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을시즌 만큼 감성돔낚시를 즐기기 좋은 시기도 없다. 낚시터가 넓고 포인트도 다양하며, 조황까지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같은 장점들이 낚시꾼들에게 무조건 긍정적인 결과를 선물하지는 않는다. 낚시터를 선정하고 포인트를 고르는데 적지 않은 고민을 하게 만들기 때문에, 때로는 고민꺼리로 작용하기도 하는 것이다. 가을시즌에는 감성돔 활성도가 높고 개체수도 풍부하다. 따라서 특정 포인트 유형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수심이 매우 얕거나, 물밑이 온통 뻘밭으로 돼 있는 등 상식에서 벗어난 곳만 아니라면 얼마든지 감성돔을 기대할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포인트에서 감성돔낚시가 이뤄지고, 감성돔 활성도 역시 높다는 점에서 가을시즌과 전유동채비는 궁합이 잘 맞다. 전유동채비를 사용하면 표층부터 바닥층, 가까운 곳부터 먼곳까지 넓은 지역을 꼼꼼하게 탐색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시로 움직임이 달라지는 변덕스런 가을감성돔을 공략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감성돔낚시 황금기인 본격적인 가을시즌을 맞아 포인트 유형별 전유동낚시 방법론을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다. |
|
가을감성돔은 활성도가 비교적 높다. 그래서 활동범위도 넓다. 가을감성돔이 포인트 유형을 가리지 않고 모습을 드러내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고삐 풀린 망아지’ 같이 움직이는 가을감성돔을 노릴 때는, 다양한 수심층을 꼼꼼하게 탐색할 수 있는 전유동채비가 제격이다. |
수중여밭 0호~4B 구멍찌 널리 사용… 조류·수심 고려해 채비 운용 수중여밭은 계절에 상관없이 감성돔낚시가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는 포인트 유형 중 하나다. 감성돔 움직임이 활발하고 개체수도 풍부한 가을시즌에는 특히 인기가 높다. 가을시즌 수중여밭에서 감성돔낚시를 할 때는 전유동채비가 진가를 발휘한다. 반유동채비는 공략 수심이 제한돼 있기 때문에 물밑 지형이 복잡한 수중여밭을 탐색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수심이나 조류 세기에 따라 어느정도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수중여밭을 노릴 때는 0호~4B 구멍찌를 사용해 전유동채비를 만들면 된다. 수심이 5m 정도이고 조류가 느린 곳에서는 0호~B, 수심이 10m를 넘고 조류도 비교적 빠른 경우에는 2B~4B 찌가 적당하다. 참돔을 노릴 때는 1호 이상되는 찌로도 전유동낚시를 하지만 감성돔낚시에서는 고부력 찌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 더욱이 가을시즌에는 사용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수심 얕고 조류 느린 여밭 수심이 별로 깊지 않고 조류도 느린 여밭에서는 가을시즌이라고 하더라도 감성돔이 주로 바닥층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따라서 미끼가 바닥층을 따라 움직이도록 해야 감성돔 입질 받을 확률이 높다. 또한 갯바위 가까이까지도 잘 접근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런 여건을 갖춘 곳에서는 처음부터 다소 먼거리를 노리는 게 입질 받을 확률이 높다. 채비를 만들때도 이 같은 사실에 신경을 써야 한다. 그렇다고 미끼를 빨리 가라앉힐 생각에 밑채비를 무겁게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미끼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질 뿐 아니라, 밑걸림이 생길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다. 밑채비는 조류 세기와 공략 수심을 고려해 최대한 가볍게 만들어야 한다. 목줄과 바늘 무게 만으로 미끼가 가라앉도록 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탐색형 수중찌나 좁쌀봉돌을 사용하기도 한다. 단, 탐색형 수중찌를 사용할 경우에는 되도록 좁쌀봉돌을 물리지 않는게 좋다. 좁쌀봉돌만으로 밑채비를 마무리할 때도 바늘 가까이는 물리지 말아야 한다. 