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국스님의《신심명》강설
목 차
1. 신심명은 “성철 스님은 신심명을 중도총론이라 설하셨지요”2. 지도무난(至道無難) - “지극한 도는 어렵지 않음이라 다만 간택함을 꺼릴 뿐”3. 막존순역(莫存順逆) - “항상 마음 들여다보라, 생각에 놀아나고 있지 않은가”4. 태허공(太虛空) - “진리 역력하건만 취하고 버림에 가려 보지 못할 뿐”5. 무심으로 들어가는 방법 - “망상과 싸우게 되는 까닭은 고요함을 취하고자 하기 때문”
6. 절언절려(絶言絶慮) - “말 끊어지고 생각 끊어지면 통하지 않는 곳 없느니라”7. 전도(顚倒) 된 생각 - “참됨 구하려 하지 말고 오직 망령된 견해만 쉴지니…”8. 이견부주(二見不住) - “잠깐과 영원은 같은 말…시비 일으키면 본마음 잃어”9. 주관도 객관도 공(空) - “내가 옳다는 흑백논리 인류문명에 끼친 해악 너무도 커”10. 여우같은 의심 - “일체중생 완벽한 부처인데도 항상 의심하는 망상에 빠져”
11. 생각의 감옥 - 눈앞 현실도 생각이 만든 환영…집착하면 벗어나지 못해12. 친한 것과 성긴 것 - 오직 자기 자신만이 몸과 마음을 괴롭히고 있지 않은가13. 지자무위(智者無爲) - “직관할 것 같으면 부처와 중생의 차이는 있을 수 없다”14. 몽환공화(夢幻空華) - “꿈속 허깨비는 현실속 망상 일어나고 지는 것과 같다”15. 얻고 잃음과 옳고 그름 - “온갖 만물에 무심하면 주위 모든 만물이 무슨 방해가 되랴”
16. 한결같음이란 - 마음만 진실하면 사람과 부처 모두 진실하다17. 번뇌망상 - “진흙 있어야 연꽃도 피어나듯 번뇌망상 있기에 수행도 가능”18. 계심평등(契心平等) - “망상에 끌려 다니는 건 도둑놈을 주인으로 받드는 격”19. 감정의 노예 - “한 생각 일어난 다음 감정 좇고 있다면 그것이 노예의 삶”20. 유심인과(唯心因果) - “인과와 하나된 사람이 깨달은 사람, 항상 자신의 삶 책임져”
21. 분별의 실체 - “생각 일어나기 이전, 만년이든 일겁이든 다를 바 없으니”22. 무엇이 크고 작은가 - “우주에서 보면 지구도 점에 불과…크다 작다는 분별망상”23. 있다.없다란 생각 - “인간과 자연은 하나, 환경오염의 원인은 인간의 정신오염”24. 언어도단(言語道斷) - “일체 삼라만상은 생각의 그림자요 인간이 만든 언어일 뿐” (끝)
☞목차를 누르면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 법보신문]
첫댓글 _()()()_
첫댓글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