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금북정맥 2차
1. 일자, 구간 및 거리
1) 2008년 10월 27일 36번국도 행치재 - 592번지방도 질마재 25.9Km
2) 2008년 10월 28일 592번지방도 질마재 - 512지방도 현암 삼거리 26.8Km
2. 시간 및 속도
1) 총산행시간 07:33
GPS이동시간 06:50, 정지시간 00:43, 이동평균속도 3.8Km, 전체평균속도 3.4Km
2) 총산행시간 07:48
GPS이동시간 06:59, 정지시간 00:49, 이동평균속도 3.8Km, 전체평균속도 3.4Km
3. 산행자 : 홀로산행(갱비 이근배)
4. 주요 지점별 시간
1) 행치고개(12:21) - 보천고개(13:39) - 고리티 고개(15:03) - 보광산(15:36) - 모래재(16:22) - 596.5봉 대삼각점(17:37) - 칠보산(18:18) - 칠보치(18:54) - 질마재(19:54)
2) 질마재(07:47) - 새작골산(08:12) - 좌구산(09:49) - 방고개(09:24) - 분젓치(10:13) - 구녀산(10:50) - 이티재(11:04) - 상당산(13:33) - 산성고개(14:14) - 것대산(14:47) - 현암삼거리(15:35)
5. 산행기록
1) 2008년 10월 27일 3구간
- 12:21 행치고개 행치주유소(윗행치 표지석 뒤 지하도를 통과하여 산행 시작)



- 12:51 가정자 삼거리
- 12:56 시멘트도로 고갯마루(마루금을 찾아 묘 뒷편 가시덩쿨 속으로 진행)
- 13:39 보천고개(토골고개) - 음성군 원남면, 괴산군 소수면 행정표지판
- 14:18 377.9봉(삼각점)

- 14:39 백마산 갈림길

- 15:03 고리티 고개

- 15:10 395.4봉(삼각점)


- 15:11 보광산 갈림길(이정표)
- 15:34 이정표 삼거리(보광산 5분, 고리티재 30분, 모래재 50분) - 100m 표시
- 15:36 보광산(539m)

- 15:38 이정표 삼거리(다시 돌아옴)
- 15:40 괴산 봉학사지 오층석탑

- 15:45 보광사 1분/보광산 15분 삼거리
- 15:47 보광사(절내 약수터에서 물보충)


- 15:55 삼거리(오른쪽 능선을 올라야 함)
- 16:00 이정표(시동마을 40분, 보광산 20분, 모래재 30분)
- 16:09 송전철탑
- 16:15 지하도(도로 절개지를 따라 직진, 우측으로 내려가 지하도를 지나면 구도로가 나옴)

- 16:16 구도로(지하도 바로 앞 능선으로 올라서면 보광농원 철망문이 나옴 - 진행중 확인)
- 16:19 34번국도 모래재


- 16:22 모래재의병격전유적비

- 16:30 보광산관광농원 우측철망문(개가 심하게 짖어 입구를 통하지 않고 모래재 표지판 앞 절개지를 올라 오른쪽 능선길로 오름, 철망문을 나가 왼쪽으로 철망을 따라 진행, 지하도에서 바로 올라오는 흔적 있음)
- 16:45 344.1봉(삼각점)

- 16:57 철망 시작(한참을 철망을 따라 진행)
- 17:19 가축용 전기철망이 보이고 안에는 많은 염소들이 풀을 뜯어먹고 있다
- 17:34 596.5봉 갈림길
- 17:37 596.5봉(대삼각점)

- 17:40 596.5봉 갈림길
- 18:18 칠보산(585m)

- 18:54 칠보치
- 19:41 410봉
- 19:54 592번지방도 질마재

2) 2008년 10월 28일 4구간


- 07:47 질마재

- 08:12 새작골산(이정표)

- 08:49 좌구산(657.8봉, 삼각점)


- 09:06 이정표(좌구산 0.7Km, 방고개 1.24Km, 주차장 1.44Km)
- 09:15 이정표(좌구산 1.26Km, 방고개 0.68Km, 주차장 1.72Km)
- 09:24 방고개

- 10:13 분젓치(계속적인 오르내림의 봉우리를 지나면 나옴)

- 10:39 457봉 갈림길
- 10:50 구녀산(484봉)

