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 자료 === <2010년 12월 6일 네이버캐스트 / 최은규 글>
명곡 명연주
슈베르트, 피아노 트리오 D.929
우수에 젖은 2악장의 유명한 주제 선율이 이 작품의 핵심을 이룬다
1827년 11월에 작곡 완성, 1827~1828년 사이 초연 추정
역사에 이름을 남긴 위대한 음악가들 중에는 당대에 크게 인정받지 못한 이들도 있다. 슈베르트야말로 그 대표적인 인물일 것이다. 오늘날 ‘가곡의 왕’이라 불리며 초기 낭만주의 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거론되고 있는 슈베르트의 작품들 중에는 생전에 공개 무대에 소개되지 못한 것들이 많고 지극히 일부 작품들만이 당대에 출판되었다. 지금은 그토록 자주 연주되고 있는 [미완성 교향곡] 역시 슈베르트가 세상을 떠난 후 40년이 넘도록 단 한 번도 연주된 적이 없다. 이런 점을 생각해보면 슈베르트의 [피아노 3중주 D.929]가 슈베르트 생전에 성공적으로 연주됐을 뿐 아니라 곧바로 출판되었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이다. 이는 이 3중주곡이 예술성뿐 아니라 대중성도 갖추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슈베르트에게 대중적 명성, 경제적 소득을 안겨준 작품
슈베르트의 피아노3중주 D,929는 당대 청중에게 인정받은 슈베르트의 작품 중 하나일 뿐 아니라, 오늘날에도 영화 [피아니스트]와 [배리 린든], 그리고 전도연이 주연한 [해피엔드]에 이 3중주곡의 2악장이 삽입된 걸 보면 오늘날에도 이 곡은 여전히 대중적인 음악임에 틀림없다. 슈베르트는 이 곡을 그의 생애 마지막 해에 처음으로 성사된 그 자신만을 위한 대중 콘서트의 메인 프로그램으로 선보였다.
그 음악회는 1828년 3월 26일에 이루어졌고 그날 프로그램은 오로지 슈베르트의 작품만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라이프치히에서 [피아노 3중주 D.929]의 악보가 작품번호 100번으로 출판되면서 슈베르트는 피아노3중주곡으로 대중적 명성과 경제적인 소득을 모두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 막 작곡가로서 성공하려던 순간, 슈베르트의 건강은 급격히 악화되어 그해 가을에 그는 31세라는 이른 나이로 결국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하지만 슈베르트의 말년에 희망을 던져준 [피아노 3중주 D.929]는 지금도 실내악의 명곡으로 손꼽히며 오늘날 즐겨 연주되고 있다.
어떤 음악평론가들은 슈베르트의 [피아노 3중주 D.929]가 슈베르트의 작품치고는 선율에 대한 영감이 부족하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하지만 생애 마지막 해에 열린 중요한 음악회에서 이 3중주곡을 대표작으로 내놓은 걸 보면 슈베르트는 이 곡을 매우 마음에 들어 했던 모양이다.
작곡가이자 음악평론가인 슈만 역시 이 작품을 가리켜 “세계 음악계에 혜성같이 나타난 작품”이라 칭하며 이 작품이 먼저 작곡된 [피아노3중주 D.898]에 비해 좀 더 드라마틱하고 남성적인 힘으로 가득 차 있다고 평했다. 슈베르트는 [피아노 3중주 D.929]를 1827년 11월에 완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초연 날짜에 대해서는 [피아노 3중주 D.898]과 함께 1827년 12월 26일 빈 악우협회에서 이루어졌다는 설과 1828년 3월의 슈베르트 작품발표회에서 처음 이루어졌다는 설이 있다. 아무튼 1827년의 거의 비슷한 시기에 연달아 작곡된 두 곡의 피아노 3중주가 슈베르트의 우정의 산물이었음은 분명하다.
우수에 젖은 2악장과 벅찬 감동을 안겨주는 4악장의 피날레
슈베르트는 평생 실내악 분야에 많은 작품들을 남겼으면서도 15세가 되기 전까지 피아노3중주곡에는 전혀 손을 대지 않았다. 그나마 1812년에 한 곡 내놓은 피아노 3중주곡은 ‘소나타’라는 이름이 붙은 단악장의 작품이다. ‘현악4중주’에는 그토록 심혈을 기울였던 슈베르트가 ‘피아노 3중주’에는 그다지 흥미를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하지만 말년에 찾아온 친구들 덕분에 ‘피아노3중주’에 흥미를 갖게 된 슈베르트는 단숨에 두 곡의 걸작을 탄생시켰다. 두 곡 모두 슈베르트의 말년을 장식한 친구인 카를 마리아 폰 보클렛과 이그나츠 슈판치히, 요제프 링케를 알게 된 후에 작곡되었고, 그들에 의해 연주되었다.
