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딩에서 허리굽힘이 거의10도부터 오른쪽 허리와 엉치, 다리쪽으로 통증이 있으셔서 힙드랍테스트시엔 통증이 없으시고 오른쪽 지지 상태에서 왼쪽 다리 들고 오른쪽 hip int rotation시 통증이있었구 지지측 으로 trunk side beding시 통증이 있었는데 hip joint 트랙션과 글라이딩으로 int rot 통증은 감소시켰습니다. 근데 허리쪽을 오른쪽이 sidbeding시 통증이 있는데 굽힐때 불편해 해서 오른쪽 컨버겐스인지 디버겐스문제인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우선은 몸통 굽히는게 불편해해서 오른쪽 요추를 천장쪽으로해서 익스텐션 rt rotation해서 늘리는 방향으로 살짝 적용시켰는데 저림증상이 심해지셔서 심란합니다..
첫댓글이 환자는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직접 보지 못한 상황이므로 선생님의 질문을 토대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위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3단계 코스를 들어야 이해되는 내용입니다. 1. 환자의 신경의 문제 유무를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SLR test 등을 이용해 Radicular pain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신경의 문제로 확인된다면 이 환자는 치료 방향이 바뀌어야 됩니다. 2. MT 과정에서 배우는 것은 환자의 기능의 문제 중 저가동성 분절을 확인하여 이를 개선해야 하는 겁니다. 척추분절에서 특정분절이 저가동성이라면 이를 보상하기 위해 주변 분절에 과가동성 문제도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선생님의 환자의 경우에도 두가지 문제를 함께 가지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3. 두 문제를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 저가동성 분절을 해결하고 동시에 과가동성 분절의 안정성을 위해 운동도 함께 해야 합니다. 4. 운동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시려면 학회 코스 중 FMCT 코스 수강을 권합니다.
첫댓글 이 환자는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직접 보지 못한 상황이므로 선생님의 질문을 토대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위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3단계 코스를 들어야 이해되는 내용입니다.
1. 환자의 신경의 문제 유무를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SLR test 등을 이용해 Radicular pain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신경의 문제로 확인된다면 이 환자는 치료 방향이 바뀌어야 됩니다.
2. MT 과정에서 배우는 것은 환자의 기능의 문제 중 저가동성 분절을 확인하여 이를 개선해야 하는 겁니다. 척추분절에서 특정분절이 저가동성이라면 이를 보상하기 위해 주변 분절에 과가동성 문제도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선생님의 환자의 경우에도 두가지 문제를 함께 가지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3. 두 문제를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 저가동성 분절을 해결하고 동시에 과가동성 분절의 안정성을 위해 운동도 함께 해야 합니다.
4. 운동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시려면 학회 코스 중 FMCT 코스 수강을 권합니다.
환자를 직접 보지 않고는 답변에 한계가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