이런식으로 채비를 만들면 밑밥과 미끼를 동조 시키는 데도 도움이 된다. 밑채비가 가벼워, 미끼와 밑밥이 가라앉는 속도를 비슷하게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밑밥은 다소 가볍게 만드는 게 좋다. 바닥층을 노린다고는 하지만 수심이 별로 깊지 않고 조류도 빠르지 않기 때문이다. 밑밥을 조류 상류에 넉넉하게 뿌린 다음, 채비를 밑밥 투척 지점에 던져 밑밥띠 속에서 미끼가 움직이도록 하면 감성돔 입질 확률을 높일 수 있다. 감성돔 입질이 바닥층에서 집중되는 상황에서 밑채비를 가볍게 사용하므로, 견제는 되도록 짧고 약하게 해야 한다. 그래야지만 미끼가 바닥층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으면서 선행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수심 깊고 조류 빠른 여밭 수심이 깊고 조류도 비교적 빠른 수중여밭에서는 감성돔 활동 범위가 매우 넓다. 감성돔 활성도가 높은 가을시즌에는 더욱 그렇다. 처음에는 감성돔이 갯바위에서 멀리 떨어진 곳 바닥층에 머물고 있다가도, 밑밥이 꾸준하게 투입되면 낚시자리 주변까지 접근할 뿐 아니라, 중층 이상까지 떠오르기도 한다. 이처럼 감성돔 움직임이 변화무쌍하므로, 수심 얕고 조류 느린 수중여밭을 노릴 때 보다는 밑채비를 다소 무겁게 만드는 게 유리하다. 밑채비가 너무 가벼우면, 미끼가 바닥층까지 가라앉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길어지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밑채비는 조류 세기를 고려해 탐색형 수중찌와 좁쌀봉돌을 조합해 만들면 된다. 미끼가 안정감있게 움직이도록 하는 게 중요하므로, 좁쌀봉돌은 조류 세기를 고려해 침력을 선택하고 물리는 위치를 정해야 한다. 조류가 빠른 상황에서 전유동채비를 사용할 때는 채비 투척 지점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밑채비가 무거운 경우에는 채비를 낚시자리 정면에 던진 다음, 조류에 태워 흘려도 원하는 수심층까지 미끼를 가라앉힐 수 있다. 하지만 전유동채비는 밑채비가 가볍기 때문에 미끼가 가라앉는 속도보다 구멍찌가 흘러가는 속도가 더 빠르므로 밑채비를 효과적으로 가라앉히기 어렵다. 따라서 전유동채비를 사용할 때는 공략 수심을 고려해 낚시자리에서 조류 상류 쪽으로 채비를 멀리 던지는 게 중요하다. 어느정도 수심까지 밑채비가 가라앉으면 뒷줄견제를 통해 미끼가 선행되도록 해야 한다. 감성돔 이동폭이 비교적 큰 편이므로, 견제는 약하게 오랫동안 해야 한다. 그래야 미끼가 자연스럽게 움직이며 다양한 수심층을 탐색할 수 있다. |
|
직벽 좁쌀봉돌로 밑채비 마무리해야… 미끼는 ‘벽면’에 붙여야 직벽은 겨울감성돔 포인트라는 인식이 강하지만 가을감성돔낚시를 즐기기에도 손색이 없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 다른 포인트 유형에 비해 감성돔 씨알이 굵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직벽에서 감성돔 입질 받을 확률이 가장 높은 지점은 벽면이다. 주변 물밑에 수중여가 잘 발달돼 있는 경우에도 벽면부터 공략하는 게 바람직하다. 감성돔 활성도가 높은 가을시즌에도 이 같은 사실은 달라지지 않는다. 직벽에서 감성돔은 주로 벽면을 타고 움직인다. 따라서 미끼가 최대한 벽면 가까이 붙은 상태로 움직일수 있도록 채비를 만들어야 입질 받을 확률이 높다. 수중찌나 탐색형 수중찌는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파도나 조류가 벽면에 부딪혀 생기는 반탄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밑채비는 반탄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좁쌀봉돌로 마무리하는 게 좋다. 좁쌀봉돌은 반탄류 세기를 고려해 침력을 선택하고 물리는 위치를 정한다. 밑채비 뿐 아니라 어신찌도 파도나 조류 영향을 적게 받는 소형 모델을 선택해야 한다. 다른 시기에는 몰라도 가을시즌에는 밑밥을 꾸준하게 뿌리면 감성돔이 벽면을 타고 중상층까지도 쉽게 떠오른다. 따라서 제로찌보다는 어느정도 부력이 있는 B~3B 찌를 사용한 전유동채비로 다양한 수심층을 꼼꼼하게 탐색하는 방식으로 낚시하면 좋은 조과를 올릴 수 있다. 밑밥은 가볍게 만들어 발밑에 집중적으로 뿌린다. 가벼운 밑밥을 꾸준하게 뿌려 감성돔 활성도를 최대한 끌어올려야 좀더 쉽게 마릿수를 채울 수 있다. 감성돔이 모습을 드러내기 전까지는 다소 많은 양을 뿌리고, 입질이 온 다음에는 투입 양과 횟수를 줄인다. 이런식으로 밑밥을 운용해야 오랫동안 꾸준하게 입질 받을 수 있다. 밑밥 운용 뿐 아니라 채비 운용에도 신경을 써야 확률 높은 낚시를 즐길 수 있다. 밑채비가 가라앉는 과정에서는 원줄을 팽팽하게 유지한 상태로 미끼가 더이상 가라앉지 않을 정도로 약하게 견제를 해주는 게 유리하다. 반면, 미끼가 바닥층까지 가라앉은 다음 끌어올리는 과정에서는 비교적 큰 동작으로 견제를 해줄 필요가 있다. 그래야 미끼가 감성돔 눈에 띌 확률이 높다. |
