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지 않은 2백년의 기간 후에, 중국은 세계에서 그 자리를 되찾고자 갈망하고 있다. 미국은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 가?
AN ALARMING assumption is taking hold in some quarters of both Beijing and Washington, DC. Within a few years, China’s economy will overtake America’s in size (on a purchasing-power basis, it is already on the cusp of doing so). Its armed forces, though still dwarfed by those of the United States, are growing fast in strength; in any war in East Asia, they would have the home advantage. Thus, some people have concluded, rivalry between China and America has become inevitable and will be followed by confrontation—even conflict.
베이징과 워싱턴 DC의 양 쪽의 일부 사람들은 걱정스러운 가정을 가지고 있다. 몇 년안에 중국 경제가 규모에서 미국을 따라 잡을 것이다( 구매력에 기초하면, 이미 그렇게 되는 순간에 있다). 비록 아직도 미국의 규모와 비교하면, 중국의 군사력은 왜소해 보일지라도, 전력이 빠르게 중가하고 있다. 아시아에서의 그 어떤 전쟁에서도, 그들은 홈 그라운드 이점을 가질 것이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중국과 미국의 경쟁이 불가피하게 되고, 대결 심지어 전쟁까지도 따라오게 될 것이라고 결론을 내기도 한다.
itching : 가려움; 하고 싶어 못 견딤, 갈망
alarming : 걱정스러운, 두려운
on the cusp of : 사이(순간)에 있다.
dwarfed : 왜소해 보이다.
home advantage : 홈 그라운드 이점
Diplomacy’s task in the coming decades will be to ensure that such a catastrophe never takes place. The question is how?
다가오는 수 십년 동안 외교의 모습이 그러한 재앙을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실시킬 수 있을까? 문제는 어떻게 가능하게 할 것인가이다.
Primacy inter pares
동등한 가운데 최고에 있는
Some Western hawks see a China threat wherever they look: China’s state-owned businesses stealing a march in Africa; its government covering for autocrats in UN votes; its insatiable appetite for resources plundering the environment. Fortunately, there is scant evidence to support the idea of a global Chinese effort to upend the international order. China’s desires have an historical, even emotional, dimension. But in much of the world China seeks to work within existing norms, not to overturn them.
몇몇 서구의 매파들은 그들이 바라보는 어디에서나 중국의 위협을 본다. 아프리카에서 앞질러 행동하는 중국의 국영기업들, 유엔 투표에서 독재자들을 지원하는 정부, 환경에 해를 주는 만족할 줄 모르는 자원에 대한 욕구이다. 다행히도, 국제 질서를 뒤집기 위한 글로벌한 중국의 생각을 지원하는 증거는 거의 없다. 중국의 욕구들은 역사적인, 심지어 감정적인 차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중국은 규범들을 뒤집지 않고, 기존 규범들 내에서 활동하는 것을 추구한다.
steal a march : 수동태로는 안 씀 (~의) 꼭뒤를 지르다[앞질러 행동하다]
autocrat : 1.전제 군주, 독재자 2.전제 군주 같은 사람
insatiable : 채울[만족시킬] 수 없는; 만족할 줄 모르는
plunder : 약탈하다.
upend : (위아래를) 거꾸로 하다[뒤집다]
In Africa its business dealings are transactional and more often led by entrepreneurs than by the state. Elsewhere, a once-reactive diplomacy is growing more sophisticated—and helpful. China is the biggest contributor to peacekeeping missions among the UN Security Council’s permanent five, and it takes part in anti-piracy patrols off the Horn of Africa. In some areas China is working hard to lessen its environmental footprint, for instance through vast afforestation schemes and clean-coal technologies.
