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텀2지구 행정절차는 끝났지만
더 길고 험난한 여정이…
지난 11월 11일 부산시 산업단지계획심의위원회에서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계획’이 원안 의결됨으로써 6년 만에 모든 행정절차가 끝났다. 지난 2016년 산업단지 지정 계획 승인 이후, 2020년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개발제한구역 해제에 대한 심의를 통과하고, 이후 산업단지계획 승인 전 행정절차인 환경영향평가와 사업인정(의제) 협의에 어려움이 있어 장기간 표류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센텀2지구는 부산이 4차 산업혁명 중심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자산으로, 부산 발전의 백년지대계를 준비하는 마음가짐으로 센텀2지구 첨단산업단지 조성 사업을 꼼꼼하게 챙기겠다”고 말했다.
센텀2지구 사업은 반여동, 반송동, 석대 지역 194만 6000㎡(59만 평)에 조성되는 것으로 1조 6413억 원을 투자해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융합부품 소재, 관광 마이스(MICE),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 블록체인, 바이오·의료, 영상 콘텐츠 분야 1500개 기업을 유치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도시 외곽에 입지해 제조업 위주로 개발되었던 산업단지와는 달리 도심 내 위치한 4차산업 중심의 도시첨단산업단지이며, 수도권 중심의 창업 생태계에 대응하는 남부권 대표 창업 허브로서 부산의 미래를 이끌어 갈 성장동력으로 만들어 간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산업단지계획을 연말까지 승인하고 오는 2023년부터는 본격적인 보상 협의와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6년이나 소요된 개발제한구역 해제, 환경영향평가 등 행정적인 난제보다 더 길고 험난한 여정이 기다리고 있는지 모른다. 전체 부지 면적의 절반을 차지하는 풍산금속의 이전과 수천 명 상인들의 이해가 걸린 반여농산물도매시장의 이전이 그것이다.
풍산금속은 기장군 청강리로의 이전을 추진했지만 기장군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치자 부산시가 원점 재검토를 약속한 상태이다. 현실적으로 부산시 역내로 이전한다면 기장군 이외에는 적지를 찾기가 불가능하다. 그리고 풍산금속에서 생산하는 총포류는 오염물질을 배출하거나 소음을 유발하는 님비시설이라고 할 수 없다. 기장군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해운대신시가지(그린시티) 소각장에서 받아 처리해주듯이 같은 공동체 내에서 합리적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반여농산물도매시장의 이전은 더 큰 어려움에 봉착할지 모른다. 4백여 개의 점포, 3,000명의 상인, 하루 평균 내방고객 1만 2000명인 반여농산물도매시장을 이전하는 일은 그렇게 간단치 않다. 상인들의 생존권이 걸려 있기 때문에 센텀 2지구 내에 이전을 희망하고 있지만, 과다한 지가로 부산시의 선택지에 들어 있지 않다. 기장군 안평 등 몇 군데의 후보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지만, 어디로 결정되든 대규모 집단을 동원한 강력한 반대가 예상된다. 영업권 축소에 반발하고 있는 서울 노량진수산시장 상인들은 2016년에 신축한 건물로 이전하지 않고 아직까지 옛 건물에 남아 버티고 있다.
박형준 시장이 적극적인 자세로 나서야 한다. 기장군수의 1인 시위에 뒤로 물러서는 유약한 시장이 아니라 과감하고 결단성 있는 모습으로 설득하고 밀어붙일 수 있어야 한다. 공무원들에게 맡겨두면 부지하세월로 시간만 보내며 두고두고 부산시정에 부담이 될 수도 있다. 신임 기장군수를 비롯한 지역 국회의원, 시의원, 구군의원, 지역 유지들과 협의체를 구성해 부산시의 발전과 국익의 관점에서 설득하고, 이전 효과를 잘 계량하여 손해를 보는 지역과 주민에게는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논의해야 한다.
/ 김영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