영예상'을 받았으며, 1988년 3월 북한 최고의 보컬그룹인 보천보전자악단에 들어가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고, 1992년 예술인들의 최고 영예인 인민배우 칭호를 받았다.
전혜영 외에 북한의 정상급 인기 가수로는 '인민배우' 김광숙을 비롯해 공훈배우 리분희, 리경숙, 렴청, 조청미, 최삼숙 등을 꼽을 수 있다.
리경숙은 ‘반갑습니다’를 부른 가수이다.
[2] 북한의 인기가수들
혹시 이런 노래를 들어 보신 적이 있나요?
"어젯밤에도 불었네 휘파람 휘파람. 벌써 몇달째 불었네 휘파람 휘파람. 갑순이네 집 앞을 지날 때 이 가슴 설레네. 나도 모르게 안타까이 휘파람 불었네. 휘휘휘 호호호......"
아시다시피 이것은 북한의 최고 인기가요인 '휘파람’의 한 구절입니다.
이 노래는 북한정권 수립 초기에 나왔다가 노랫말에 혁명성이 없다는 이유로 90년대 초반 잠시 금지곡이 됐으나, 다시 규제가 풀려 북한에서 꾸준히 인기를 모으고 있는 노래입니다.
과거 북한음악은 김일성주석의 교시에 의한 조선음악의 중요한 원칙에서 한발짝도 벗어나서는 안되며 벗어날 수도 없었습니다.
다시 말해 음악은 인민을 위한 것이 돼야한다는 것이였죠.
그러나 90년대 들어 북한 음악도 변화가 일기 시작했습니다. 경쾌한 리듬과 사랑을 주제로 한 노래들이 나오기 시작했죠.
대표적인 노래라면 '반갑습니다’, '도시처녀 시집와요’, '녀성은 꽃이라네’ 등이 있는데 모두가 이 시기에 나온 노래들입니다. 특히 '휘파람’이라든지 '반갑습니다’와 같은 노래들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누구나 즐겨 부르는 노래입니다.
당연히 이 노래를 부른 가수 전혜영(인민배우)과 리경숙(공훈배우)은 북한 최고 인기가수의 영예를 누리고 있고, 젊은 세대는 물론 노인들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그들의 열렬한 팬입니다.
이외에도 북한 주민들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있는 가수로는 '인민배우'(가수) 김광숙을 비롯해 '공훈배우' 리분희, 조금화, 렴청 등 10여명입니다.
전혜영, 김광숙, 리분희, 조금화, 리경숙은 보천보전자악단에, 렴청은 왕재산경음악단에 소속돼 있습니다.
북한 대중가수들의 화려한 등장은 빛나는 조연 격인 이 전자악단들이 존재했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남쪽의 그룹사운드에 해당하는 북한의 악단은 '보천보’와 '왕재산’이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 밖에 '만수대예술단’이 있으나 크게 주목을 끌지는 못하는 형편입니다.
이 가운데서도 1985년에 조직된 보천보는 전문기량을 갖춘 연주, 가수, 작곡가로 꾸려진 북한 최초의 현대판 팝 앙상블이라고 할 수 있으며, 왕재산경음악단도 남녀의 사랑을 소재로 한 경쾌하고 율동 섞인 노래를 단골로 삼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 악단의 북한 내 위상은 '하늘과 땅 차이'라고 북한 망명자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보천보는 북한 최고 지도자의 총애를 받고 있어 주로 평양시민이나 당·정·군의 고위층을 대상으로 공연하는 일종의 '왕립악단'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악단이 연주하거나, 소속 가수들이 부르는 노래들은 거의가 북한을 대표하는 것들로 보면 무리가 없을 것입니다.
한 북한 망명자는 "북한을 떠나온 지 몇 년이 흘렀지만 보천보악단과 그 가수들이 부른 노래들은 지금 들어도 싫증나지 않는다"고 말할 정도입니다.
왕재산도 평양이나 해외에서 가끔 연주실력을 선보이기는 하지만 주로 서민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지방 기업소를 돌며 공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 주민들은 왕재산악단 소속 가수들이 부르는 노래들을 더 친밀하게 느끼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특히 렴청은 이 경음악단의 대표적인 가수입니다.
그러면 북한 최고의 가수들을 한사람씩 소개해 볼까요.
먼저 '휘바람’의 주인공 전혜영을 소개하겠습니다. 앞서서도 소개했지만 북한 최고의 가수이며, 북한을 대표하는 보천보경음악단의 마스코트이죠.
전혜영의 인기비결은 무엇일까요? 빼어난 미모와 가창력, 무대에 서면 유난히 밝은 표정, 다른 가수들에 비해 다양한 율동을 많이 섞어 노래를 부르는 이유 등이 겹쳐졌기 때문이라고 북한 망명자들은 전하고 있습니다.