|
곶부리 조류 세기 따라 공략지점 달라… 빠르면 지류, 느리면 본류 바다 쪽으로 길게 튀어나간 곶부리는 낚시꾼들이 가장 선호하는 포인트 유형 중 하나다. 곶부리형 포인트는 무엇보다 조류 소통이 원활하다는 점이 돋보인다. 조류 소통이 원활한 만큼 밑밥 효과도 뛰어나다. 밑밥만 꾸준하게 뿌리면 멀리 있는 감성돔도 낚시자리 주변으로 어렵지 않게 불러모을 수 있다. 감성돔 입질이 시원하다는 사실도 장점이다. 곶부리에서는 조류 세기에 따라 공략 지점을 달리해야 한다. 조류가 빠를 때는 본류대에서 갈라져 나온 지류대를 노리고, 느린 경우에는 본류대를 직접 공략하면 된다. 지류대에서는 처음부터 다소 먼거리를 노리는 게 유리하다. 지류대 가장자리에 채비를 던진 다음 밑채비를 가라앉히며 가까이 끌어들이는 방식으로 낚시하면 된다. 채비는 공략 수심과 조류 세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3B~4B 구멍찌에 탐색형 수중찌를 조합해 만들면 된다. 채비 조작은 비교적 간단하다. 채비를 던진 다음 원줄을 팽팽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베일을 닫는다. 이렇게 하면, 밑채비가 가라앉으면서 찌가 낚시자리 쪽으로 천천히 다가온다. 견제는 찌가 다가오는 속도를 고려해 원줄을 감아주는 정도가 적당하다. 원줄을 감아들이면 미끼가 천천히 떠오르는데, 이때 입질이 오는 경우가 잦다. 밑밥은 적당히 가볍게 만든 다음 발밑에 꾸준하게 뿌려야 한다. 밑밥이 조류와 파도에 의해 지류대로 자연스럽게 흩어지도록 해야 집어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본류대를 직접 노릴 때는 지류대를 공략할 때보다 한두단계 부력이 높은 찌를 사용해야 한다. 물돌이 시간에 낚시가 이뤄지기는 하지만 그래도 조류가 비교적 빠른 편이기 때문이다. 본류대 공략용 전유동채비를 만들 때는 특히 밑채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밑채비는 탐색형 수중찌와 좁쌀봉돌을 사용해 만든다. 탐색형 수중찌는 가벼운 밑채비를 효과적으로 가라앉히고 잘 떠오르지 않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좁쌀봉돌은 밑채비를 안정감 있게 유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채비가 완전히 정렬된 상태로 진행돼야 입질 확률이 높으므로, 견제는 원줄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정도로 약하게 해야 한다. 적절한 채비각이 유지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견제를 자주 해야 한다는 사실도 잊으면 안된다. 밑밥은 가볍게 만든 다음 채비 투척 지점보다 조류 상류에 꾸준하게 뿌려준다. 조류가 빠르다고 해서 밑밥을 무겁게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무엇보다 밑밥과 미끼를 동조 시키기가 까다로워지기 때문이다. |
|
방파제 테트라포드 조류 소통 감안해 흘리거나 끌어당겨야 가을시즌에는 방파제에서도 감성돔낚시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뤄진다. 특히 동해안에서 방파제낚시 인기가 높다. 방파제에서도 테트라포드 구간에서 감성돔 입질이 활발하다. 복잡하게 얽혀있는 테트라포드가 훌륭한 감성돔 서식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테트라포드 구간은 그 어느 갯바위 포인트보다 물밑 지형이 복잡하다. 발밑부터 제법 멀리 떨어진 거리까지 수중테트라포드가 촘촘하게 박혀 있어 수심 기복이 비교적 심한 편이다. 복잡하게 얽혀 있는 수중테트라포드를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위해서는 전유동채비를 사용하는 게 여러가지로 유리하다. 밑걸림을 줄이면서 넓은 지역을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방파제 테트라포드 구간에서는 조류 세기에 따라 효과적인 공략법이 달라진다. 조류 소통이 좋은 때는 채비를 적당한 곳에 던진 다음, 조류에 태워 멀리 흘리는 식으로 낚시하면 된다. 단, 미끼가 수중테트라포드 구간 안에서 움직여야 감성돔 입질 확률이 높으므로, 물밑 지형을 고려해 채비 투척 지점을 선택해야 한다. 