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여행블로거기자단
 
 
 
카페 게시글
2차 부여팸투어 포스팅 스크랩 여름에 만난 백제금동대향로와 부여박물관 문화재들
바람흔적 추천 0 조회 457 10.08.05 14:39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여행하는 곳의 문화를 알려면 그 지방에 있는 박물관을 찾는것이 순서 일것이다.

                   박물관에는 그 곳의 역사와 문화, 생활상 그리고 예술을 한눈에 볼수 있기 때문이다.

 

                   백제문화는 신라문화에 가려서 그 진가가 늦게 나타나고 있다.. 익산 미륵사지,

                   정림사지, 서산마애불,금동반가사유와 같은 손꼽히는 수많은 문화재가 있다.

 

                  그렇게 여행을 많이 다닌다고 했건만 부여박물관과의 인연이 오늘에 이루어졌다

                  백제문화의 진수를 모아둔 부여박물관에서 보고 싶어한 여러 귀중한 문화재와 백제

                  금동대향로를 볼수있는 기회를 잡았다.

 

                 본대로 느낀대로 보다는 앞으로 또 다시 한번 가야할것을 고려하여 자료위주로

                 적어보며  다른 여행자도 참고되기를 바라며 기록한다.

                      

  

                        백제금동대향로는 백제인이 향을  피우는데 사용한것으로, 뚜껑에 있는 12개의 구멍에서 향

                         연기가 피어나도록 되어 있다. 

                        용을 형상화한 받침과 연꽃잎으로 표현된 몸체, 그리고 여러 겹의 산이 묘사된 뚜껑 세부분으로 , 

                        이루어져 있으며 , 꼭대기에는 한마리의 봉황이 장식되어 있다. 

 

 

 

백제금동대향로의 전체 높이가 62.5cm로 모두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네 부분은 모양의 향로 받침과 연꽃이 새겨져 있는 향로의 몸체, 그리고 산악도가 솟아잇는 향로 뚜껑, 그리고 뚜껑 위의 봉황 장식이다. 봉황과 향로 뚜껑은 하나의 주물로 제작되어, 제작과정에서는 세 개의 주물틀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향로 본체의 가운데 테두리에는 구름문양이 있는데, 이 아래에는 연꽃이 핀 연못이 있고, 이 위 즉 뚜껑에는 봉우리가 세 개 있는 들이 있다. 이 산에는 말을 타고 사냥하는 사람, 신선으로 보이는 사람들, 호랑이, 사자, 원숭이, 멧돼지, 코끼리, 낙타 등 많은 동물들이 장식되어 있다. 또한 곳곳에 폭포, 나무, 불꽃 무뉘, 귀면상 등이 있다. 제단 모양으로 꾸며진 정상에는 봉황이 날개를 펴고 춤을 추고 있고, 그 아래에는 5악사가 있는데 이들은 소, 피리, 비파, 북, 현금을 연주하고 있다. 그 주위의 다섯 봉우리에는 각가 기러기같이 보이는 새가 봉황과 함께 춤을 추는 형상을 하고 있다. 향로의 몸체에는 연꽃이 있는데, 연꽃 위에 각가지 새와 물고기가 새겨져 있다. 또 한쪽에는 무예를 하는 인물도 있다. 그리고 그 아래에 발가락이 다섯 개있는 용이 위의 연꽃의 물고 하늘로 날아가려는 듯 용틀임을 하고 있다. 세상에 이런 예술품은 처음이다.

 

                                                                                                                                                                                                                 

 

  

                        부여는 백제 사비시대  수도였다. 웅진시기만 해도 무령왕릉에서 보듯이, 백제문화는 중국의

                        영향이 짙어 독자성이 적었다. 그러다가 사비시대에 접어 들면서 찬란한 백제문화가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백제금동대황로 한점만으로도 충분히 알수있다

 

 

 

                          백제창왕명석조 사리감
                         목탑지 심초석위에서 발견된 사리감은 아래가 편평하고 위가 둥근 아치형으로 무덤의 입구를

                          연상시킨다. 앞면에는 " 百濟昌王十三 계太歲在 . 丁亥妹兄公主供養舍利" 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ㄴ느데, " 백제 창왕13년 정해년 에 (왕의)누이인 형공주가 사리를 공양하였다."고 해석된다.

                          창왕즉 위덕왕은 성왕의 아들로 백제의 왕릉이 있는 능산리에 절을 세워 아버지의 넋을 기리고,

                         불교를 통해 성왕이 이루지 못한 백제 중흥의 꿈을 실현코자 하였다.이사리감은 위덕왕의

                        이러한 간절한 염원을 생생히 전해주고있ㄷ.