탄광노동자인 아버지와 피복공장 합창부원이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그녀는 유치원에 다니던 6살 때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해 지금은 북한 최고의 전자악단이면서 북한을 대표하는 보천보경음악단의 마스코트 구실을 톡톡히 하고 있죠.
전혜영보다 4살 위인 김광숙은 '생이란 무엇인가’로 많은 인기를 모은 가수입니다.
92년 `인민배우'가 된 그는 "맑고 은구슬 같은 목청의 고음가수"라는 평가를 받고 있을 정도로 그 재능을 인정받았습니다.
그는 평양인흥고등중학교를 졸업하고 평양청년예술단에서 활동하다가 1986년 보천보전자악단에 입단했죠. 그의 남편 역시 보천보전자악단의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인 전권이라는 사람입니다.
전혜영과 동갑인 리분희는 높지도 않고 낮지도 않은 부드러운 목소리로 노래를 부르며 '사랑의 미소’, '여성은 꽃이라네’, '풍년새가 날아든다’ 등을 부른 가수입니다.
그리고 리경숙은 1970년생으로 7살 때 혁명가극에 출연함으로써 일찍이 이 분야의 베테랑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1988년 평안남도 평성예술학원에서 성악을 공부했고 졸업 후 보천보전자악단에 입단했던 그녀는 "생활의 노래로 친근감과 생동한 기쁨을 주는 가수"라는 평을 받는 북한의 신세대 공훈배우입니다.
북한 가수로는 드문 저음(低音)가수로는 조금화가 유명합니다.
그녀는 성량이 풍부하고 넓은 음역을 가진 가수로 민요풍 노래를 감칠맛나게 부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표곡으로는 '아직은 말못해’, '우등불’ 등이 있지요.
왕재산경음악단 전속 가수인 렴청은 북한에서 전혜영 못지 않게 인기를 끌고 있는 가수입니다.
1996년 인민배우가 된 그녀는 특히 지난 6월 남북정상회담 때 '새타령’ 등으로 남측 관람객들을 매료시켰던 것으로 더욱 유명합니다.
끝으로 북한에서 팬레터를 많이 받는 배우로 알려진 조청미는 1957년 일본 후쿠오카(福岡)현에서 태어난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출신의 가수입니다.
조총련계 조선중고급중학교를 마친 그녀는 지난 1973년 평양음악무용대학에 유학을 해서 이 대학을 졸업한 후 지난 1980년 북한 피바다가극단에 입단했습니다.
거기서 그녀는 성악배우로 활동하기 시작했는데, 그녀가 북한으로 유학오게 된 데는 그가 16세 때 일본으로 공연간 북한 예술단의 '꽃파는 처녀’를 본 것이 계기가 됐다고 합니다.
그녀가 북한에서 음악공부를 하게된 동기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당시 북한 예술단의 아름다운 선율에 반해 결심하게 됐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1989년 3월 독창 '빛나라 정일봉’을 불러 김정일 노동당 총비서로부터 중음(中音)을 잘 표현했다는 찬사를 들었으며, 1997년 11월에는 배우로서는 최고 영예인 인민배우 칭호를 받았습니다.
그녀가 부른 노래로는 가요 '산으로 바다로 가자’, '우리의 청춘시절’ 등이 있습니다.
이상으로 부족하지만 북한의 최고 가수들을 나름대로 자세히 소개해 보았습니다.
그런데 여러분들도 들어봐서 알겠지만 북한의 가수들은 천편일률적으로 꾀꼬리 같은 목소리를 냅니다.
남한에는 이소라처럼 허스키한 목소리를 내는 가수가 인기를 누리기도 하지요.
하지만 북한의 경우 그러한 목소리로 노래를 부르면 아주 싫어할 뿐만 아니라, 노래를 못하는 가수로 취급을 받는다고 합니다.
이는 과거 김일성 주석이 "조선사람의 목소리는 본래 아름다운데 고운 처녀가 허스키한 목소리를 내는 것은 정말 듣기 흉하다"고 말한 적이 있는데, 특히 민요를 부르는 북한 가수들은 대개 콧소리가 섞인 맑고 밝은 목소리로만 노래를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전통도 살리고 '인민대중'이 밝고 희망찬 노래에 대한 믿음을 갖게 한다는 취지라고 합니다.
북한에서 허스키한 목소리는 "색정과 부화(간통)·방탕을 조장하는 자본주의적 음성"이라 하여 금기시하고 있습니다.
아하, 북한의 최고 가수들을 거의 다 소개했는데, 공교롭게도 남자 가수는 하나도 소개하지 못했네요.
북한에서 최고의 남자가수로는 최광호가 꼽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