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과 필연은 순간의 차이
한 번은 순간이고, 두 번은 우연이다. 그러나 세 번째부터는 패턴이다.
―서양 속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 참으로 ‘순간’인 것이 많다. 유일하다 싶을 정도로 한 번 일어나고 마는 일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다가 같아 보일 정도로 비슷한 일들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럴 때 우리는 ‘우연’이라고 한다. 어떤 일이 비슷하게 두 번 일어나면 ‘우연의 일치’라고 한다. “우연히 그럴 수도 있지”하면서 말이다. 그런데 우연이 패턴이 되는 데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는다. 세 번째 일어나면 바로 패턴이 된다. 정반대로 보이는 ‘우연’과 ‘패턴’이 단 한 번의 차이로 갈라진다. ‘단 한 순간’이 정반대의 길을 가도록 만든다.
“순간의 선택이 평생을 좌우한다.”는 말도 흔히들 한다. 맞는 말이다. 선택을 잘못해서 이 생을 망치거나 후회하는 경우가 많다. 선택을 잘해서 잘된 경우보다 월등히 많은 것 같다. 이것은 무엇을 말해주는가? 일생의 성공적이고 보람 있다고 느끼고 즐길 수 있으려면 단 한 번의 순간보다는 훨씬 더 긴 시간의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이야기다. 이에 비해 망치는 것은 한 순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래서 순간은 중요한 것 이상으로 위험하기까지 하다/“돈을 버는 것은 힘든데, 쓰는 것은 쉽다”는 말도 비슷하게 견줄 수 있겠다. 평생 애써서 일하고 받은 퇴직금을 한순간 날려버리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일순간에 벌어들인 돈을 천천히 쓰면서 즐기는 경우를 보기는 힘든 것 같다. 이처럼 순간은 중요하고도 위험하다.
그런데 순간의 시제는 언제일까? 순간은 언제나 현재다. 굳이 시간의 길이를 잰다면 ‘찰나’에 해당할 수 있다. 그토록 짧다 보니 우리는 중요한 순간을 놓치거나 흘려보내곤 한다. 그러면 순간은 바로 과거가 되어버린다. 현재인 순간을 붙잡지 못하고 찰나로 흘려버리고 나서 중요한 때였다는 것을 나중에야 발견하게 된다. 그러면 아쉬워하고 안타까워한다. “현재를 사랑하라”는 말도 이런 순간의 소용돌이를 염두에 둔 듯하다.
우연과 패턴이 단 한 순간의 차이로 결정된다는 점도 우리의 주목을 요한다. 우연은 여전히 순간의 일회성에 무게를 두되 단순반복이 일어난 경우에 해당하니 향후를 예측할 근거가 되지는 않는다. 이에 비해 패턴은 같거나 비슷한 일이 앞으로도 일어날 가능성이 점증되고 농후해지는 상황을 일컫는다. 좀 더 지속되고 필연이 되기도 할 것이다. 사뭇 다르다 못해 이토록 정반대이기까지 하다. 그런데 이는 우연과 필연 사이의 거리가 생각만큼 멀지 않다는 것을 뜻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점이 우리를 더욱 긴장으로 몰아가고 힘들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우연과 필연 사이의 생각보다 짧은 거리는 그 너머를 향하게 하는 촉발제가 되기도 한다. 좀 더 길게 보면 필연이 아닐 수도 있고 더 길게 보면 우연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을 볼 수 있게 한다. 결국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넘어설 수도 있고 갇힐 수도 있는 삶의 요동을 가리키는 지혜라 할 수 있겠다.
―정재현, 『인생의 마지막 질문』, 청림출판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