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퇴근 길, 기분 좋게 버스를 탔다.
버스를 타면, 보통 100m앞의 사거리에서 신호가 걸린다.
이날도 여지없이 신호에 걸려서 차가 정지를 했다. 사실 정지했는지도 몰랐다.
그냥, 운전석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창 밖을 응시하면서 멍하니 서 있었는데...
그런데, 갑자기 운전사 아저씨가 자리에서 일어나더니, 차창을 열고 몸을 1/3 이상
밖으로 빼더니 뒷쪽을 향해 고함을 지른다.
"아니, 저 앞에 차가 있다고! 차가 있으니까 안비켜주는거지, 왜 이리 빵빵 거려?"
얼굴이 울그락 불그락 되어 삿대질을 해가며 차 앞쪽 뒤쪽을 번갈아 가리키면서
"내가 비켜주기 싫어서 안비켜주나? 앞차가 있으니까 못비켜 주는거지, 으휴..."
아마, 뒷차가 크락션을 울렸거나, 쌍라이트를 켰었나보다. 버스가 조금만 더 앞으로 가면
뒷차가 신호대기중에 우회전을 할 수 있는데, 못하니까 버스에게 비켜달라는 신호를 보냈던 모양이다.
그러다가 다음 정류장에 차가 섰다. 버스를 타려던 한 아저씨 승객이 운전사에게
묻는다. "이 버스 망포역 가요?" 이 말을 듣는 순간 괜시리 내가 불안해진다.
운전사가 퉁명스럽게 대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 이건 내 몫이 아닌데, 괜히 신경이 쓰인다.
"망포역 가요"
다행히 퉁명스럽지도 않고, 친절하지도 않은 그냥 감정이 없는 사무적인 대답이었다.
버스에서 하차할 때가 되었다. 내가 내리는 버스는 망포역 다음 정류장이다.
버스에서 내릴 준비를 하려고 뒷문으로 가는데, 아까 망포역 간다는 그 승객이 운전석으로
가더니, 뭔가 운전사에게 묻는 눈치다.
운전사는 답답하다는 듯이 목소리를 높힌다.
"아니, 아까 망포역 방송 미리 나왔잖아요. 진작에 내렸어야지, 바로 전 정거장이니까 걸어가면 돼요"
좌회전을 하고 난뒤 버스에서 내려서 그런지 그 승객은 이쪽 저쪽을 두리번 거렸다.
"이 길 건너서 저쪽으로 가시면 금방 지하철 입구가 나옵니다."
아저씨 모습이 안쓰러워서 길을 가르쳐 드렸다.
버스 기사의 모습을 보니, 그동안 쌓인게 많은 듯 싶었다.
운전하면서 다른 차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
승객과의 마찰로 인한 스트레스,
장시간 장거리 운행을 하며 받는 피곤함 때문에 오는 스트레스.
그런데 운전 기사 아저씨만 그럴까?
우리도 집에서 직장에서 듣기 힘든 말을 들으면 반사적으로 남을 비난하는 말이 나간다.
비폭력대화에서는 기본 전제로 다른 사람의 말과 행동은 우리 느낌의 자극이 될 수는 있어도, 원인은 아니라고 한다.
김동렬의 구조론식으로 말하면, 충분히 내 힘으로 문제의 흐름을 틀어서 충분히 제어할 수다 있다는 얘기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듣기 힘든 말을 들을 때 네가지 방식이 있다고 한다.
첫째, 자신을 탓하기 - '아, 내가 좀더 신경을 썼어야 했는데, 바보 같으니라고. 그거 하나 못하나...'
둘째, 다른 사람을 탓하기 - '당신은 뭐가 잘랐길래 남의 일에 대해서 함부로 말합니까? 당신 일이나 잘해요!/
셋째, 자신의 느낌과 욕구를 인식하기 - '나는 인정받고 싶었는데, 저런 말을 들으니 마음이 아프다'
넷째, 다른 사람의 느낌과 욕구 인식하기 - ' 저 사람은 내가 일할 때 실수가 없기를 바랬구나. 그런데 자기 일을
편안하게 처리할 수 없으니까 답답하고 실망스러웠구나. 그래서 내게 화를 냈구나.