미국에서, 중국의 기업 거래들은 국가에 의해 이루어지기 보다는 업무적이고, 종종 기업가들에 의해 더 많이 이루어진다. 다른 지역에서. 한번 반응을 보이는 민주주의는 좀 더 세련되게 증가하고 있고, 도움이 되고 있다.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 중에서 평화를 유지하는 임무에 대해 가장 큰 기여자이다 그리고 아프리카 대륙 북동부 해안 반해적 활동에 참가하고 있다. 몇몇 지역에서 중국은 예를 들어 광범위한 조림 계획과 저공해 석탄 연소 기술들을 통해 환경적인 발자국의 교훈을 남기기 위해 열심히 활동하고 있다.
transactional : 업무[거래]의; 업무적인.
reactive : 반응을 보이는
Horn of Africa : 아프리카 대륙의 북동부
afforestation : 숲 가꾸기, 조림
clean-coal technology : 저공해석탄연소기술
The big exception is in East and North-East Asia—one of the greatest concentrations of people, dynamism and wealth on Earth. There, both its rhetoric and its actions suggest that China is unhappy with Pax Americana. For centuries China lay at the centre of things, the sun around which other Asian kingdoms turned. First Western ravages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and then China’s defeat by Japan at the end of it put paid to Chinese centrality. Today an American-led order in the western Pacific perpetuates the humiliation, in the eyes of Chinese leaders. Soon, they believe, their country will be rich and powerful enough to seize back primacy in East Asia.
커다란 예외가 동구와 북동 아시아이다. 지구에서 사람들, 활력 그리고 부가 가장 거대하게 집중된 곳의 하나이다. 그곳에서 과장된 말과 행동들은 중국이 미국의 지배에 의한 평화에 대해 좋아하지 않는 다는 것을 제시한다. 수 백년 동안, 중국은 중심에 있었고, 중국을 태양으로 주변부 아시아 왕국들이 활동해왔다. 19세기 중반, 첫 서구의 유린과 그 시기 이후 일본에 대한 중국의 패배는 중국의 구심점 역할을 좌절시켰다. 오늘날, 서태평양에서의 미국 주도 질서는 중국 지도자들의 눈에는 굴욕을 영구화한다. 곧, 그들의 국가는 동아시아에서의 최고의 지위를 되찾을 정도로 강력하고 부유할 것이라고 그들은 생각한다.
dynamism : 활력, 패기, 박력, (어떤 체계의) 발전[운동] 과정[기구]
concentration : 1.정신 집중 2.(노력 등의) 집중
rhetoric : 1.미사여구 2.수사법, 과장된 말
Pax Americana : 미국의 지배에 의한 평화
ravage : 황폐[피폐]하게 만들다, 유린[파괴]하다
centrality : [U] 중심임; 구심성; 중심적 역할[위치], 중요성; 집중성
put paid to : (특히 남의 계획·바람을) 망치다[좌절시키다]
Pacific : 태평양의; 태평양 연안의, 평화로운; 평화를 사랑하는
perpetuate : 영구화하다, 영속시키다
humiliation : 1.창피 줌[당함] 2.굴욕, 굴복; 창피, 면목 없음
seize : 1.와락 붙잡다 2.(흔히 폭력을 써서) 장악하다, 점령하다
primacy : 1.최고, 으뜸 2.대주교의 지위
China’s sense of historical grievance explains a spate of recent belligerence. China has deployed ships and planes to contest Japan’s control of islands in the East China Sea, grabbed reefs claimed by the Philippines in the South China Sea and moved an oil rig into Vietnam’s claimed exclusive economic zone. All this has created alarm in the region. Some strategists say America can keep the peace only if it is firm in the face of Chinese expansionism. Others urge America to share power in East Asia before rivalries lead to a disaster.
중국의 역사적인 불만의 감각은 최근의 호전성의 빈발을 설명한다. 중국은 동지나해에서 일본의 섬들에 대한 통제에 대항하기 위해 군함들과 비행기들을 배치해왔고, 남지나해에서 필리핀 소유라고 주장하는 산호초 지역을 잡아 채려고 해왔고, 베트남이 주장하는 배타적 경제 수역으로 유정굴착장치를 옮겼다. 이 모든 것이 그 지역에서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 어떤 전략가들은 미국이 중국의 확장주의에 직면하여, 굳게 대응할 때 만이 평화를 유지할 수 있다고 말한다. 어떤 사람들은 경쟁의식들이 재앙에 이르기 전에 미국이 동아시아에서 권력을 공유할 것을 촉구한다.
