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전체 용량의 12% 규모
중이 장악한 시장서 대반격
삼성SDI가 미국 최대 전력기업인 넥스트에라에너지에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를 대규모로 납품한다.
총용량 6.3기가와트시(GWh)로 지난해 북미 전체 ESS용량(55GWh)의 11.5%에 해당하는 규모다.
금액으로 따지면 1조원에 달한다.
중국이 장악한 글로벌 ESS용 배터리 시장에서 한국의 반격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4일 업곙 따르면 삼성SDI는 넥스트에라에너지에 6.3GWh 규모 ESS용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하고
막바지 조율 작업을 벌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기업이 수주한 물량 중 단일 계약으로 사상 최대다.
주력 제품은 값비싼 NCA(니켈.코발크.알루미늄) 배터리 셀을 적용한 '삼성배터리박스(SBB) 1,5'다.
같은 공간에 더 많은 셀을 넣는 식으로 기존 제품보다 에너지 밀도를 37% 높인 게 특징이다.
업계에서는 각 국이 전력난을 이겨내기 위해 태양고아발전 설비를 앞다퉈 설치하고 있는 만큼
ESS용 배터리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태양광은 날씨에 따라 전력 생산량이 들쭉날쭉하기 떄문에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ESS 시스템을 반드시 곁에 둬야 한다.
이 덕분에 올해 79억달러(약10조9000억원) 규모인 미국 ESS시장은 2030년 187억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세계 ESS 시장은 저렴한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앞세운 '중국 천하'지만,
미국이 2026년부터 중국산 제품 관세를 7.5%에서 25%로 높이기로 한 만큼 한국 제품을 찾는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며
'전기차 캐즘(대중화 직전 일시적 수요 침제)에 빠진 국내 배터리업계에 ESS가 구세주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SDI 'ESS 배터리 왕좌 되찾겠다'...중에 전면전 선포
미 초대 전력기업에 1조 공급...북미 시장 12% 규모
중 LFP에 밀려 존재감 악화되자
수요 폭발하는 고가 ESS에 집중
에너지밀도 37% 높여 승기 ㅈ바아
'전기차 캐즘' 넘어설 병기로
미 2년 뒤 중국산에 25% 관세
한국기업이 최대 수혜 가능성
저가 LFP도 양산...중 텃밭 공격
삼성SDI는 2018년까지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시장의 '절대 강자'였다.
당시 세계시장 점유율은 50%에 달했다.
하지만 중국이 값 싸고 화재 위험도 작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들고 나오면서 고꾸라지기 시작했다.
삼성SDI의 점유율은 지난해 4.9%로 추락했고, 빈자리는 CATL(40%), BYD(11.9%), EVE(11.4%) 등 중국업체들 몫으로 돌아갔다.
수세에 몰렸던 삼성SDI는 올해부터 공세로 저놓나했다.
전기를 물쓰듯 쓰는 인공지능(AI) 시대가 열리면서 빅테크들이 몰려있는 미국내 전력수요가 급증한 만큼 기회가 왔다고
본 것이다.
떄마침 태양열 채널 가격이 급락하면서 미국에선 태양광 발전 설치 붐이 일었다.
그러자 태양광 발전설비에따라붙는 ESS 수요도 함꼐 늘기 시작했다.
국가 차원에서 중국 제재에 나선 미국 기업들의 선택은 삼성SDI였다.
고가.저가 배터리 '투트랙' 공략
미국 최대 전략회사인 넥스트에라에너지가 중국산 대신 삼성SDI 배터리를 선택한 또 다른 이유는 '성능'이다.
20피트 컨테이너로 구성된 삼성SDI의 '삼성배터리박스'(SBB) 1.5는 공산 효율화를 통해
기존 제품보다 에너지 밀도를 37% 끌어올린 게 특징이다.
삼원계(NCA) 배터리를 쓴 만큼 LFP 배터리보다 20~30%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전력망에 연결하면 바로 이용할 수 있는 만큼 설치 비용이 적게 든다는 것도 강점이다.
자체적으로 소화 약제를 분사하는 기술을 적용, 화재에 약하다는 삼원계 배터리의 약점도 없앴다.
업계에선 넥스트에라에너지 남품이 성사되면 삼성SDI의 몸값'이 한층 더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국 최대전략회사가 인정한 ESS용 배터리'란 트랙 레코드가 쌓이기 때문이다.
미국이 2026년부터 중국산 ESS용 배터리에 25% 의 관세를 부과키로 한 것도 삼성SDI에는 호재다.
올해 79억달러로 커질 미국 ESS 시장의 상당수를 한국 기업들이 차지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시장에선 삼성SDI가 미국에 구축하기로 한 배터리 공장에 전기차용과 ESS용 생산라인을 함께 설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삼성SDI는 고가의 NCA 배터리뿐 아니라 저렴한 LFP 배터리도 2026년부터 양산할 계획이다.
중국이 장악한 저가 배터리 시장에 침투하기 위해서다.
'ESS가 실적 견인할 것'
ESS 시장에 눈독을 들이기는 LG에너지솔루션도 마찬가지다.
이 회사는 핵심 고객인 테슬라와 제너럴모터스(GM)의 전기차 판매 둔화에 따른 실적 부진을 ESS로 매운다는 전략을 세웠다.
이미 몇몇 성과도 거뒀다.
