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부하 過負荷 : 일을 너무 많이 맡은 상태.
과부하 過負荷 : 기기나 장치가 다룰 수 있는 정상치를 넘은 부하. 과부하가 되면, 신호 처리 회로의 신호는 왜곡(歪曲)이 생기며, 전력 처리 회로는 구성 부품의 과열 따위가 생긴다. 대부분의 기기나 장치는 정격 부하 용량을 초과하여도 이상 없이 운전할 수 있도록 약간의 과부하 허용 용량을 가지고 있다.
과전류 - 허용치 이상의 전류가 흐름
과전류
보통의 모든 전기기기에는 I=V/R[A], P=VI[W]라는 공식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전압과 기기의 저항값 또는 전력값 등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전선에도 전기를 운반할 수 있는 전기량, 즉 허용전압이나 전류양이 적혀 있다.
과전류란 전기기기 또는 전선에서 정하고 있는 허용전류 값 이상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의미한다.
과전류에는 단락전류, 과부하전류, 과도전류로 나눌 수 있음
단락전류는 보통 선로가 합선 되었을 때
과부하전류는 부하의 변동 등에 의해 정격전류보다 큰 전류가 흐를 경우
과도전류는 변압기 투입전류 콘덴서 투입 및 개방시, 전동기 기동시 등 매우 짧은 시간에만 존재하고 서서히 감쇄하여 정상값으로 되돌아가는 과전류를 말함
전류
눈에 보이지 않는 전류의 개념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물의 흐름으로 바꾸어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전하를 물의 입자로 바꾸어 생각한다면, 전하의 흐름인 전류를 물 입자의 흐름으로도 이해할 수 있음
단위 시간당 배관의 한 단면을 지나는 물의 입자량을 유량이라고 말하는 것과 비슷하게, 단위 시간당 도선의 한 단면을 지나는 전하량을 전류의 세기(A)라고 표현한다.
전류의 세기는 A로, 1A(암페어)란 1초 동안 도선의 한단면을 6.25*10^18개의 전자가 지날 때 전류의 세기를 말한다.
수도관 속을 흐르는 물과 비유하여 수도관은 도선, 물 펌프는 전지 라고 생각 할 수 있음
■■ 과전류/과부하전류/과전압
[over current / overload / overvoltag]
과전류: 전기기기 정격전류 혹은 전선 허용전류를 초과하는 전류
과부하전류: 정격전류값을 초과하여 흐르는 전류. 과도전류, 단락전류와 구별된다.
과전압: 선로전압이 정격전압보다 높은 현상
과전류, 과전압 등은 전기 사용에 있어 특히 유의해야 하는 것이다. 전자기기나 전선은 그 물리적 성질 등에 따라 각각 정격전류, 허용전류가 정해져 있다. 이를 초과한 과전류가 흐를 경우 온도가 상승해 전기 설비가 망가지거나, 화재의 위험이 생긴다. 이를 막기 위해 과전류가 흐를 경우 즉시 전류를 차단하는 장치가 운용되고 있다.
과전류는 크게 선로가 혼촉해 발생하는 단락전류, 부하가 바뀌는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정격전류보다 큰 전류가 흐르는 과부하전류, 전동기 기동 등 특정 행위에 의해 짧은 시간동안 발생했다 사라지는 과도 전류로 나뉜다.
과전류는 전기화재를 일으키는 요인이다.
과전압은 선로에 공급되는 전압이 정격전압보다 높은 현상을 일컫는다. 보통 1초 이상 유지될 경우 과전압으로 분류한다. 과전압이 생길 경우, 전자기기에 부담을 줘 그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주로 낙뢰가 주원인이며, 전력공급자의 전압설정 착오, 접촉 불량 등 여러 이유로도 과전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서지(낙뢰 등의 이유로 짧은 시간내 심한 변화를 일으키는 전압) 방지기를 설치한다.
http://www.hyundaimotorindustries.com/hyundaimotor_gearedmotor_inverter/%EB%AA%A8%ED%84%B0-%EA%B3%A0%EC%9E%A5-%EC%9B%90%EC%9D%B8-%EC%A0%84%EB%8F%99%EA%B8%B0-%EA%B6%8C%EC%84%A0%EC%9D%98-%EC%86%8C%EC%86%90-%EC%9B%90%EC%9D%B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