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1 장 : 찬양에 대한 헬라어 연구
아이네시스, 아이노스, 아이네오-‘아이네오’는 ‘찬양’을 뜻하는 히브리어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인 ‘할랄’과 ‘야다’에 해당되는 것이다. 독사(명사),독사조(동사)-이 말은 ‘여기다’,‘가정하다’는 뜻을 지닌 말에서 온 것이다.또 이것은 ‘견해’, ‘추정’, 또는 ‘한 훌륭한 견해로부터 얻어진 영예’ 등을 뜻하기도 한다. 이것이 ‘영광’이나 ‘영광을 돌리다’로 번역이 되든 혹은 ‘찬양하다’로 번역이 되든, 이 용어는 하나님께 합당한 영광을 돌리는 훌륭한 말이다.
에파이노스(명사), 에파이네오(동사)-“에파이노스(칭찬:approval,찬양)의 유일한 가치는 그것이 일반적이 사회의 판단이나 대중의 평가를 나타내는 데 있지 않고, 오직 그것이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칭찬을 나타내는 데 있다.
율로게토스,율로기아-이것은 사람에 대해서는 쓰이지 않고 오직 하나님께 대해서만 사용되는 말이다. 이 말은 ‘복 된’(blessed) 또는 ‘찬양받으신’(praised) 등의 뜻이다. 엑소몰로게오마이-이것은 ‘고백하다’ 라는 뜻의 ‘호몰로게오’에서 파생된 말이다. 휨네오, 휨네스-이 말은 단순히 ‘찬양의 노래’ 라는 뜻인데, 단 한번의 경우에서만 ‘찬양’으로 번역되었다. 메갈뤼노-이 말의 의미는 ‘크게, 위대하게, 길게 만들다’ 혹은 ‘확대하다’이다. 프살로(동사),프살모스(명사)-이 낱말은 ‘영적인 무아의 상태에서 찬양의 노래를 하다’, ‘가락을 짓다’라는 의미이다. 이 낱말이 지닌 가장 중요한 사실은 70인역 성경에서 약 40회 정도 나오는 ‘노래하다’,악기의 줄울 퉁기다‘ 라는 뜻의 ’자마르‘에 대한 헬라어가 바로 이것이라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