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여행]
이상화 시인의 생애
1901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시우이며, 어머니는 김해 김씨이다. 4형제 중 둘째이다.
형 이상정은 독립 운동가이며, 첫째 아우 이상백은 한국최초의 IOC위원이자
한국 사회학계의 선구자이고 막내 아우 이상오는 정통 수렵가이자 바둑 유단자이다.
다섯 살에 아버지를 여의었다. 1918년에 서울 중앙학교(지금의 서울 중앙고등학교)를 중퇴하였고,
열아홉 되던 1919년 대구에서 3·1 운동 거사를 모의하다 주요 인물이 잡혀가자 서울 박태원의 하숙으로 피신하였다.
1921년에 현진건의 소개로 박종화와 만나 〈백조〉 동인에 참여했고, 1922년 《백조》1~2호에 시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왔다.
그해 프랑스에 유학할 기회를 얻으려고 일본으로 갔다. 1923년 관동 대지진이 나자 수난을 피해 귀국했다.
1925년에 작품 활동을 활발히 했다. 시뿐만 아니라 평론, 소설 번역에도 힘썼다.
8월에 카프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1927년 대구로 돌아왔다. 1933년 교남학교(지금의 대륜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했다.
담당 과목은 조선어와 영어, 작문이었다. 이듬해 사직했다. 1937년 큰형 이상정을 만나러 중국에 3개월간 다녀왔다.
교남학교에 복직하여 교가를 작사했다. 1943년 3월에 위암 진단을 받고 투병하다가
4월 25일 경상북도 대구 자택에서 숨졌는데 이상화의 오랜 친구인 소설가 현진건도 같은 날 경성부에서 장결핵으로 숨을 거두었다.
1948년 3월 14일 김소운이 발의하고 이윤수, 구상 등이 참여하고 죽순시인구락부가 협찬하여
시인을 기리는, 대한민국 최초의 시비를 달성공원에 세웠다.[1]
1922년 《백조》 1호에 〈말세의 희탄〉, 〈단조〉 두 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이후 《백조》 나머지 호, 《개벽》, 《문예운동》, 《여명》, 《신여성》, 《조선문단》,
《조선지광》, 《별건곤》등 잡지에 〈나의 침실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대구 행진곡〉,
〈서러운 해조〉등 60여 편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생전에 출간된 시집은 없으며, 사후 1951년 백기만이 청구출판사에서 펴낸 《상화와 고월》에 시 16편이 실렸고,
이기철 편 《이상화 전집》(문장사, 1982)과 김학동 편 《이상화 전집》(새문사, 1987), 대구문인협회 편 《이상화 전집》
(그루, 1998) 등 세 권의 전집에 유작이 모두 실렸다. 대표적인 작품들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의 침실로> 이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1926년 《개벽(開闢)》에 발표되었다. 작자의 반일(反日) 민족의식을 표현한 작품으로 비탄과 허무, 저항과 애탄이 깔려 있다.
비록 나라는 빼앗겨 얼어붙어 있을 망정, 봄이 되면 민족혼이 담긴 국토, 즉 조국의 대자연은 우리를 일깨워준다는 것이다.
국토는 일시적으로 빼앗겼다
하더라도 우리에게 민족혼을 불러일으킬 봄은 빼앗길 수 없다는 몸부림,
즉 피압박 민족의 비애와 일제에 대한 강력한 저항의식을 담고 있다.
이곳을 체험방문 하는 친구도 해설가님의 이야기에 귀기울이고 있다.
폭풍처럼 살다간 이상화의 울분과 통곡이 있으기에 43년의 짧은 생애에도
애타게 절규한것은 민족의 참담한 현실이었고, 살아 남기위해 변절한 수많은 사람들에
대한 슬픔 이었다.
광복 63년인 해인 2008년8월12일
시민의 숙원이 이루어져 계산동에 이상화시인이 숨을 거둔 역사적인 장소
그리고 절필이 된시 "서러운 해조"를 마지막 쓰낸 곳이기도 하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몸에 했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입술 다문 하늘아 들아
내 마음에는 내 혼자 온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어라 말을 해다오
바람은 내귀를 속삭이며
한자국도 섰지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너머에 아씨같이
구름뒤에서 반갑다 웃네.
고맙게 자란 보리밭아
간밤 자정이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너는 삼단 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
혼자라도 가뿐하게 가자.
마른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나비 제비야 깝치지 마라
맨드라미 들마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 기름 바른 이가 지심 매던
그들이라 다 보고 싶다.
내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살찐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흙을
발목이 시도록 밝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짬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영혼아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우스웁다 답을 하려무나.
나는 온몸에 풋내을 띠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잡혔나 보다.
그러나 지금~~~들을 빼앗겨 봄 조차 빼앗겼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