채비는 조류 세기나 공략 수심에 따라 어느정도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2B~4B 구멍찌에 탐색형 수중찌를 연결해 사용하면 된다. 조류가 매우 빠른 경우가 아니라면 목줄에는 좁쌀봉돌을 물리지 않는 게 좋다. 그래야 미끼 움직임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견제는 짧고 약한 견제를 자주 해주는 게 좋다. 이런식으로 뒷줄을 잡아야, 채비가 정렬된 상태에서 미끼를 효과적으로 선행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질은 미끼가 선행되는 과정에서 온다. 밑밥은 적당히 가볍게 만든 다음 채비 투척 지점 보다 조류 상류 쪽에 꾸준하게 뿌려주면 된다. 밑밥띠와 미끼가 동조된 상태로 흘러가는 게 중요하므로, 조류 세기를 고려해 신중하게 밑밥 투척 지점을 정해야 한다. 반면, 조류 소통이 좋지 않을 때는 채비를 멀리 던진 다음 낚시자리 가까이 끌어들이는 공략법이 특히 잘 통한다. 채비는 수중테트라포드 구간이 끝나는 지점보다 멀리 던진 다음 밑채비를 가라앉힌다. 밑채비가 완전히 가라앉고 채비가 정렬된 상태로 미끼가 수중테트라포드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에 접근해야 입질 확률이 높다. 따라서 밑채비가 가라앉는 속도를 고려래 채비 투척 지점을 정해야 한다. 밑밥은 잘 녹은 크릴에 감성돔 집어제를 섞어 다소 가볍게 만든 다음, 입질 예상 지점에 넉넉하게 뿌린다. 가벼운 밑밥을 꾸준하게 뿌려 감성돔이 수중테트라포드 밖으로 나오도록 해야 좀더 쉽게 마릿수를 채울 수 있다. 무거운 밑밥은 감성돔을 수중테트라포드 안에 묶어두는 역효과를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압맥이나 옥수수 같은 곡물류도 집어 효과를 떨어뜨린다. |
|
방파제 테트라포드에서 가을감성돔을 노릴 때도 전유동채비가 효과적이다. 테트라포드 구간에서는 조류 세기를 고려해 공략거리에 변화를 주는 게 중요하다. 조류 소통이 좋을 때는 채비를 조류에 태워 멀리 흘리는 식으로 낚시하면 된다. 반면, 느린 경우에는 채비를 멀리 던져 끌어 오는 방식이 잘 통한다. |
저부력채비란?
저부력채비에 대해 말하기 전에 저부력찌란 어느정도 부력을 말하는지부터 먼저 알아봐야겠다.
흔히 꾼들 사이에서 저부력과 고부력찌를 나누는 기준이 되는 부력은 1과 3B다. 1호 이상 되는 찌는 고부력찌라고 말하며, 부력이 3B 이하면 저부력찌라고 할 수 있다. 참돔낚시나 선상낚시에 주로 쓰는 잠수찌는 찌 자체가 서서히 가라앉는 마이너스 부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부력채비라 하면 3B 이하인 찌를 사용한 채비라고 정의할 수 있다.
겨울이니까 고부력?
경험이 많은 고참꾼들 중에도 겨울이니까 고부력채비를 쓰는 게 유리하다고 말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물론 수심 깊은 곳 바닥층을 노리는 경우가 많은 한겨울 저수온기 감성돔낚시에는 고부력채비를 쓰는 게 편하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반드시 유리하다고는 할 수 없다.
고부력채비는 수심 깊은 곳 바닥층까지 밑채비를 빨리 가라앉힐 수 있고, 속조류가 다소 복잡하더라도 미끼가 심하게 뜨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고부력채비는 예민한 감성돔을 상대해야 하는 저수온기에 부딪히는 가장 큰 문제인 잔존부력이라는 문제가 있다.
수온이 낮을수록 감성돔의 움직임이 적어지며, 먹이활동도 거의 하지 않는다. 이렇듯 예민한 감성돔이 미끼를 삼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미끼가 최대한 살아있는 것처럼 보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고부력찌는 저부력찌에 비해 잔존부력이 크다. 물론 좁쌀봉돌을 이용해 잔존부력을 제거할 수는 있지만, 목줄에 물린 좁쌀봉돌은 채비각을 흐트러뜨리기 때문에 미끼의 자연스런 움직임을 방해한다.
저부력찌는 찌에 남아있는 잔존부력이 적다. 잔존부력이 적다는 것은 그만큼 채비를 예민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뜻이다. 또한 잔존부력이 적을수록 채비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저부력채비는 밑채비가 가볍기 때문에 고부력채비에 비해 가라앉는 속도가 느리다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다.