다시 그 버스기사의 입장으로 돌아가 보면, 버스 기사는 상대방이 자신을 비난한다는 생각이 들자,
자존심이 상하고, 화가 나서 상대방을 비난하는 방식으로 말을 한다. 글로 보면 좀 건조해 보이지만,
아저씨의 눈빛과 얼굴 표정, 목청, 큰 몸짓은 이미 울화통이 터지고도 남을 아저씨 심정이 그대로 드러났다.
만약, 버스기사가 상대방의 느낌과 욕구를 인식했다면 어땠을까?
'뒤차가 빵빵거리니까 마치 내가 잘못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 억울하고 가슴이 뛰고 불안하다. 화가 나려고 한다. 저 사람은 잘 알지도 못하면서 왜
나를 비난하려고 하는 거지? 아냐. 난 지금 뒷차 운전자가 내가 비켜줄 수 없는 이유를 알기를 바라고 있어.
나는 편안하게 운전하고 싶은 마음이야. 저 운전자는 아마 마음이 급한가봐. 빨리 가고 싶은 거야. 그러니까 크락션을
울리는 거지'
습관적으로 다른 사람의 말에 발끈하는 버릇에서 벗어나, 나의 느낌과 욕구에 의식의 불을 비출 때 변화는 시작된다.
누가 나를 비난해도 그것을 나에 대한 비난으로 듣지 않고, 상대방이 내게 하는 비난을,
상대방의 채워지지 않은 욕구에 대한 왜곡된 표현이라는 것임을 깨닫는다면,
쉽사리 삿대질과 주먹질에 칼부림이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다. 겉으로는 웃고 있지만, 속으로는 부글부글
끓다가 은근한 냉전으로 고착화 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대화 과정은 사실 몇 초의 순간에 내 마음에서 벌어지는 일들이다.
우리 모두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데서 대화는 시작된다. 나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상대방을 비난할 필요가 없다는데서 시작된다. 즉 상대방을 비난하지 않고도 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얘기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내게 오는 말이 고와야 가는 말이 곱다는 말과 같다.
그러나, 이제는 인식의 변화를 가져올 때다.
가는 말이 고와도 오는 말이 곱지 않을 수 있다.
오는 말이 곱지 않아도 가는 말을 곱게 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비폭력 대화의 핵심이고, 비폭력 대화는 대화 이전에 나의 듣는 방식의 변화에서 시작된다.
그래서, 비폭력 대화는 형태는 단순하지만 삶에 근복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데 효과가 있다.
한 번 시도해보시길 바란다.
* 참고도서
김동렬의 마음의 구조
마샬 로젠버그의 비폭력대화
제 5장 욕구를 의식함으로써 자신의 느낌에 대해 책임지기89~90쪽
첫댓글 비폭력대화 2기 신청해서 2틀 뒤 부터 수강이애요. ㅋㅋ 이글 읽고 내 안의 화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봅니다. ^^
예. 비폭력대화를 통해서 많은 자유를 얻었습니다. 솔직해도 편안함을 얻었습니다. 좋은 연수 잘 받으시고,
현장에서 조금씩 적용해 보셨으면 좋겠네요. 그러면서 늘 돌아보게 되는 것은 나부터 편하고 보자.
네 감사해요. ^^
비폭력 대화1을 들은지 한2년 지나서 그동안 잊고 살았던 많은 것들을 님의 글을 읽고 다시금 생각 하게 되었어요.
처음 비폭력 대화를 접하고 그 신선한 충격에 지도자 과정까지 가리라 맘 먹었었는데...ㅋㅋ 폭력적인 대화로 화만 내고 살고 있었네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