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능력검정시험에 장단음 문제를 출제하는 이유
- 이 글에서 첫소리 뒤 ":" 표시는 첫소리 발음이 길:다는 표시입니다.
- 긴:소리 표기는 韓:國語:文敎:育硏:究會 案:으로서 일반 국어사전과
약간 다를 수도 있습니다.
먼저 長短音의 필요성에 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세:계 어느 나라 언어든 그 나라 언어만이 갖는 특징이 있습니다. 영어나 독일어의 액센트, 일본어의 濁音(탁음)과 半:濁音, 白話語[중국어]의 高低長短 등:이 이에 속할 것입니다.
어느 나라 언어든 그 언어만이 갖는 독특한 높낮이와 길:고 짧음이 살아 있음으로써 말:의 생동감이 살며, 리듬이 생기고, 말:하는 이의 感:情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것입니다.
말:은 그 언어를 사:용하는 이의 稟:性(품성)을 변화시키기도 합니다. 우리 말:의 長短이 사라짐으로써 우리 말:은 세:계에서 가장 無味乾燥하고 促急(촉급)한 말이 되었습니다. 사:용하는 말:의 리듬이 없:어짐으로써 "소나기가 쏟아져도 뛰어가지 않는다"던 우리 心:性은 세:계에 類:例 없:는 성:급한 국민으로 변:해 세:계 곳곳에 어글리코리언의 汚:名을 남기고 있 습니다.
만:약 언어에 높낮이와 길:고 짧음이 살아 있지 못하다면 그 언어는 아:무런 감:동을 전하지 못하는 죽은 언어입니다. 높아져야 할 때 높아지고, 낮아져야 할 때 낮아지며, 길:어야 할 때 길:고, 짧아야 할 때는 짧으며, 한 숨 쉴: 때와 이어서 발음 할 때를 구분하는 것은 말:의 감:동을 위해 필수적인 것입니다.
세:계 어느 나라 언어보다 과학적인 리듬을 지녀 온 국어의 高低長短은 光復 직후 外:勢와 독단적 권력에 빌붙은 일부 극단적 한글전용론자에 의해 저질러진 강:제적 한글전용 교:육에 의해 지금은 국민의 표준 언어생활을 이끌어 주어야 할 아나운서 조차 제나라 국어의 발음을 구분하지 못:하는 지경이 되었습니다.
다음은 高低長短의 특징에 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漢:字語의 四:聲에 의한 高低長短은 흔히 漢:詩를 짓거나 鑑賞할 때 韻:字를 넣기 위한 것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四:聲은 漢:字語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순우리 말:에도 엄연히 살아 있습니다. "어:른 / 임:금 / 계:집 / 거:짓말 / 거:머리 / 까:치 / 섣:달 / 열:쇠 / 안:개 / 없:다 / 적:다[小量] / 작:다" 등 순우리말:에서 길:게 발음해야 하는 것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예:전에는 "傍點"으로 긴:소리를 표기했는데 1933년 맞춤법 査定이 周時經 선생 案:으로 통:일됨으로써 우리 말:의 긴:소리 표기와 된:소리 표기법이 사라지게 된 것입니다.
순우리말과 漢:字語로 이루어진 우리 국어에 살아 있는 高低長短은 수:천년 동안 전통을 이어 왔습니다. 국어의 高低長短은 平上去入의 四:聲으로 구분합니다. 平聲은 평탄하고 짧으며, 上:聲은 길:고 높으며, 去:聲은 莊重하며, 入聲은 促急하여 짧습니다.
그러나 四:聲을 제대로 익히기 위해서는 106韻:을 모두 외워야 하는데 漢:檢 응:시생 모두에게 이에 대한 現:場 講:義 없:이 四:聲 익히기를 권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그래서 『漢:字能力檢定用 1000字』와 『漢:字能力檢定用 2350字』 에 例:示된 長音 漢:字 例나 長短 兩:音 漢:字를 외우도록 권하는 것입니다.
다:만 여기서 入聲과 `ㄹ`만은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데 우리 말:로 漢:字音을 적었을 때 "ㄱ ㅂ" 받침이 들어가는 漢:字와 "ㄹ" 받침이 들어가는 漢:字는 모두 짧게 발음합니다.
例:를 들면 "學·各"은 "학·각"이라 적어 "ㄱ" 받침이 使:用되었으니 짧은 소리요, "乙·吉" 등:은 "ㄹ" 받침이 사:용되었으니 역시 짧은 소리며, "入·納·甲" 등:은 "ㅂ" 받침이 사:용되었으니 또한 짧은 소리입니다.
그러나 "ㄱ ㄹ ㅂ" 법칙은 漢字語에만 적용된다는 점을 留意하시기 바랍니다. 순우리말의 "적:다" "작:다" "없:다" "말:씨" 등은 "ㄱ ㄹ ㅂ" 받침이 사용되었지만 첫소리를 길:게 발음합니다.
