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8일 주일
[(자) 대림 제2주일(인권 주일, 사회 교리 주간)]
제1독서 <하느님께서 너의 광채를 드러내 주실 것이다.>
▥ 바룩서의 말씀입니다.5,1-9
예루살렘아, 슬픔과 재앙의 옷을 벗어 버리고
하느님에게서 오는 영광의 아름다움을 영원히 입어라.
2 하느님에게서 오는 의로움의 겉옷을 걸치고
영원하신 분의 영광스러운 관을 네 머리에 써라.
3 하느님께서 하늘 아래 어디서나 너의 광채를 드러내 주시고
4 ‘의로운 평화, 거룩한 영광’이라는 이름으로 영원히 너를 부르실 것이다.
5 예루살렘아, 일어나 높은 곳에 서서 동쪽으로 눈을 돌려 보아라.
네 자녀들이 거룩하신 분의 말씀을 듣고
하느님께서 기억해 주신 것을 기뻐하면서
해 지는 곳에서 해 뜨는 곳까지 사방에서 모여드는 것을 보아라.
6 그들은 원수들에게 끌려 너에게서 맨발로 떠나갔지만
하느님께서는 그들을 왕좌처럼 영광스럽게 들어 올려 너에게 데려오신다.
7 하느님께서는 이스라엘이 당신 영광 안에서 안전하게 나아가도록
높은 산과 오래된 언덕은 모두 낮아지고
골짜기는 메워져 평지가 되라고 명령하셨다.
8 하느님의 명령으로 숲들도 온갖 향기로운 나무도
이스라엘에게 그늘을 드리우리라.
9 하느님께서는 당신에게서 나오는 자비와 의로움으로
당신 영광의 빛 속에서 이스라엘을 즐거이 이끌어 주시리라.
화답송 시편 126(125),1-2ㄱㄴ.2ㄷㄹ-3.4-5.6(◎ 3 참조)
◎ 주님이 큰일을 하셨기에 우리는 기뻐하였네.
○ 주님이 시온을 귀양에서 풀어 주실 때, 우리는 마치 꿈꾸는 듯하였네. 그때 우리 입에는 웃음이 넘치고 우리 혀에는 환성이 가득 찼네. ◎
○ 그때 민족들이 말하였네. “주님이 저들에게 큰일을 하셨구나.” 주님이 우리에게 큰일을 하셨기에 우리는 기뻐하였네. ◎
○ 주님, 저희의 귀양살이 네겝 땅 시냇물처럼 되돌리소서. 눈물로 씨 뿌리던 사람들, 환호하며 거두리라. ◎
○ 뿌릴 씨 들고 울며 가던 사람들, 곡식 단 안고 환호하며 돌아오리라. ◎
제2독서 <여러분은 순수하고 나무랄 데 없는 사람으로 그리스도의 날을 맞이하십시오.>
▥ 사도 바오로의 필리피서 말씀입니다.1,4-6.8-11
형제 여러분, 나는
4 기도할 때마다 늘 여러분 모두를 위하여 기쁜 마음으로 기도를 드립니다.
5 여러분이 첫날부터 지금까지
복음을 전하는 일에 동참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6 여러분 가운데에서 좋은 일을 시작하신 분께서
그리스도 예수님의 날까지 그 일을 완성하시리라고 나는 확신합니다.
8 사실 나는 그리스도 예수님의 애정으로
여러분 모두를 몹시 그리워하고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나의 증인이십니다.
9 그리고 내가 기도하는 것은,
여러분의 사랑이 지식과 온갖 이해로 더욱더 풍부해져
10 무엇이 옳은지 분별할 줄 알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여러분이 순수하고 나무랄 데 없는 사람으로
그리스도의 날을 맞이하고,
11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오는 의로움의 열매를 가득히 맺어,
하느님께 영광과 찬양을 드릴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복음 환호송 루카 3,4.6
◎ 알렐루야.
○ 너희는 주님의 길을 마련하여라. 그분의 길을 곧게 내어라. 모든 사람이 하느님의 구원을 보리라.
◎ 알렐루야.