|
채비가 수면에 닿기 직전에 원줄을 살짝 당겨 구멍찌와 수중찌, 바늘이 일직선으로 떨어지게 하거나, 채비가 수면에 떨어진 직후에 원줄을 살짝 끌어주면 밑채비를 좀 더 빨리 가라앉힐 수 있다. |
다양한 소품 활용해 채비 입수 빠르게 저수온기에 저부력채비로 깊은 수심층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채비구성부터 운용까지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다. 감성돔낚시를 할 때 사용하는 채비는 수심이나 조류, 바람, 파도 등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서도 저수온기에는 수심이 포인트 선택 기준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저부력채비는 고부력채비에 비해 침력이 약하기 때문에 밑채비가 가라앉는 속도가 느릴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는 다양한 소품을 활용하면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다. 저부력찌를 쓰는 꾼이 늘면서 가벼운채비를 좀 더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소품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조류 타는 성능이 뛰어난 탐색형 수중찌나 찌구멍이 넓은 대구경찌, 원줄이 비스듬한 각도로 빠져나가는 기울찌 등은 모두 가벼운 채비를 좀 더 빨리 가라앉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품들이다. 한단계 정도 가는 원줄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가는 원줄은 찌구멍을 통과할 때 받는 저항이 적기 때문에 채비를 좀 더 빨리 가라앉힐 수 있다. 철저히 씨알 위주로 낚시가 이뤄지는 이맘 때 가는 원줄을 쓰는 게 불안하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최근에 생산되는 원줄은 강도면에서 많이 보강되어 평소 관리만 제대로 하면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 저부력채비를 사용할 때는 채비 던지는 방법만 잘 익혀도 좀 더 쉽게 밑채비를 가라앉힐 수 있다. 채비가 수면에 닿기 직전에 원줄을 살짝 당겨 구멍찌와 수중찌, 바늘이 일직선으로 떨어지게 하거나, 채비가 수면에 떨어진 직후에 원줄을 살짝 끌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 다음에는 밑채비가 어느정도 가라앉을 때까지 원줄을 팽팽하게 잡고 있다가, 밑채비가 10~20㎝ 가량 가라앉은 후 원줄을 풀어주면 좀 더 빨리 가라앉힐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채비를 던지면 밑채비가 엉키는 현상도 줄일 수 있다. 밑채비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서도 차이가 난다. 흔히 반유동낚시를 할 때는 수중찌를 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저부력찌로 반유동채비를 할 때는 수중찌 대신 봉돌을 사용하면 밑채비를 좀 더 빨리 가라앉힐 수 있다. 수중찌는 봉돌에 비해 조류 저항을 많이 받기 때문에 미끼가 바닥층까지 가라앉기 전에 공략지점을 벗어나버릴 수 있다. 또한 속조류가 복잡한 곳에서는 밑채비가 엉키거나 구멍찌와 수중찌는 먼저 흘러가고 미끼가 끌려가는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수중찌 대신 사용하는 봉돌은, 원줄에 끼우는 구멍봉돌이나 목줄에 물리는 좁쌀봉돌이 있다. 좁쌀봉돌을 사용할 때는 물린 지점에서 채비가 심하게 꺾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조류가 빠른 곳에서는 같은 호수의 좁쌀봉돌을 일정한 간격으로 분납해야 채비가 자연스러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좁쌀봉돌을 분납하면 구멍봉돌 한개를 사용할 때 보다 침강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
|
공략지점 정한 후 밑밥·미끼 만나도록 해야 저부력찌 전유동낚시를 즐기는 꾼들이 말하는 저부력채비의 최대 장점은 미끼와 밑밥이 거의 같은 속도로 가라앉는다는 점이다. 밑밥과 미끼 동조는 계절에 관계없이 감성돔 입질을 유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밑밥에 유인된 감성돔이 미끼를 삼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밑밥과 미끼가 함께 가라앉도록 하는 게 가장 좋다. 감성돔 활성도가 높은 가을에는 딱히 공략지점을 정하지 않아도 넓은 지역에서 입질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한겨울 저수온기에는 감성돔의 경계심이 극도로 높기 때문에 확률 높은 입질 예상지점을 정한 후 집중적으로 노리는 게 더 효과적이다. 한겨울에는 감성돔이 은신처를 벗어나는 일이 드물다. 결국 밑밥이 제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감성돔이 머물고 있을 만한 곳에 가라앉도록 품질해야 한다. 갯바위에 내리면 최대한 빨리 물밑지형을 파악해 큰 수중여나 수중곬, 수중턱 등 감성돔이 머물고 있을 확률이 높은 곳을 찾아, 그곳에 밑밥이 도달할 수 있는 지점에 꾸준히 품질하는 게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밑밥을 만들 때는 집어제와 압맥 등 각종 첨가제를 이용해 후각과 시각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평소보다 양을 넉넉하게 준비하는 것도 잊어서는 안된다. 저수온기 감성돔낚시 밑밥, 미끼 동조는 밑밥과 미끼가 함께 가라앉는 게 아니라 밑밥이 가라앉은 지점으로 미끼를 흘러보내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
