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 문신. 자는 우복(于復). 본관은 영광(靈光). 부윤 규(規)의 서자이다. 건춘문을 지키는 갑사였다가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 평정에 종군하여 병조정랑이 되었고, 별시문과에 장원하였다. 1468년 예종이 즉위하자 남이(南怡)·강순(康純) 등을 역모로 몰아 숙청하고 익대공신 1등, 무령군(武寧君)에 봉해졌다. 1476년(성종 7) 한명회(韓明澮)를 모함하다 파직되었으나 이듬해 도총관에 임명되었다. 1478년 조정을 문란케 하여 공신적을 삭탈당하였다가 1481년 되찾았고, 정조사·등극사 등으로 명(明)나라에 다녀와 1491년 황해도 관찰사가 되었다. 김종직(金宗直)이 함양군수로 부임하여 일찍이 그가 시를 지어 현판해 놓은 것을 철거하자 이를 괘씸히 여기던 중 1498년(연산군 4) 《성종실록》 편찬 때, 김일손(金馹孫)의 사초에 스승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실린 것을 기화로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켰다. 연산군을 부추겨 김종직 문하의 사림파를 제거하고 숭록대부에 오르는 한편, 대간의 탄핵으로 파직되기도 하였다. 1506년 성희안(成希顔)과의 인연으로 중종반정 때 정국공신 1등, 무령부원군에 봉해졌으나, 이듬해 거듭된 탄핵으로 훈작을 빼앗기고 유배되어 경상도 변군(邊郡)에 옮겨졌다가 눈이 먼 뒤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