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IoT)_S4A_가변저항값_읽고표시하기
4차 산업혁명 이 빠르게 오고 있죠! 이젠 모든 사물이 서로 소통하는 시대가 온거죠.
IoT 관련 사물인터넷은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서 빠르게 발전 하고 있답니다.
오늘은 S4A 가변저항값 읽고 표시하기 강좌를 해보겠습니다.

오픈소스 하드웨어인 아두이노를 이용해서 가변저항의 값을 읽어와 화면에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해 보고자 한다.
필요한 부품들은 아래와 같다.
* 아두이노, USB케이블, 가변저항, 전선(점퍼선), 브레드 보드

가변저항은 볼륨을 조절하듯이 가운데 있는 손잡이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가변저항은 3개의 Pin을 가지고 있는데, 제일 앞쪽의 1번 Pin은 VCC, 제일 뒷쪽의 3번 Pin은 GND,
가운데 있는 2번 Pin은 Output Pin 입니다.

전자회로 기판역할을 하는 브레드보드와 회로선을 구성할 전선을 준비합니다.

브레드보드 위에 가변저항을 고정시키고 전선들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합니다.

아두이노 보드의 VCC에는 빨간색 전선을 연결하고, GND에는 검은색 전선을 연결합니다.
A0단자에는 주황색 전선을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합니다.


아두이노 IDE를 실행하여 가변저항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입력받는
A0핀에 대한 스케치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작성이 완료되면 컴파일을 진행합니다.
컴파일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업로드 버튼을 눌러 아두이노에 저장합니다.
오류가 없는 경우 “업로드 완료”라고 표시됩니다.

주메뉴 [툴]>[시리얼 모니터]를 선택하여 실행하면, 시리얼 모니터 창이 화면에 나타나는데,
가변저항 손잡이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시리얼 모니터 창에 출력되는 값이 바뀌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아두이노 스케치를 종료한 후,
S4A를 실행하여 아날로그A0 변수에 아날로그0 센서의 값을 무한반복으로 저장하는 코드블록을 작성하여 실행합니다.
가변저항의 손잡이를 왼쪽 끝이나 오른쪽 끝까지 돌려보면 아날로그A0 변수에 저장되는 값의 범위는
최소 0에서 최대 1023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국비지원무료교육센터 중앙직업전문학교
"응용sw 기반 IoT 개발자"과정은 앞으로 다가올
미래 유망 직종인 사물인터넷 전문교육을 진행 하고 있습니다.
http://www.jafa.or.kr/
#대구국비지원무료교육 #대구직업전문학교 #대구국비지원교육센터
#대구국비지원교육 #대구국비지원교육학원 #국비지원직업전문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