- 10:53 사각정자 쉼터 및구녀성 유래판

- 11:04 511번지방도 이티재(구녀성 정상석과 이티재 주유소, 휴게소가 있음)


- 11:36 486.3봉(삼각점)

- 11:47 99임도석
- 12:13 인경산 갈림길
- 12:26 삼각점
- 12:34 숲속의 둥지 안내표지
- 13:11 등산로 안내판(등산로명 : 이티재)
- 13:16 491봉(상당산으로 잘못알고 붙인것으로 보인다)

- 13:28 상당산성 성벽
- 13:29 성문(좌측으로 진행하면 나옴 - 우측 능선으로 올라야 함)
- 13:33 상당산(491봉, 삼각점)


- 13:47 미호문(서문)

- 13:53 것대산 가는길
- 13:39 남암문(것대산 가는길)

- 14:03 이정표
- 14:12 KTF 중계기
- 14:14 512번지방도 산성고개


- 14:34 상봉재
- 14:43 397봉(청주 것대산 (거질대산) 봉수지)

- 14:47 것대산(행,파라 활공장)
- 14:56 KTF/LG 중계기
- 14:57 512번지방도 - 현양원 포장도로
- 15:09 목련공원(공원묘지)
- 15:21 임도
- 15:24 512번지방도
- 15:29 송전철탑
- 15:33 512지방도
- 15:35 현암삼거리(수레너미)