  

 

 

                          금동관세음보살입상 ( 국보 제293호 , 높이 21.1cm ) 

                         보관에 새겨진 화불과 손에 쥔보주,뛰어난 기법으로 조각된 우아한자태, 자유로운 옷자락의

                         흐름 등에서 백제불상조각의 완숙함이 느껴지는 작품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
                        국보제 83호로 7세기초 백제시대 불상으로 진품은 서울 국립박물관에 있이ㅆ다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
                          공주시 의당면 송정리에서 출토된 공주의당금동보갈입상은 조각수법이 예리하고 중후한기법을

                          보이는 불상이다. 날씬한 신체에 드러난 몸매와 실짝굽힌 무릅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백제조각의

                           진전된 양식을 보여주고있다. 이목구비가 뚜렸한 둥근 얼굴엔 밝은 미소가 가득하다.

 

 

                         금동석가여래입상
                        부여읍 부소산성에서 출토되어 박물관으로 옮겨온 유물
                       삼존불상,광배,대좌등이 함께 주물로 처리된 일광삼존불형식이다. 이 삼존불은 광배 뒤면에

                       죽은처의 명복을 기리기 의해 정지원이 조성하였다는 명문이 있어 유명하다. 백제 특유의

                       부드럽고 온화한 불상의 모습과는 다른 양식의 삼존불상이다. 

 

 

                         백제의 연꽃무늬수막새는 잎이 넓고 부드러우면서 사실적인 느낌을 준다. 

                          꽃잎의 수가8개로 꽃잎의 내부에 장식되지 않은 홑판양식이 대부분이다.

 

 

                           부여군 군수리에서 발견 호자는 25.7cm로 원래 호랑이와 같은 동물모양의 그릇을 의미하는데,

                           군수리 출토 호자는 남성용 변기로 사용되었다. 구멍윗부분의 익살스러운 얼굴이 눈길을 끈다.

 

 

 

                        동사리석탑은 고려중기의 탑으로 원래 기단 4면에는 각각 3개의 안상을 조각하였고,   기단 

                        상대갑석은 귀꽃과 연화문을 장식하였다. 현재의 지데석과 상륜부는 새로 만들어 보완 한것이다. 

 

                    

                        보광사대보광선사비 (普光寺大普光禪師碑)
                        보물제107호 ( 원위치: 부여 임천면 갓산리 보광사터)

                      고려시대에 보광사를 크게 일으킨 원명국사의 공적을 새긴비석이다. 부여군 성주산의 보광사터에

                       있던 것을 1963년 박물관으로 옮겨으며 비몸돌만 남아 있다. 비문의 앞면은 건립 당시인 고려

                        공민왕7년에 ., 뒷면은 조선 연조26년에 새겼다. 비문에 의하면 원명국는 19세에 등과하여

                        선원사에 뜻을 펴오다가 공민왕원년에 입적하였다한다. 죽으면서 제자들에게 비나 탑을 세우지

                        않도록 당부하여 6년이 지나사야 비가 세워졌다. 이비는 <보광사중창비>라고도하며 고려후기의

                        간략화괸 석비양식과 불교사 연구에 좋은 자료라한다.

 

                        상대갑석은 귀꽃과 연화문을 장식하였다. 현재의 지데석과 상륜부는 새로 만들어 보완 한것이다. 

 

 

 

                           보물제194호 부여석조는 백제시대를 대표하는 석조물이다. 이 석조는 왕궁에서 사용하였던

                          석연지로 추정되며 工 자형의 받침대 위에 입구가 오므라든 반구형으로 , 표면에는 부여정림사지

                           오층석탑에 새겨진 것과 샅은 내용의 글을 새기다 만 흔적이 있다

  

 

                         평화로운 미소를 간직한 백제의 왕도 부여박물관에는 15,000여점중 1,200여점 정도의 문화재를

                         전시하고 있는데, 그중 아주 일부만 보고 왔기 때문에 보지 못한 백제의 미소를 만나러 또 와야

                         할것이다.

 

                         여 행 정 보

                        1> 위치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1번지

                        2> 전화 : 041- 833-8562

                        3> 홈페이지 http://www.buyeo.go.kr

  

                                                                              

                                                              읽으시고 가실때 추천 한번 눌러주세요

 
다음검색
댓글
  • 10.08.06 10:07

    첫댓글 추천했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