두 곡의 피아노 3중주곡 가운데 두 번째 작품인 D.929는 악장들 간에 긴밀한 연관성을 느낄 수 있는 대작으로, 특히 2악장이 유명하다. 2악장을 여는 절름거리는 피아노의 리듬과 그 리듬을 타고 흐르는 첼로의 그윽한 선율은 한번 들어도 잊을 수 없는 인상적인 선율로, 4악장 마지막에서 이 선율은 찬란하게 빛나는 장조로 나타나 벅찬 감동을 안겨주며 한 편의 멋진 드라마를 완성한다. 그 드라마틱한 여정은 마치 하나의 모티브를 바탕으로 거대한 교향곡을 ‘어둠에서 광명으로’ 향하는 베토벤의 교향곡을 떠올리게 한다.
대담하고 극적인 1악장 도입부 역시 베토벤의 음악을 닮았다. 피아노와 바이올린, 첼로가 다 같이 한 목소리가 되어 선언적인 주제를 연주하는 방식은 베토벤이 그의 현악4중주곡에서 종종 쓰던 충격적인 도입 방식이다. 하지만 역시 이 작품에서 더욱 영향력이 있는 선율은 슈베르트다운 신비함이 담긴 제2주제일 것이다. 미묘한 색채감을 뿜어내는 단조 화음을 바탕으로 반복되는 리듬 패턴은 우수를 자아낸다. 작품 전체의 핵심이라 할만한 2악장의 주제 선율은 스웨덴 민요로부터 온 것이다. 스웨덴에서 온 젊은 테너 가수인 이자크 알베르트 베르크가 1827년에 비엔나를 방문했을 때 그는 [날이 저문다]라는 스웨덴 민요를 노래했는데, 당시 슈베르트도 베르크의 노래를 들었다. 이 노래의 반복되는 피아노 반주 음형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슈베르트는 이를 2악장에 도입해 지극히 매혹적인 주제를 완성했다.
명상적인 2악장이 조용히 마무리되면 3악장의 사랑스런 캐논으로 이어진다. 캐논이란 한 성부가 주제 성부를 몇 마디 뒤에서 똑같이 모방하는 방식으로 전개되는 음악으로, 일종의 돌림노래와 같다. 피아노의 뒤를 바짝 뒤쫓는 현악기들이 추격과 가볍고 명랑한 분위기는 하이든의 음악을 닮았다. 마지막 4악장은 처음의 주제가 계속 반복되는 론도 형식의 음악으로, 여러 가지 음악이 론도 주제 사이사이에 끼어들며 다채롭게 전개되고 있어 연주 시간도 꽤 긴 편이다. 그런 까닭인지 라이프치히에서 이 작품이 출판될 당시 출판될 당시 4악장 중 99마디가 생략된 채 출판되기도 했다. 빠르고 화려하게 진행되는 4악장 중간 부분에 2악장의 주제가 회상되며 시적인 분위기로 변화하는 순간은 이 곡에서 가장 특별한 부분이며, 마지막에 2악장의 주제가 벅찬 장조로 마무리되는 여정 또한 매우 드라마틱한 감흥을 전해준다.
추천음반
1. 슈베르트 피아노3중주의 추천 음반으로는 정돈된 앙상블이 돋보이는 보자르 트리오의 음반(Philips)이 있고,
2. 요즘 주목 받는 젊은 연주가들의 음반으로는 카퓌송 형제와 프랭크 브레일리의 음반(Virgin)과
3. 라르스 포그트와 테츨라프 남매의 실황 연주를 담은 음반(AVI Music)도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4. 최근에 나온 안너 빌스마, 베라 베스, 그리고 요스 판 이메르젤의 포르테피아노 연주로 녹음된 음반(SONY) 역시 추천할 만하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7.11.21 10:14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7.27 10:58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8.06 12:11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8.06 1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