|
조류 속도에 따른 찌밑수심 조절 저부력채비는 고부력채비에 비해 밑채비 구성이 간단한 편이다. 간결한 채비는 곧 자연스런 채비라고 해도 크게 틀린 말이 아니다. 하지만 조류가 빠른 곳에서는 간결한 채비가 오히려 바닥층 공략을 방해하는 장애 요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조류가 상당히 복잡한 곳에서 낚시를 할 때, 잔존부력이 많은 고부력채비는 목줄에 잔존부력 제거용 좁쌀봉돌을 물린다. 이 때 좁쌀봉돌은 잔존부력 제거는 물론 복잡한 속조류에 의해 목줄이나 미끼가 떠오르는 현상을 막는 역할까지 할 수 있다. 하지만 저부력채비는 대부분 목줄에 좁쌀봉돌을 물리지 않기 때문에 속조류의 영향으로 생기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저부력채비로 좀 더 확실히 바닥층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찌밑수심을 실제수심보다 깊게 맞추는 게 좋다. 아예 복잡한 속조류에 의해 미끼가 뜨는 정도를 예상하고 목줄과 미끼가 함께 바닥에 닿은 채 흐를 정도로 찌밑수심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렇듯 찌밑수심을 깊게 맞추면 밑걸림이 자주 생길 수밖에 없다. 따라서 수시로 뒷줄을 잡아 미끼가 바닥을 더듬는 식으로 흐르도록 하는 게 좋다. 또한 수시로 목줄 상태를 확인해 항상 최상의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저부력채비를 사용할 때는 조류 속도와 입질 예상지점의 수심에 맞춰 채비 던지는 거리를 정확히 맞춰야 한다. 무작정 입질 예상지점 가까이 채비를 던지면 미끼가 바닥까지 가라앉지 못한 상태로 공략지점을 벗어나버리는 낭패를 볼 수 있다. 저부력채비 뒷줄견제 뒷줄견제의 기본적인 의미는 원줄을 당겨 미끼에 자연스런 움직임을 주는 것이다. 하지만 좀 더 포괄적인 견제는 조류를 타고 흐르는 채비가 공략지점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 밑걸림을 줄이기 위해 미끼를 바닥층에서 살짝 띄우는 동작 등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저부력채비를 쓸 때는 뒷줄견제에도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미끼가 가라앉는 동안에는 굳이 뒷줄을 잡을 필요가 없다. 가뜩이나 천천히 가라앉는 밑채비를 방해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미끼가 바닥 부근까지 내려간 후에 수시로 뒷줄을 잡아 밑걸림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한편 뒷줄을 너무 강하게 당기는 동작은 미끼가 심하게 뜰 수 있으므로 적당하지 않다. 저부력채비 뒷줄견제는 낚싯대 끝을 슬며시 들어주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
겨울감성돔낚시에서 ‘바닥층 공략’이라면 무거운채비를 사용해 밑채비를 빨리 가라앉히고, 미끼가 바닥층에서 잘 벗어나지 않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실제로도 겨울 갯바위를 찾는 낚시꾼 대부분이 고부력 반유동채비로 감성돔낚시를 즐긴다.
하지만 고부력 반유동채비가 경계심 높고 입질 약은 겨울감성돔을 공략하는데 무시할 수 없는 약점이 있다는 점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무엇보다 잔존부력과 입수저항이 크기 때문에 약은 입질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어렵다는 게 문제다. 미끼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고, 밑걸림이 잦다는 것도 고부력 반유동채비가 가진 단점이다.
이 같은 단점들은 겨울감성돔낚시에 만만찮은 악영향을 미치므로, 올 겨울에는 저부력채비로 눈을 돌려 보는 것도 조과를 끌어 올리는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까탈스런 겨울감성돔, 자연스럽게 걸려든다
연중 낚시 여건이 가장 좋지 않은 시기인 1월중순~2월중순에 저부력채비가 얼마나 효과를 발휘할 것인가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도 있다. 가벼운 채비로는 먼 거리 수심 깊은 바닥층에 웅크리고 있는 겨울감성돔을 공략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생각 때문이다.
하지만 겨울감성돔낚시에서 저부력채비가 유영하게 사용된다는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적절하게 사용하면 고부력채비를 압도하는 성과를 올릴 수도 있는 것이다.
낚시꾼들이 겨울감성돔낚시에서 저부력채비를 꺼려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밑채비를 효과적으로 가라앉히기 어렵다는 생각 때문이다.
하지만 이 같은 특징이 조과에 언제나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단점이 아닌 장점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밑채비가 가벼운 만큼 미끼 움직임이 자연스럽고, 입질 받을 확률도 높다는 사실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른 계절에 비해 감성돔 경계심이 높은 겨울시즌에는 이 같은 장점이 더욱 부각된다.