grievance : 불만[고충] (사항)
belligerence : 1.호전성, 투쟁성 2.교전, 전쟁 (행위)
spate : [주로 단수로] ~ of sth (보통 불쾌한 일의) 빈발
contest : 경쟁을 벌이다, 결정이나 진술에) 이의를 제기하다
grab : 1.(와락・단단히) 붙잡다 2.~을 잡으려고 하다 3.와락 잡아채려고 함 4.저장 화면, 기회를 잡다.
alarm : 경기상황, 불안
rivalry : 경쟁의식
America cannot walk away without grave consequences for the region and its own standing. Since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American security has been the basis of Asian prosperity and an increasingly liberal order. It enabled Japan to rise from the ashes without alarming its neighbours. Indeed, China’s race to modernity could not have happened without it. Even Vietnam, America’s old foe, is clearer than ever that it wants America’s stabilising, reassuring presence.
미국은 그 지역과 자신의 지위에 대한 심각한 고려없이, 떠나 버릴 수는 없다. 2차 세계대전 종전이후, 미국의 안보는 아시아의 번영과 점점 더 자유로운 질서의 토대가 되어왔다. 그것은 일본이 이웃나라를 불안하게 만들지 않고, 폐허로 부터 등장할 수 있게 하였다. 실제로 중국의 현대화로의 경주는 그것이 없이는 일어나기 어려웠을 것이다. 심지어, 미국의 오래된 적이었던, 베트남조차도 미국의 안정화시키고, 재확신시키는 존재를 원하고 있음이 그 어느 때 보다 더욱 명확하다.
grave :심각한
walk away : (힘든 상황·관계를 외면하고) 떠나 버리다
increasingly : 점점 더, 갈수록 더
modernity : 현대[근대]성; 현대적임
Yet, if the liberal order is to survive, it must evolve. Denying the reality of China’s growing power would only encourage China to reject the world as it is. By contrast, if China can prosper within the system, it will reinforce it. That is why the United States needs to acknowledge one increasingly awkward aspect of its leadership: American advantage is hard-wired into the system in ways that a rising power might justifiably resent.
그러나 만약 자유로운 질서가 생존하고자 한다면, 진화해야만 한다. 중국의 성장하는 힘의 실재를 부인하는 것은 현재의 세계를 거부하기 위해 단지 중국을 격려하게 될 뿐이다. 대조적으로, 만약 중국이 시스템 내에서 번영할 수 있다면, 그것을 강화시킬 것이다. 그것이 왜 미국이 리더십을 점점 더 어색한 양상을 인식해야 하는 이유이다. 미국의 이점은 증가하는 권력이 정당화되어 분개할 수 있는 방식들의 시스템으로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awkward : 1.(기분이) 어색한 2.(처리하기) 곤란한
hard-wired : 컴퓨터 기능이 하드웨어에 내장된[설치되어 있는], 원래 갖추고 있는, 고유의
resent : 분하게[억울하게] 여기다, 분개하다
justifiably : 정당화되어, 옳다고 증명할 수 있어.
For a great power to find a new equilibrium with an emerging one is hard—because every adaptation looks like a retreat. Three principles should guide
America.
강대국으로서 이머징 국가와 새로운 균형을 발견하는 것은 모든 변경이 후퇴와 같이 보이기 때문에 어렵다. 세 가지 원칙들이 미국을 이끌어야 한다.
adaptation : 1.각색 2.적응, 개조, 개작
retreat : 후퇴, 철수, 퇴각 4.도피
First, it should only make promises that it is prepared to keep. On the one hand, America would be foolish to draw red lines around specks of reef in the South China Sea. On the other, if America is to count for anything, its allies need to know that they can depend on it. Although Taiwan is central to China’s sense of its own honour, America should leave Beijing in no doubt that it would come to the island’s defence.
