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 작품 감상의 관점 : 관점이란 어떤 점에 치중하여 작품을 보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1) 내재적 관점(절대주의적 관점)
작품 외적인 사항을 고려하지 않고 작품의 운율, 문체, 표현상 특징, 구조 등 작품 자체의 내적 특징에 주안점을 두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관점
(2) 외재적 관점
작품에 영향을 끼친 외부적 요인, 즉 작가의 생애, 심리, 사회적 상황, 역사적 배경 등과 관련하여 작품을 이해·해석하는 관점
㉮ 표현론적 관점
작품과 작가의 관계에 주목하여 작품 속에 나타난 작가의 인생관, 문체, 의도 등에 관심을 갖고 작품을 이해·해석하는 관점
㉯ 반영론적 관점
작품과 현실과의 관계에 주목하여 작품에 반영된 시대, 현실, 역사 등에 관심을 갖고 작품을 이해·해석하는 관점
㉰ 효용론적 관점
작품과 독자와의 관계에 주목하여 독자의 반응에 관심을 갖고 작품을 이해·해석하는 관점
<예시> 서시 - 윤동주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 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 네 관점에 따른 감상 방법
[감상]
이 시에는 시인 윤동주의 시 정신이라 할 수 있는
'양심 앞에 정직하고자 하는 결벽성'이 잘 드러나 있군.
▷작품과 작가와의 관계에 주목한 표현론적 관점
[감상]
이 시에는 식민지 상황에 처해 있는
젊은 지식인의 고뇌와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가 잘 나타나 있어.
그래서 더욱 진솔한 느낌을 주는 것 같아.
▷작품과 현실과의 관계에 주목한 반영론적 관점
[감상]
이 시는 우리 같은 학생들에게 가르침을 주는 작품이야.
우리가 앞으로 이 험난한 세상을 살아 나갈 때,
지금과 같은 젊고 순수한 마음을 결코 잃지 말라는 것 같아.
▷작품과 독자의 관계에 주목한 효용론적 관점
[감상]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라는 말에서
시인의 경건한 삶의 자세를 읽을 수 있어.
그리고 '별'과 같은 순수한 것을 통해 이상 세계를 그린 것을 보면
이 시인의 소망은 순수하고 진지한 것이란 생각이 들어.
▷작품에 쓰인 언어에 주목한 내재적 관점(절대주의적 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