복음 <모든 사람이 하느님의 구원을 보리라.>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3,1-6
1 티베리우스 황제의 치세 제십오년,
본시오 빌라도가 유다 총독으로, 헤로데가 갈릴래아의 영주로,
그의 동생 필리포스가 이투래아와 트라코니티스 지방의 영주로,
리사니아스가 아빌레네의 영주로 있을 때,
2 또 한나스와 카야파가 대사제로 있을 때,
하느님의 말씀이 광야에 있는 즈카르야의 아들 요한에게 내렸다.
3 그리하여 요한은 요르단 부근의 모든 지방을 다니며,
죄의 용서를 위한 회개의 세례를 선포하였다.
4 이는 이사야 예언자가 선포한 말씀의 책에 기록된 그대로이다.
“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
‘너희는 주님의 길을 마련하여라. 그분의 길을 곧게 내어라.
5 골짜기는 모두 메워지고 산과 언덕은 모두 낮아져라.
굽은 데는 곧아지고 거친 길은 평탄하게 되어라.
6 그리하여 모든 사람이 하느님의 구원을 보리라.’”
대림 제2주일(인권 주일)복음묵상
(루카3,1-6)
<너희는 주님의 길을 마련하여라. 그분의 길을 곧게 내어라.>
찬미 예수님, 오늘은 대림 제2주일이며, 한국 교회가 정한 인권 주일이고 사회 교리 주간의 시작입니다. 인류를 구원하시러 오시는 아기 예수님의 탄생을 기다리며, 인간의 존엄성과 권리가 존중되는 사회가 되도록 함께 기도합시다
오늘 복음에서는 세례자 요한이 요르단 부근의 모든 지방을 다니며, 죄의 용서를 위한 회개의 세례를 선포하는 내용이 전해졌습니다. “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 ‘너희는 주님의 길을 마련하여라. 그분의 길을 곧게 내어라. 골짜기는 모두 메워지고 산과 언덕은 모두 낮아져라. 굽은 데는 곧아지고 거친 길은 평탄하게 되어라. 그리하여 모든 사람이 하느님의 구원을 보리라.’”
어쩌면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광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끝도 보이지 않게 광활한 사막과도 같이 희망이 없어 보이고, 타는 듯한 목마름과 굶주림과 같은 고통의 시간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한 광야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그 방법을 몰라 이리저리 방황하며 살아가곤 합니다. 그러한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오늘 복음의 세례자 요한은 하느님의 성령을 받은 예언자로서 구세주께서 오실 것을 예언하고 우리에게 참된 희망의 길을 제시하여 줍니다.
그는 이렇게 예언하였습니다. “너희는 주님의 길을 마련하여라. 그분의 길을 곧게 내어라.” 예전에 강원도 어느 지역에 홍수로 수해가 났을 때 산사태로 도로가 흙더미에 싸여 아주 긴 시간 동안 복구를 하면서 길이 통제되서 한동안 다른 길로 돌아가야 갈 수 있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이처럼 통행하는 길에 커다란 장애물이나 장벽이 있다면 우리는 그 길을 갈 수 없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주님께서 오시는 길에 놓인 우리 마음의 장애물, 그리고 장벽을 미리 없애고 그분께서 어서 빨리 우리에게 오실 수 있도록 준비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곧 골짜기가 메워지듯이 깊은 구렁과도 같은 마음의 골을 없애고 그분을 맞이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산과 언덕들이 낮아지듯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산과 언덕과도 같은 교만함을 없애고 그분을 맞이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굽은 데가 곧아지듯이 우리가 가지고 있는 굽어 있고 꼬여 있는 마음의 불신과 편협함을 없애고 믿음을 곧게 한 후에 그분을 맞이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거친 길이 평탄해지듯이 여러 가지 죄의 상처로 거칠어진 우리의 마음이 평탄하게 되어 그분을 맞이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게 세례자 요한은 우리의 마음이 준비되어 있을 때 모두가 하느님의 구원을 보리라고 예언하면서 회개의 세례를 촉구하였던 것입니다.
이제 구세주의 성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도 오늘 복음의 세례자 요한이 광야에서 외치는 소리로서 우리에게 예언하였던 대로 우리의 모습이 그동안 깊은 골짜기, 높은 산과 언덕, 굽은 길, 거친 길이었다면 메워지고, 낮아지고, 곧아지고, 평탄해져서 오시는 주님을 기쁘게 맞이할 수 있기를 함께 기도했으면 합니다.
“너희는 주님의 길을 마련하여라. 그분의 길을 곧게 내어라.”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