첫째, 지킬 준비가 된 약속들만 만들어야 할 것이다. 한편으로, 미국이 남지나해의 일련의 산호초지대 주위에 레드 라인을 긋는 것은 어리석은 행위가 될 것이다. 다른 한편, 만약 미국이 의미가 있다면, 동맹국들은 그들이 그것에 의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 비록 타이완이 중국 그 자신의 자존심의 감정에 핵심일지라도, 미국은 의심할 바 없이 타이완의 방어문제에 오게 되면, 베이징을 떠나야 한다.
speck : 작은 얼룩[자국], 반점; 작은 알갱이, 입자
red line : 레드 라인(불화・협상 시 한쪽 당사자가 양보하지 않으려는 쟁점이나 요구)
count for : 중요하다, 의미가 있다.
Second, even in security, America must make room. China’s participation in America’s recent RIMPAC naval exercises off Hawaii was a start. China could be invited to join Asian exercises, including for disaster relief. And America should avoid a cold-war battle for the loyalty of regional powers.
둘째, 심지어 안보에 있어서, 자리을 만들어야 한다. 미국의 최근 하와이 인근의 환태평양 군사 훈련에 중국을 참가 시킨 것이 시작이었다. 중국은 재난 구조 목적을 포함하여, 아시아의 군사 훈련에 합류하기 위해 초대될 수 있다. 그리고 미국은 지역국가들의 충성을 위한 냉전 투쟁을 피해야 한다.
make room : …을 위해 자리[장소, 길]를 비키다[만들다], 자리를 양보하다
Lastly, America will find it easier to include China in new projects than to give ground on old ones—and should make more effort to do so. It is nonsensical that America should be leading the formation of the region’s biggest free-trade area,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without the inclusion of the region’s largest economy. And there is no reason to exclude China from co-operation in space. Even during the cold war American and Soviet astronauts worked together.
마지막으로, 미국은 오래된 것에 대해 물러서게 하는 것 보다 새로운 프로젝트들에 중국을 포함시키는 것이 더욱 더 쉽다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하도록 더 많이 노력해야 한다. 미국이 지역의 최대 자유무역 협정인 환태평양 전략적 경제동반자협약의 형성을 그 지역의 최대 경제국가 없이 주도해야 한다는 것은 터무니가 없다. 그리고 우주의 협력에 대해 중국을 배제할 이유가 없다. 심지어 냉전기간동안에도 미국과 소련의 우주 비행사들은 함께 일했다.
give ground on : 물러서다.
nonsensical : 터무니없는; 무의미한
Let the dragon in
용이 들어오게 하라.
Why should China be satisfied with a bit more engagement when primacy is what it seeks? There is no guarantee that it will be. Just now the rhetoric coming out of Beijing is full of cold-war, Manichean imagery. Yet sensible Chinese understand that their country faces constraints—China needs Western markets, its neighbours are unwilling to accept its regional writ and for many more years the United States will be strong enough militarily and diplomatically to block it. And in the longer run, the hope is that the Chinese system will of itself adapt from one-party rule to some more liberal polity that, by its nature, is more comfortable with the world as it now is.
왜 중국이 찾고 있는 것이 최고인 시기에 좀 더 많은 참여에 만족해야 하는가? 그렇게 될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단지 지금 베이징으로 부터 나오고 있는 발언이 현재 마니교도적인 형상화인 냉전으로 가득하다. 그러나 합리적인 중국인들은 그들이 국가가 제약들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중국은 서구 시장들을 필요로 한다. 많은 시간동안 미국이 그것을 막을 수 있을 정도로 군사력으로 외교적으로 강할 것이라는 지역의 강제화된 문서를 이웃나라들은 받아들이려 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희망은 중국의 시스템이 일당 통치에서 본질적으로 현재의 세계와 좀 더 편안한 관계가 있는 좀 더 자유로운 정치적 조직체로 그 자신이 적응할 것이다.
polity : 정치적 조직체
by its nature : 본질적으로
Drawing China into a strengthened regional framework would not be to cede primacy to it. Nor would it be to abandon a liberal order that has served Asia—and America—so well. It may, in the end, not work. But given the huge dangers of rivalry, it is essential now to try.
중국을 강화된 지역의 틀로 끌어 들이는 것이 그것에 대한 최고를 이양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아시아 그리고 미국에게 아주 잘 기능해온 자유적인 질서를 포기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결국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경쟁의 거대한 위험을 고려해 볼 때, 그것은 현재 시도할 필수적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