지난 5월 한화큐셀(한화솔루션 태양고아 부문)이 발주한 4.8GWh 규모 ESS 배터리를 수주한 게 대표적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ESS용 배터리 시장이 더 커질 것으로 보고 미국 미시간공장과 중국 난징공장의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라인
일부를 ESS용으로 전환하고 있다.
ESS 전용 공장을 새로 짓는 것보다 비용과 시간을 아낄 수 있는 점을 감안한 조치다.
덤으로 기존 공장의 가동률을 높이는 효과도 거둘 수 있디.
업계에선 LG에너지솔루션이 지난 ESS 사업부문에서 매출 2조원, 영업이익 200억원을 낸 것으로 보고 있다.
2022년 2000억원 가량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삼성SDI도 지난해 ESS 부문에서 매출 2조3000억원, 영업이익 430억원을 낸 것으로 증권가는 추정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확대로 'ESS 르네상스'
데이터센터 증설 붐에 2차 호황 맞아
전기차보다 더 성장하는 ESS
전력을 내재된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쓰는 에너지저장장치(ESS)는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날씨에 따라 전기 생산량이 들쭉날쭉한 태양광과 풍력발전이 안정적으로 전략울 공급하려면
ESS가 반드시 따라붙어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의 'ESS 호황'은 미국을 중심으로 불고 있는 태양광 설치 열풍 덕분이다.
지난 1월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사막에 미국 최대 태양고아 단지(태양광 모듈 200만개)가 들어서는 등
대규모 태양광 단지가 미국 전역에 설치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작년 1분기 1781mwH였던 미국 ESS 설치량은 4분기 1만2351mwH로 여덟 배 가까이 뛰었다.
ESS 증가는 발전 설치비 하락에 정비례한다.
캘리포니아의 주거용 태양광 패널.ESS 설치 비용(5kW 기준)은 평균 2만2500달러로 1년 전보다 20~30% 떨어졌다.
태양광 패널 가격이 공급 과잉 등의 여파로 1년 전보다 50% 이상 떨어진 데다 ESS에 들어가는
리튬.인산철(LFP0 배터리 가격도 하락하는 추세여서다.
여기에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설치비용의 30%인 6750달러가량을 환급받을 수 있다.
미국에선 화석 연료의 전력 생산 단가보다 태양고아의 생산 단가가 더 낮아졌다는 얘기도 나온다.
시장에선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증설과 함께 ESS 시장이 더욱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막대한 전력을 쓰는 데이터센터는 송전선을 설치하는 대신 인근에 직접 발전 시설을 짓는 게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ESS 설치는 필수다.
ESS 시장이 전기차 시장보다 커질 것이란 전망도 니온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월 '수년 동안 ESS 사업이 전기차보다 훨씬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고,
실제로 그렇다'고 했다.
ESS는 페배터리 재호라용 시대와도 연결돼 있다.
수명을 자한 전기차용 뱉리가 재활용을 거쳐 ESS용 배터리로 사용될 경우
가격 하락과 함께 ESS시장이 더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김형규/김우섭 기자
미 태양광 1위 한화큐셀...유럽선 중과 손잡는다
신제품에 중국산 배터리 장착
원가 20% 저렴...생존위한 선택
미와 달리 유럽선 규제 덜해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이 도전장을 내밀었지만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시장의 맹주는 여전히 중국이다.
저렴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앞세워 세계 시장의 90%가량을 장악하고 있어서다.
한국 배터리만 고집했던 국내 ESS 시스템 업체들도 중국 배터리 업체와 손잡는 사례가 늘고 있다.
4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미국 내 1위 태양광 사업자인 한화큐셀은 하반기 유럽 시장에 내놓은
가정용 ESS 솔루션 '큐홈 G4'에 중국산 배터리를 장착하기로 했다.
중국 폭스 ESS가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만든 ESS와 변압기, 전기차 충전기 등을 큐홈에 넣기로 한 것.
한화큐셀 관계자는 '치열한 가격 경쟁이 펼쳐지고 있는 유럽에서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중국 업체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폭스ESS의 ESS용 LFP 배터리와 변압기 등은 한국 기업보다 20~30%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태양광.ESS 모듈 업계는 요즘 미국과 유럽 시장을 완전히 다른 시장으로 보고 있다.
미국은 관세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때문에 중국산 부품과 배터리 사용이 쉽지 않다.
한화큐셀도 미국 시장에선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중국산 규재가 적은 유럽 시장은 다르다.
한화큐셀 등 재생에너지 업계는 유럽연합(EU)이 미국처럼 강력하게 중국산을 제재할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있다.
섣불리 제재했다가는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유럽 기업들이 보복을 당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자동차 강국인 독일뿐만 아니라 명품과 항공기 등을 중국에 판매하고 있는 프랑스, 이탈리아 등도 머뭇가리긴 마찬가지다.
여기에 관세 등의 조치가 가격 상승을 유발해 유럽의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막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결국 제품 가격과 경쟁력만으로 승부해야 하는 한국 기업이 중국과 손잡는 사례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유럽네트워크가 약한 중국도 한국 기업들과 손잡기를 원하고 있다.
한화큐셀은 OEM을 요청했던 중국 업체만 50곳이 넘은 것으로 알려졌다.
변화 움직임은 이미 감지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요즘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중국 부품 업체의 납품 비중을 늘리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리튬, 니켈 등을 공급할 수 있는 폐배터리 재활용 합작 공장을 중국 화유코발트와 세워 작년 6월 가동을 시작했다.
상상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