6. 산행후기
한남금북 2차 산행으로 좀더 멀리가기 위하여 준비를 한다. 배낭의 무게가 1차와는 달리 무거워 진다. 야간 탈출로가 어렵기도 하고, 복병의 추위를 대비 하기 위하여 겨울용 옷을 준비하고, 배낭도 더 큰 배낭으로 바꾼다. 야간근무를 마치고 동서울 터미널에 도착하니 10:00버스가 있다. 무려 40여분을 기다려 출발을 한다. 한참을 자고 일어나니 대소.무극을 지나 음성에 도착한다. 길건너 순대밥국집에서 순대국을 먹고, 터미널 김밥집에서 깁밥 2줄과 물을 구입하여 택시를 타고 행치재에 도착(6,700원)한다. 행치재주유소에서 준비를 하고 산행을 시작한다. 날씨는 맑은 하늘이긴 하지만 지나가는 구름에 가끔씩 비가 오려나 하는 생각을 하면서 표지기를 따라 능선을 따른다. 시작에는 천천히 하면서 진행을 하지만 나도 모르게 빨라지고 있다. 속도가 4Km이상 나온다. 속으로 절재를 하면서 속도를 늦추고 진행을 한다. 등로에는 추위를 느낄정도로 바람이 불어온다. 그러나 오히려 좋은 느낌을 받으면서 어려움 없이 진행 할 수가 있다. 오름에는 속보, 내림에는 잔거름으로 뛴다. 아직도 장딴지 근육이 멍멍하기는 하나 숨이 가프지 않아 오르내림의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진행한다. 속도도 대단히 빠르다. 평균속도가 3.6Km까지 나온다. 야간이 되자 추위와 심한 바람으로 몸에서 나는 땀을 한기가 덮어버린다. 방한의를 입었지만 추위의 바람은 막지 못하였고, 속도 또한 느려진다. 질마재에서 산행을 종료하고 처움으로 바닦에 앉아 김밥을 먹고 지나는 차량을 세우니 부부가 승차한 자가용을 타고 사정을 이야기하니 금평삼거리 모텔까지 대려다 준다. 참으로 고마운 분이다. 아침을 식당에서 먹을 수 있도록 모텔의 도움을 받는다. 6시에 일어나 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07:20분 증평가는 시내버스를 타고 질마재에 내려 4구간의 산행을 시작한다. 전임자의 산행기를 보면 어려운 구간으로 표기된다. 이태재휴게소에서 식사를 하려고 하나 조금 빨라 사이다 2병을 마시고 출발을 한다 이번 지나야 하는 산성구간 8Km의 거리를 5시간 이상이 소요된다고 한다. 산행기를 보니 오르내림이 많다. 그렇지만 산행은 오르내림이 많아야 묘미가 있다는 생각에 빠른 속도로 진행을 한다. 아프던 장딴지 근육도 편해지고 오르내림을 별로 느끼지 않은체 상당산성에 도착한다. 산성길을 지나면서 그만 딱닥한 길에 발 바닥과 다리에 무거움을 느낀다. 양말을 갈아 신어야 하는 생각도 해보았지만 얼마남지 않았다는 생각에 그냥 진행을 한다. 속도가 느려지고 힘이 빠진다. 출렁다리를 지나 김밥을 먹고, 목적지인 현암삼거리에 도착한다. 식당에 들어가 차편을 알아보니 하루 두번 다니다는 차량(11:15, 14:00)이 끊겼다. 택시를 불러준다. 묵밥한그릇을 먹고 청주고속 터미널에 도착(청주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미원, 문의방면 차량을 타고 큰대머리에 내려 택시를 타면 현암삼거리까지 3,000원이 나온다고 택시기사가 알려줌), 고속버스로 서울에 도착한다. 이번 구간도 별 어려움 없이 진행을 하였고 3개월여동안 아프던 몸이 풀리는 것을 느낄 수 있었던 좋은 산행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끝
첫댓글 나홀로 정맥이어가기 클럽에 몇분이 주야로 한국의산하를 즐기시는군요.무탈히 잘이으시고 다음주에 뵙게습니다.
방장님 고맙습니다. 열심히 하겠읍니다
한남금북정맥..처음 보는 풍경속으로 빠져 듭니다..홀로 산행을 무탈하게 마치신 갱비님의 그 수고에 감사의 맘 전합니다~~
정맥길은 경치는 볼게없내요. 그냥 빠르게 진행하다보니 주변 경치 사진을 못찍어서 올리지 못하여 죄송. 다음에 많이 찍어 올릴께요. 감사합니다
완전히 회복된 것 같아 마음 편안하게 봤습니다. 홀로 산행할 적에는 안산이 제일입니다. 즐감했습니다.
이제 바랭이님과 같이 해도 될라나 모르겠내요. 열심히 할께요
저에게는 아직은 생소한 지명들이 많습니다. 모쪼록 안산이어가시고 하루하루 행복하십시요. 즐감합니다.
칸님에 비하면 부족하지만 9정맥도 얼마남지 않았내요. 감사합니다
"땀냄새 숨소리 뿐"이라는 표지판이 재미있습니다. 산꾼의 전형적인 모습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남금북정맥 2차구간 완주를 축하드립니다. 다음 구간도 안산 이어가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산의 오르내림은 자신이 느낄뿐이지 남이 느껴주는 것이 아님니다. 감사합니다
가보지않은 미지의 산 풍경 잘보구 갑니다 ,,,안산이어가시길~~~~
고맙습니다. 열심히 안산 즐산하면서 완주하겠읍니다
한남금북정맥 곧 끝나겠습니다.부상의 두려운 마음에 몸의 상태를 체크하시며 가시는 걸음이 조심스러웠겠지요. 1차팀의 선두답게 길찾아 가시는 모습이 그려 집니다.
전대장님 텐팀과 같이하는 모습 부럽습니다. 이제는 같이가도 되려나 모르겠내요. 성삼재에서 뵈요
수고했습니다. 언젠가 가야할 길이기에, 세세히 보게되네요. 한남금북길 행복한 산행길되시고, 언제나 건강한 몸으로 뵙기를 원합니다..^^
현상님이 간 낙동정맥 나도 갑니다. 많이 참고 할께요. 성삼재에서 뵈요
낯익은 풍경입니다..행치재, 출렁다리, 산성길..마지막까지 무사 완주하시길 바랍니다..^^*
나영님 오랜많이내요. 처움 낙남을 찻았을때 생각이 무척 그립고, 벌써 구정맥이 마무리 단계까지 왔내요. 나영님도 마무리 단계까지 왔지요. 언제 한번 뵈요.
한남금북길 무탈하게 종주 하시길 기원합니다 언젠가 저도 가야할 길입니다 잘 닦아주시길 바랍니다 행복한 산행이어 가십시요
고맙습니다. 한남금북은 어느 정백보다도 편안한 산행길 같내요.
한남정맥 끝내고 계속 이어 가야 하는 길인데...즐산 이어 가세요.^^
한남정맥 보다는 길 찾기가 쉽내요. 고맙슷니다
한남금북 종주 축하합니다. 한여름에 넘던 길이 생각나내요 .안산 즐산 하십시요
가을의 단풍을 보면서 즐거움을 배로하여 진행하고 있읍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