고부력채비에 비해 잔존부력과 입수 저항이 크지 않다는 것도 저부력채비가 가진 장점이다. 또한 밑걸림이 잘 생기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다는 점도 돋보인다.
|
겨울감성돔은 입질이 약은 데다가 움직임도 둔하다. 따라서 둔한 채비로는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낚시꾼들이 무거운 채비로 겨울감성돔낚시에 나선다. 겨울감성돔은 바닥층에서 잘 움직이지 않으므로 미끼를 빨리 가라앉히고 잘 떠오르지 않도록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포인트 수심 10m 전후 조류 소통 좋은 여밭 ‘최고 명당’ 까탈스런 겨울감성돔을 공략하는데 유용한 장점이 많다고 해서 저부력채비가 겨울감성돔낚시 만능 채비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상황에 따라서는 아무런 효과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조류가 매우 빠르거나, 수심이 20m가 넘는 포인트에서 감성돔을 노릴 때는 밑채비가 가벼운 저부력채비로는 바닥층에 머물고 있는 겨울감성돔을 공략하는데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저부력채비 장점을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포인트를 잘 골라야 한다. 포인트를 선정할 때는 수심과 조류 세기부터 따져봐야 한다. 저부력채비가 위력을 발휘하는 대표적인 포인트 유형은 수심이 10m 전후이고 조류가 완만한 여밭이다. 근거리 낚시터는 사정이 다르겠지만, 장거리나 원도권 섬에서는 한겨울에도 이 같은 여건을 갖춘 포인트에서 감성돔낚시가 활발하게 이뤄지므로, 저부력채비를 사용해 볼 기회는 충분하다. |
|
저부력채비가 입질 약은 겨울감성돔을 공략하는데 효과적인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지만, 만능채비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수심이 매우 깊거나 조류가 센 곳에서는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수심이 5~10m이면서 조류가 완만한 여밭이 저부력채비가 위력을 발휘하는 대표적인 포인트 유형이다. |
채비 형태 조류·수심·물밑지형 따져 전유동, 반유동 결정 겨울시즌에도 전유동채비를 사용해 감성돔낚시를 즐기는 낚시꾼이 많다. 특히 추자군도나 거문도 같은 원도권 낚시터를 즐겨 찾는 낚시꾼들 중에 그런 사람이 많다. 저부력채비로 겨울감성돔을 노릴 때도 상황에 따라 전유동채비와 반유동채비를 선택해야 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전유동채비와 반유동채비를 선택할 때는 수심, 조류 세기, 물밑 지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수심이 매우 얕거나 깊을 때는 전유동보다는 반유동채비가 유리하다. 전유동채비는 수심이 10m 전후인 곳에서 사용해야 제 효과를 발휘한다. 조류가 매우 느리거나 없을 때도 반유동채비를 사용하는 게 효과적이다. 이런 곳에서는 밑채비를 진행 시킬 수 없으므로, 전유동채비로는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어렵다. 물밑 지형이 밋밋한 곳 역시 반유동채비가 효과적이다. 이런 여건을 갖춘 곳에서는 반유동채비를 사용해 특정 수심층을 꼼꼼하게 탐색하는 방법이 가장 잘 통한다. |
|
겨울감성돔낚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저부력찌는 2B~5B다. 이보다 부력이 작으면 밑채비를 가라앉히기 어려울 뿐 아니라 채비를 조작하기도 까다로워진다. 또한 부력이 필요 이상으로 크면 잔존부력이나 입수 저항으로 인한 악영향을 피할 수 없다. |
채비 구성 2B~4B 구멍찌 기본, 좁쌀봉돌 잘 활용해야 겨울감성돔낚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찌 부력은 2B~5B다. 이보다 부력이 작은 찌는 채비를 조작하고 밑채비를 가라앉히는데 문제가 있고, 너무 크면 잔존부력이나 입수 저항으로 인한 악영향을 피할 수 없다. 2B~5B는 밑채비를 효과적으로 가라앉힐 수 있으면서 잔존부력이나 입수저항감으로 인한 악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부력이라 할 수 있다. 채비를 만들 때는 조류, 수심, 물밑 지형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해야 한다. 수심이 5m 정도이면서 조류가 느린 포인트에서는 2B~5B 구멍찌에 -2B~-5B 수중찌를 연결한 반유동채비를 사용하는 게 효과적이다. 구멍찌는 약은 입질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작고 날씬한 제품이 적당하고, 수중찌는 속조류 타는 능력이 뛰어난 부피 큰 둥근형이 알맞다. 좁쌀봉돌은 잔존부력 제거용으로 도래 바로 밑에 물려야 한다. 이렇게 해야 미끼가 수중여와 수중여 사이를 자연스럽게 움직이도록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입질 받을 확률이 높아진다. 조류가 느리고 수심이 얕기 때문에 바늘 가까이 좁쌀봉돌을 물리지 않아도 미끼가 바닥층을 잘 벗어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바늘 가까이 좁쌀봉돌을 물리면 밑걸림이 잦아진다. 