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여기에 써도 좋을지 외람되지만 양해를 구하면서 올립니다.
물론 고수분들에게는 별 의미없는 내용이고 저처럼 육효를 시직한 지
얼마 안되는 입문자 분들에게 혹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하여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저의 경우는 육효공부를 하기전에 주역 64괘 즉 상경 30괘와 하경 34개는
암기하고 있었지요. 그런데 수괘와 소속괘를 외우려니 잘 안외워지더라고요...
제 성격이 배운것을 못 외우면 진도가 잘 안나가서 육효공부도 더디었지요...
물론 육효에 관련된 명리기초는 알고 있었고 비신도 반복하여 공부하니 암기가 되네요...
그런데 수괘와 소속괘는 무작정 외우려니까 잘 안되었지요.
그러던중 우연히 공통점을 발견하여 한 궁에 8개의 괘 가운데 일단 수괘를 제외한
3개의 괘만 외우면 뒤의 4개는 암기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법을 알게 되었지요.
물론 다른 분들도 저와 깉은 방법으로 암기한 분들도 계시겠지만.......
이제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그전에 먼저 8괘의 순서는 반드시 알아야겠지요.
즉 1건천, 2태택, 3리화 ,4진뢰, 5손풍, 6감수 ,7간산 ,8곤지
또한 64괘의 순서는 몰라도 명칭은 알아야 합니다
다시말해 건위(천), 곤위(지), 수뢰(둔), 화천(대유).......
먼저 건위천괘에 소속된 괘를 살피면
건위천 : 천풍구,천산돈,천지비,풍지관,산지박,화지진,화천대유입니다
이중에서 수괘를 제외한 다음 3괘만 암기한 후(3개의 괘도 수괘의 끝, 즉 天으로 시작 함)
즉 여기서는 천풍구,천산돈,천지비를 암기 후 네번째 괘는 첫번째 괘인 천풍구의 중간글자인 風과
세번째인 천지비의 중간글자인 地가 만나 풍지관이 되고 다음괘는 두번째괘인 천산돈의 山과
천지비의 地가 만나 산지박이 되지요
다음 괘는 앞괘인 山地(박)에서 山이 주역 8괘 중 일곱번째 해당(7간산)되는데
거기서 빼기를 4하면 3리화가 되는데 이때 화를 앞으로 세워 화지(진)이 됩니다.
(이때 5이상은 4를 뺀괘를 찾고 4이하는 4를 더한 괘를 찾아 적용하면 됩니다)
마지막 괘는 바로 앞 괘의 첫글자안 화지진의 火와 首卦의 끝글자인 건위천의 天이 만나
火天대유가 되지요.
이렇게 해서 저는 소속괘를 암기하였는데 물론 복습은 계속 되어야겠지요....
얼핏 복잡한 듯 하여도 생각보다 쉽게 암기한 듯하여 글을 올리니 육효에 막 입믄히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첫댓글 공부방에 육효 소속궁 외우기 보시면 좀 편하실 것 같은데....
공부방으로 옮기겠습니다.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육효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싶네요.^^
나이스님 강의를 들으시면 됩니다.
팔괘부터 공부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음..좋은정보입니다
좋은방법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