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자배기토리’로 된 허튼 가락 즉 즉흥적으로 가락을 엮어 가는 기악곡. 시나위는 경기도 남부(한강이남 지역)와 충청도 서부지방, 전라남북도, 경상도 서남부지방 등의 무속음악에서 나왔다. 이 지역의 굿에서 무당이 육자배기토리의 무가(巫歌)를 부르면, 피리, 대금, 해금 등의 악기가 즉흥적으로 무가의 대선율(對旋律)을 연주하는데, 이 음악이 무속의식에서 독립되어 무대용 음악으로 정착된 것이 시나위이다. 오늘날 무대용으로 연주하는 시나위는 피리, 젓대(대금), 해금, 아쟁, 가야금, 거문고, 장구, 징 등의 합주로 연주되지만, 피리, 젓대, 호적, 풀피리(초적), 퉁소, 단소의 독주로도 연주한다.
합주로 연주하는 <시나위>와 <산조합주>, 독주로 연주하는 <시나위>와 <산조>는 외형적으로 구별이 쉽지 않으나 차이는 있다. 즉, 산조는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등의 다양한 장단의 틀 속에서 연주되며, 악조(樂調)도 우조, 평조, 계면조 등으로 다양하고, 청(淸, Key)을 바꾸어 가면서 음악적 긴장을 엮어 내지만, <시나위>는 독주이던 합주이던 간에 중모리나 자진모리 또는 살풀이와 덩덕궁이 장단의 보통빠르기와 조금 빠르기의 두 가지 장단으로만 되어 있고, 악조도 ‘육자백이토리’인 남도계면조 하나로만 일관하며, 청의 변화도 없는 비교적 단순한 음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