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가장치의 종류 1.일체자축식 현가장치 - 평행 판스프링 형식 - 옆 방향 판스링 형식 2.독 립 식 현가장치 위시보운 형식 평행 사변형식,SLA 형식 맥퍼슨 형식,트레일링 링크 형식,스윙자측형식
2) 현가장치 구성 부품 ① 판 스프링: 띠모양의 스프링 강 ② Spring Eye: 주스프링 판 양 끝에 새클핀 삽입자리 ③ Center Bolt: 판 스프링의 중앙구멍에 설치되는 볼트로 판스프링을 묶어주고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 ④ Span: 주 스프링 아이의 중심간의 거리 ⑤ Shackle: span의 길이를 가능케 하는 역할하며 주로 주스 프링 한쪽에만 설치되며 종류는 고무 부시새클, 나사새클, 청동 부시새클 등이 있다
서스펜션의 종류 |
서스펜션은 차부품중에서도 현재까지 가장 변화가 극심한 부품이다. 각 메이커가 저마다의 독창적인 방식으로 만들며, 그 종류도 상당한 수에 달하지만 여기에서는 승용차에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경우에 대해서만 살펴보고자 한다.
1.쇼크업 쇼버 충격 흡수 장치로서, 주행 중 발생되는 노면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현가장치의 하나이다. |
|
2.스태빌라이저
차체의 기울기를 작게 하기 위해 붙인 비틀리는 막대 스프링(토션 바)으로 앞뒤 바퀴에 모두 사용된다.
토션 바의 뒤끝을 좌우에 서스펜션(보통은 로어 암)에 붙이고 좌우 바퀴가 서로 다른 움직임을 할 때만 작용한다.
예를 들면, 코너를 돌 때 바깥쪽 바퀴가 바운드하고 안쪽 바퀴는 리바운드하게 된다.
이때 좌우 바퀴의 움직임을 같아지게 하는 작용을 하면서 차체의 기울기를 작게 한다.
그러나 좌우 바퀴가 동시에 바운드할 때는 전혀 구실을 하지 못한 앞바퀴에 스태빌라이저를 붙이면 언더 스티어로 되고, 뒷바퀴에 붙이면 오버 스티어의 경향을 갖게 된다.
안티 롤 바 또는 스웨이 바(sway bar)라고 부른다.
경주용 차에는 꼭 있어야 되지만, 일반 승용차에도 쓰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서스펜션 방식을 사용하는 국산차
토션바 스프링
토션바 스프링은 스프링 강의 막대(Torsion bar)로 만든 것이며, 스프링강은 바(Bar)의 길이 및 단면적에 따라 결정되고, 코일스프링처럼 진동의 감쇠작용이 없기 때문에 쇽업쇼버를 사용해야 한다. 토션바 스프링은 단위무게에 대한 에너지흡수원이 다른 스프링에 비해 크기 때문에 가볍고 구조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그 설치방법은 차체와 수평으로 설치하는 세로 설치식과 차체와 직각으로 설치하는 가로 설치식이 있다.
|
첫댓글 Torsion Bar 기능을 찾았군요.
감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