그 밖의 "平聲·上:聲·去:聲"을 紙面에서 설명하기에는 너무 전문적인 분야이므로 例:示된 漢:字들을 중심으로 평소 언어생활에서 관심을 갖고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뉴스 등:을 視:聽할 때 『漢:字能力檢定用 1000字』나 『漢:字能力檢定用 2350字』에 例:示된 長音 漢:字表와 比:較해 보며 뉴스 진:행자의 틀린 발음 등:을 체크해 보면 자연스럽게 우리 말:의 長短을 공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뉴스 시간에 많:이 사:용되는 漢:字語 중 첫소리를 길:게 발음해야 하는 語:彙(어휘)를 例:示해 보면, 『視:聽者·正:規放:送·禮:節·市:廳·市:長·瑞:草洞·退:溪路·廣:場洞· 景:福宮·慶:尙道·濟:州道·選:擧·漢:字·漢:江大:橋·漢:南洞·韓:國· 大:統領·大:法院·總:理·長:官·檢:事·檢:察·警:察官·敎:育·事:件· 事:故·運:轉·視:界·電:鐵·電:氣』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長:官"의 "長"은 어:른·맏이라는 뜻일 때는 길:고 長點·長短처럼 길:거나 좋다는 뜻일 때는 짧으며, "景:福宮"의 "景"은 "景:福宮"이라 쓸 때만 길:게 발음합니다.
長短音이 어렵겠지만 우리 말:의 장단음 자체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日常에서 공부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어려울 것입니다. 남의 나라 언어의 액센트나 濁音·半:濁音, 高低長短은 重:視해 공부하면서 국어의 고저장단을 모른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입니다.
長短音은 하루 아침에 익힐 수 없:습니다. 시:험 공부라고 생각하지 말:고 평소에 꾸준히 관심을 갖고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첫댓글보니까 얼척이 없네~~~ 말도 안되고 순 억지입니다. 뉴스보면 아나운서가 장단음을 구분해 가면서 누가 말을 합니까?? 그리고 현실성이 너무없습니다. 요즘 장단음 사용하지도 않고 수험생들고 포기하다하는데, 장단음 단어가 한두개 입니까??? 차라리 그걸 외울려니 효용성있는 고사성어을 더 외우는게 났지.
그레서요.. 결국 뭐죠? 그러니까 그 대단한 장단음을 어떻게 습득할것인지 수험생들이 수긍이 가게끔 방법을 선정해야죠.. 우리는 결국 이유야 어찌됬건 찍을수밖에 없는 운명입니다 윗글처럼 어문회가 제안만 해놓는 미봉책보단 우리에게 공부할수있도록 방법을 마련해야할수밖에없는 결과로 치닫았기때문이죠..
첫댓글 보니까 얼척이 없네~~~ 말도 안되고 순 억지입니다. 뉴스보면 아나운서가 장단음을 구분해 가면서 누가 말을 합니까?? 그리고 현실성이 너무없습니다. 요즘 장단음 사용하지도 않고 수험생들고 포기하다하는데, 장단음 단어가 한두개 입니까??? 차라리 그걸 외울려니 효용성있는 고사성어을 더 외우는게 났지.
장단음대신에 다른걸 더 넣는게 낳다고생각해요^^;굳이넣는다면; 2, 3문제정도ㅡㅡ;;하핫;
장단음 해독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장음을 사용시 어떻게 읽고 말해야 하는 단계, 학습요령 등을 어문회는 제시해야 합니다. 아니면 장음을 문제에 출제를 하지 말아야 하는데 어문회는 독선적,폐쇄적이라 대화가 안되어 큰 일입니다.
넘 길어서...리플만 읽고 갑니당-.-
그레서요.. 결국 뭐죠? 그러니까 그 대단한 장단음을 어떻게 습득할것인지 수험생들이 수긍이 가게끔 방법을 선정해야죠.. 우리는 결국 이유야 어찌됬건 찍을수밖에 없는 운명입니다 윗글처럼 어문회가 제안만 해놓는 미봉책보단 우리에게 공부할수있도록 방법을 마련해야할수밖에없는 결과로 치닫았기때문이죠..
양두구육이란 말을 아십니까? 이글은 그럴듯하면서도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제가 언급했듣이 장단음공부는 너무 힘듭니다.. 안하는게 낫단말이죠./. 그 잘난 장단음이 없어지면 국어의 특징이 살지않지많 그로인해 더욱 국어를 멀리하고 회피하는결과를 불러옵니다
어문회는 수험생들 대부분이 잘난 장단음을 찍고있다는것을 빤히 알고있으면서도 수수방관, 응당 조치를 취해야 당연지사일지언정 무작정 문제를 들이 대기만 하고있습니다..저는 그게 이해가 가지않습니다
어문회는..억지스러운게 좀 많아요 ㅜ1급보고싶은데 혹시2급은어문회꺼 보고 1급은 딴데꺼 본다고 해서 머 달라지는게 있나요?ㅋㅋ
헐... 저걸 위해 공부하느니 차라리... 독음을 하나더 하는게 ..
아무리 생각해도 한자의 장단음을 구별하자는 얘기는 15세기 우리말에 성조가 있었던 때로 돌아가자는 시대착오적 발상인거 같소~
ㅡㅡ 우리가 지금 손을 쓰지 않으면 12년 묵은 어문회의 뚝심을 뿌리뽑을수없습니다