수심이 10m 전후이면서 조류 소통이 원활한 곳에서는 2B~5B 찌를 사용해 전유동낚시를 하는 게 여러가지로 유리하다. 가벼운 밑채비를 효과적으로 가라앉히고 채비각을 적절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탐색형 수중찌를 사용하면 좀더 효율적으로 전유동낚시를 즐길 수 있다. 탐색형 수중찌를 사용할 때는 좁쌀봉돌을 물리는 위치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좁쌀봉돌을 어느 위치에 물리느냐에 따라 미끼 하강 속도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미끼를 천천히 가라앉힐 필요가 있을 때는 좁쌀봉돌을 바늘 가까이 물려야 한다. 이렇게 하면 처음에는 미끼가 빨리 가라앉히지만 밑채비가 완전히 정렬되면 탐색형 수중찌가 저항을 받기 때문에 하강 속도가 줄어든다. 반면, 미끼를 빨리 가라앉혀야 할 때는 좁쌀봉돌을 탐색형 수중찌 가까이 물려야 한다. 처음에는 미끼가 천천히 가라앉지만, 밑채비가 완전히 정렬되면 좁쌀봉돌이 탐색형 수중찌를 끌어당기기 때문에 미끼 하강 속도가 빨라진다. |
|
채비 운용 원줄은 넉넉하게 풀어주고, 견제는 짧게 겨울감성돔낚시에서 저부력채비를 사용할 때는 채비 구성 뿐 아니라 조작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같은 채비라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무엇보다 밑채비를 가라앉히는 과정에 신경을 써야 한다. 저부력채비는 밑채비가 가볍기 때문에 미끼를 효과적으로 가라앉히기 위해서는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다. 밑채비가 정렬된 상태에서 미끼가 공략 범위 안으로 접근해야 입질 확률이 높으므로, 조류 세기와 방향 그리고 공략 수심을 고려해 채비 투척 지점을 정해야 한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조류 방향과 수심이 달라지므로 채비 투척 지점에도 적절하게 변화를 줘야 한다. 채비를 투척한 직후에는 밑채비가 원활하게 가라앉을 수 있도록 원줄을 넉넉하게 풀어줘야 한다. 원줄이 팽팽하면 밑채비하강 속도가 떨어질 뿐 아니라, 찌가 낚시자리 쪽으로 다가오면서 가라앉기 때문에 공략 범위 안으로 미끼를 흘려 보내기도 어렵다. 가는 원줄과 찌구멍이 큰 찌를 사용하면 좀더 효율적으로 밑채비를 가라앉힐 수 있다. 단, 찌구멍이 큰 찌로 전유동낚시를 할 경우에는 어신 전달 능력이 약간 떨어지므로 감성돔 활성도를 고려해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밑채비가 완전히 정렬되고 미끼가 공략 범위 안으로 흘러 들어간 후에도 원줄은 조금 여유롭게 유지하는 게 좋다. 저부력채비는 밑채비가 가벼워 원줄이 너무 팽팽하면 미끼가 끌려올라와 바닥층을 벗어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견제도 짧고 약하게 하는 게 효과적이다. 견제와 견제 사이 간격은 조류 세기와 물밑 지형을 고려해 결정하면 된다. 조류가 빠르거나 물밑 지형이 복잡한 곳에서는 견제를 자주 해줘야 한다. 그래야 채비각이 흐트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미끼가 선행된 상태를 오래 유지 시킬 수 있다. 반면, 조류가 느리거나 물밑 지형이 밋밋한 곳에서는 중간 중간 한번씩 뒷줄을 잡아주는 게 바람직하다. |
|
밑밥 운용 무거운 밑밥 규칙적으로 뿌려야 저부력채비를 사용한다고 해서 밑밥도 가볍게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밑밥은 겨울스타일로 무겁게 만들어야 한다. 가벼운 밑밥은 천천히 가라앉고 멀리까지 흘러가기 때문에 감성돔 입질이 바닥층에서 집중되는 겨울에는 득보다 실이 많다. 밑밥을 운용할 때는 입질예상구역인 공략 범위 안에 만들어 질 수 있도록 투척 지점 선정에 특히 관심을 가져야 한다. 중요한 사실은 들날물이 진행됨에 따라 조류 세기와 방향이 바뀐다는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을 감안하지 않고 계속해서 특정 지점에 밑밥을 뿌릴 경우 감성돔 무리를 흩어지게 만드는 역효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압맥과 옥수수 같은 곡물류는 빨리 가라앉으면서 시각 효과도 뛰어나기 때문에, 감성돔을 특정 지점에 묶어두는 데 도움이 된다. 단, 곡물류는 조류가 빠른 곳에서는 함께 섞지 않는 게 좋다. 조류가 빠를수록 압맥과 밑밥 속 크릴이 가라앉는 지점 사이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이다. |
|
저부력채비를 사용해 겨울감성돔을 노릴 때도 밑밥은 되도록 무겁게 만들어야 한다. 감성돔 입질이 바닥층에서 집중되는 상황에서 가벼운 밑밥은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옥수수나 압맥 같은 곡물류를 섞는 것도 집어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단, 곡물류는 크릴에 비해 가라앉는 속도가 빠르므로, 조류가 센 곳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 |
|
첫댓글 좋은정보 모셔갈게요...감사합니다...건강하시고거운 시간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